서론을 쓰기에 앞서, 정치적 특정성이나 편향성을 두고 말하는 것을 배제하며,
기획조정을 위해 여론전을 사용하지 않았다. 라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 아님을 밝히는 바이다.
기획조정을 위해 여론전을 사용하지 않았다. 라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 아님을 밝히는 바이다.
아이돌 시장의 배경과 향후 방향을 위해 먼저 알아야 할 배경지식을 앞서 말한다.
1. 코로나 팬데믹과 포스트 코로나의 수축과 이완 그리고 폭발
2. SM 핵심 인력들의 유출
3. SM의 내부 분열
4. 카카오 엔터의 확장
5. SM 경영 분쟁권
6. 이수만의 부재
1. 코로나 팬데믹과 포스트 코로나의 수축과 이완 그리고 폭발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걸그룹 시장은 큰 타격을 받는다. 이전 걸그룹들은 과도기에 머물러 있었다. 티아라의-"롤리폴리", 크레용팝-"빠빠빠", f(x)-"누에삐오" 다양한 장르들을 비롯해서 섹시 컨셉의 스텔라, 헬로우비너스, 달샤벳, 나인뮤지스을 생각했을 때 2024년 걸그룹 음악적 다양성과 색깔(캐릭터)를 생각해보자. 과도기에 따른 걸그룹의 수요는 미친 듯이 시장에 바람을 불렀고 바람처럼 사라지는 걸그룹이 있는 가 하면 몸 집을 키워나간 아이돌이 있다.
Ex) 스타쉽은 시스타를 론칭 하여 몸집을 키우는데 큰 반면, "마이비"라는 걸그룹은 (사견이지만 노래가 정말 좋았다.) 빠르게 사라졌다.
과도기적 걸그룹 시장에 때 맞추어 코로나는 모든 경제적 활동 규모를 줄였다. 콘서트와 같은 축제 즉, 행사 활동이 줄어 들면서 대중음악의 가장 큰 파이를 차지하고 있던 걸그룹의 음악 시장은 큰 위기를 맞는다.
(트와이스의 거대한 행보나 프로듀스 48 앚의 탄생, 블랙핑크와 BTS의 세계적 도약은 큰 쟁점이 아니므로 생략하겠다.)
시간이 지나며 입에 고작 풀칠을 하고 있던 걸그룹 시장은 2023년 5월 5일 공식적 해제로 스프링처럼 더 큰 탄력적 상승으로 이어진다. 심리적 요인도 요인이지만 매스미디어의 유통의 변화가 가장 큰 쟁점이라고 보면 된다.
신체적 접촉이 단절 되고 소통의 부재와 외로움. 단절 된 것들을 이어줄 수 있는 매개체가 필요했다. 전화 번호부가 사라지고 배달 어플이 필수가 됐듯. 음악 유통 시장에서 필수가 된 것은 SNS와 유튜브다. 이제 공중파 3사 또는 예능의 유통보다 유튜브 채널에 나가 홍보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한 옛날 예능의 힘든 워크 플로우가 아닌 짧은 시간 대비 큰 마켓팅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더불어 BTS, 블랙핑크의 성공적 세계 브랜딩을 통해 한국 아이돌 음악의 유통과 관심을 세계에 알릴 수 있게 되었고 JYP가 하고 싶었던 내수 시장이 아닌 세계 시장으로 확대 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필자는 BTS와 블랙핑크의 성공 요인에 대해서 객관적이고 논리적이지 않다. 강남 스타일의 유행, 해외 빌보드 음악 중 힙합 장르의 독점, 아리아나 그란데나 저스틴 비버와 같은 차기 아이돌 심벌의 부재, SNS와 새로운 유형의 샐럽 등장, 코로나 위기 등 수많은 요인들 중 맨 마지막이 하이브의 전략적 마켓팅과 해외 협업을 통한 해외 시장을 타겟으로 설정한 것이 성공의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운기칠삼이다.
2. SM 핵심 인력들의 유출
현재 BANA와 뉴진스의 프로듀서인 민희진이다.
BANA는 뉴진스 음악을 프로듀싱한 250, FRNK, 김심야, Beenzino, E Sens (The Anecdote). 힙합레이블로 BANA의 대표가 그 중 하나이다.
(필자에게 에넥도트는 개인적으로 손가락안에 꼽는 명반이다)
A&R팀의 핵심 인력이었던 그들은 SM을 나가게 되며 현재 각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음악적 방향성을 생각하고 선도하고 있는 중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민희진 역시 뉴진스라는 아이돌을 론칭 함으로 걸그룹 브랜딩을 완성 시켰다.
그녀는 뉴진스라는 아이돌을 걸그룹이 아닌 더 나아가 하나의 브랜딩으로 구현 시켰다고 생각한다. 현재 아이돌 음악 시장은 성상품성이 아닌 브랜딩을 기반으로 독자들에게 자신들의 세계를 초대하는 것이 된다. 초대 받은 소비자들은 음악과 춤 그리고 세계관과 "재미+(아름다움)"를 평가하게 되고 선택 받게 되면 그들은 그 나라의 주인공이 된다. 그들은 그들 스스로가 소비의 주체이기도 하지만 생산의 주체가 되어 자신의 삶 속에 브랜드를 녹여나가며 삶의 일부가 되고 더나아가 그 브랜드의 주인이 된다. 우리는 이제 아이돌을 보며 대리만족을 하는 일차원적 카타르시스에서 함께 공유하고 세계를 꾸려나가는
branded kingdom (브랜딩 된 왕국 <- 내가 만들어 낸 단어)에 공감각적 카타르시스로 변하게 되었다.
디자인적 분석을 들어가자면 Typography, 3D modeling, color, performance 으로 시작해서 무대 의상, 헤어, 메이크업, 코디, 표정 연기, 무대 설치 예술, 조명 예술, 뮤직 비디오, 잡지 화보, 유명 브랜드 모델, 명품 앰버서더 등. 성공적인 아이돌 하나가 가지고 있는 파급력은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다만, 필자의 경우 내수 시장에 대해선 희망적이지 않다. 특이한 케이스인 이달의 소녀를 예를 들자면 중앙 아시아, 남미에서 인기가 정말 많았지만 내수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해외 시장에서 영향력을 가졌음이 분명했지만 빠르게 기울어 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걸그룹 최초 역사적으로 고점을 찍고 최단기 퇴물로 된 [피프티피프티 - 큐피트]를 생각하면 한국의 아이돌 시장은 이제 "사막에서 바늘 찾기"가 아니라 도전할 만하다. 라는 희망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3.은 다음에
<참고 문헌>
· 2023 음악산업백서
· 양영민(2019). K-POP의 성장이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음악산업 발달의 불균형에 끼친 영향에 관한 고찰 : 해외 대중음악의 사례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