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있길래 소개 차 올려본다.
사진은 클릭하면 크게 보인다.
경성 소학교교육연구회 편찬 모범 대전과참고서(제 5학년 전기용)이다.
1. 수신과
2. 국어 (읽기)
3. 국어 (쓰기)
4. 조선어
5. 지리
6. 국사
7. 이과 (과학)
8. 도서, 수공, 체조, 창가, 재봉 (지금의 실과+음악+체육 과목인듯)
9. 산술
10. 주술 (주판을 다루는 방법)
으로, 총 10개 과목이다.
손인증
맨 뒷장을 보니 출판연도가 있다. 쇼와14년으로 1939년에 해당한다.(태평양전쟁 이전으로, 태평양전쟁 이후에 삶이 매우 각박해졌다고 한다.) 출판사 주소가 얼핏 보이는데. 경성부 종로 2정목 84번지(현재 서울 종로2가)이다.
머릿말이다. 대략 조선총독부에서 지정하는 소학교 교과서 취지와 소학교 교수안에 맞게 편찬했으며 입학시험(중학교 입학시험인듯)에 모범적인 참고서라는 내용이다.
읽기 과목의 제 1과이다. 대신궁(현재의 도쿄 다이진구 신사인듯)참배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온다. 한자의 일본식 읽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쓰기 과목이다. 오른쪽 페이지는 광고인데. 중학교입학시험에는 우리 참고서가 짱짱맨이다. 뭐 이런 내용이다. 출판사 이름도 나와 있는데, 영창서관이라는 곳이다. 주소와 전화번호, 계좌번호가 나와 있다. 난 저 시대에 전화번호와 계좌번호가 있는 줄 처음 알았다.
쓰기 과목인데 잘 모르겠다. 삽화가 있는 곳은 어머니의 병문안 이라는 내용이다.
문제의 조선어 과목이다. 분명히 학교에서 일제시대에 조선어를 쓰면 개 패듯 두드려 맞았다고 배웠는데, 그럼 조선어 과목 시간에는 두드려 맞으면서 배웠다는 얘기가 된다. 무엇이 진실일까?
오른쪽 페이지에는 붓글씨 쓰는 법에 대해 간략히 나와있다.
제 1과 시조. 고등학교 문학 시간에 배우는 그 시조이다. 오른쪽 페이지에 어휘의 뜻이 나와있다. 한자어의 뜻과 음을 쓰는 문제와, 고어를 현대어(당시 현대어라고 해봐야 지금과 같지는 않을 것이다)로 바꾸는 문제가 있다. 초5 치고는 상당히 수준이 높다.
선거에 관한 내용이다. 선거의 중대한 정신을 잊지 말고 무엇보다도 신중하게 할 것. 선거에 기권하는 것은 매우 틀린 것. 이라는 내용이 눈에 띈다. 급장(반장)선거에서 국가 선거의 중요성으로 내용을 확장하고 있다.
제 4과 김정호(대동여지도 만든 그 사람 맞음)
학습의 목적 : 연구에 돈독한 김정호가 읍도와 조선팔도의 정확지 못함을 개탄하고 천신만고하야 ~~~ 대원군에게 죄를 받어 옥중에서 비참히 사라졋스나 ~~~
한자의 뜻과 음에 대해 다루고 있다.


지리 과목이다.
1. 대일본제국(일본 본토)
2. 조선지방
3. 화태지방(가라후토지방, 현재의 사할린)
4. 북해도지방(홋카이도지방)
일본 본토와 조선에 관한 내용이 3/4를 차지한다. 구역, 지형, 기후, 산업, 교통, 상업, 주민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조선의 지형에 관한 내용이다. 장백산맥(백두산맥)과 백두산에 관한 내용이 있다.
조선지방의 지형의 약도와 단면도 라는 그림도 눈에 띈다. 역시 일본해로 표기되어 있는데, 어찌 보면 해외에서 동해가 아닌 일본어를 더 인정하는 것도 한편으로 이해가 된다.
거제도, 진도, 울릉도에 관한 내용이다.
북해도(홋카이도)지방에 관한 내용이다.
일본의 고대 역사이다. 진무천황에 대한 내용인데, 일본사를 잘 모르지만 검색해 보니 한국의 단군같은 존재라고 한다.
조선의 고대 역사이다. 고조선, 마한, 변한, 진한 지도가 있다. 지도 왼쪽에 살짝 보이는 내용은 활을 쏘면 맞지 않는 법이 없는 활의 천재라는 내용이 나오는걸로 보아 주몽에 관한 내용인 것 같다.
이과(과학)과목으로 식물에 관한 내용이다.
펌프에 관한 내용인 것 같다.
게, 새우 등에 관한 내용이다.
창과(음악) 과목인데, 노래 부르는 법과 악보 보는 법에 관해 나와있고, 박자에 대해서도 나와 있다.
조선 노래는 금지인 줄 알았는데, 그런 것도 아닌 것 같다.
재봉에 관한 내용이다.
맨 뒷장인데 책이 오래되서 뜯어져 있더라. 자기네 출판사 광고를 하고 있다.
긴 글 읽어줘서 고맙고, 재밌게 봤다면 기쁠 것 같다.
지금 생각하면 저 때 초등학교 교육이 상당히 체계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초 5치고는 꽤 수준 높은 내용도 많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