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ject 42 Sokol Kola-class(1950~?) : 8척 건조됐으며 1척 손실됐다.
북한이 이를 기반으로 나진급 호위함을 개발했다.

Project 50 Gornostay Riga-class(1950~?) : 68척 건조된 Kola-class의 소형화 버전.

Project 159 Petya-class(1950~?) : 54척 중 8만 운용 중인 소련 해군 최초의 가스 터빈 동력함.
소련용은 1992년에 모두 폐기됐다.

Project 35 Mirka-class(1964~1966) : 18척 건조된 Petya-class의 업그레이드 버전.

Project 1159 Koni-class(1975~1988) : 건조된 14척 중 1척이 아직도 흑해 함대에서 운용되고 있다.

Project 1166.1 Gepard-class(1991~) : 6척 운용 중인 러시아의 차기 연안 초계함이다.
러시아에는 초계함으로 분류하지만 배수량이 2,000t에 달하여 사실상 호위함이라 말할 수 있다(이를 도입한 베트남은 호위함으로 분류).
최신함임에도 불구하고 재장전 형식의 미사일 발사대를 사용하는 게 특징인데, 그래서 1회 요격에 2발의 미사일을 발사하기 힘들다.
러시아가 2척, 베트남이 4척(2척은 건조 중) 운용 중이다.

Project 1135 Burevestnik Krivak-class(1970~?) : Riga-class의 대체형이며, 건조된 40척 중 35척이 퇴역했다.
이전의 소련 호위함들보다 더 거대한 3,000t급이다.
Krivak I/II-class는 해군용, Krivak III-class는 해안경비대용이다.

Project 11540 Yastreb Neustrashimy-class(1993~) : 7척 건조 예정됐으나 2척만 운용 중인 호위함.
Krivak-class를 비롯한 구형함을 대체하기 위해 처음에는 16척 건조를 목표로 3척을 건조하던 도중 소련이 붕괴해 초도함은 실전 배치됐으나 2, 3번함은 건조 중단됐다.
러시아의 경기가 회복되자 2번함은 재건조가 시작돼 2009년부터 실전 배치됐으나 3번함은 여전히 선체만 남아있다.

Project 22350 Admiral Gorshkov-class(2006~) : 15척 건조 예정이며 4척 건조 중이며 2척 건조됐으며 1척만 운용 중인 호위함.
수상함 세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다목적 임무를 목표로 개발됐다.
각 함정에서 고강도 대잠/함/수상 임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호위함임에도 4,500t급의 배수량과 강력한 무장을 자랑한다.
선체면에서는 적극적인 스텔스의 적용으로 서구 선진국의 전투함과 동일한 수준의 레이더 반사면적을 가질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ject 11356M Krivak-IV Admiral Grigorovich-class(2014~) : 계획된 8척 중 3척 건조 중이며 3척 운용 중인 인도 해군의 Project 11356 Talwar-class 기반의 호위함.
흑해 함대의 부족하고 노후화된 수상함정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됐다.
처음에는 Admiral Gorshkov-class를 개량하려 했으나 비용을 줄이기 위해 Talwar-class를 개량했다.
4~6번함은 인도에 판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