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글을 읽기전에 참고할 글 : http://www.ilbe.com/2543591816" target="_blank">http://www.ilbe.com/2543591816 [컴게생각] 삼성SSD의 래피드모드는 정말 이름값 못하는 쓰레기일까?
이번글은 삼성SSD - 래피드모드의 성능과 장점 그런걸 떠나서, 실제장치(SSD)가 받는 동작부하 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내가 찾아본 래피드모드 관련된 리뷰나 벤치마크중에서 이런 주제를 가지고 한 실험은 본적이 없었고, 상당히 흥미있는 내용이라고 생각되서 글을 남긴다.
이번 주제는 테스트방법 자체가 이런저런 변수를 완전히 통제하기가 힘들고 그다지 객관적이지도 않으므로, 정보글 이라기보다는 재미삼아 봐주기를 바란다.
이전글에서 래피드모드가 무엇인지와 그 효과에 대해서 읽고왔으리라 본다. 그래서 이번글에서는 래피드가 어떤 효과를 주는지 장치측면에서 실험을 해봤다.
테스트방법은 이러하다.
1. 컴퓨터를 OFF하여 완전히 식힘 : 10분 휴식후 부팅직후에 크리스탈디스크인포에서 확인한 SSD온도는 28도
2. 부팅직후에 곧바로 크리스탈디스크마크를 1차례 실행 : 래피드모드의 적용유무를 보여주기 위한것
3. 벤치마크 완료즉시 윈도 디펜더(Windows 8.1)로 시스템 전체검사를 실행 : 검사시작 1분 경과시점에서 스크린샷 촬영
이렇게해서, 벤치마크1회와 윈도 디펜더의 시스템스캔(1분제한)으로 인한 SSD컨트롤러가 받는 부담을 칩셋의 온도변화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840Pro 128GB / Normal
장치온도 28도에서 32도로 4도 상승
- 840Pro 128GB + RAPID Mode
장치온도 28도에서 29도로 1도 상승
- 작업관리자를 조금더 자세히 보자.
그래프만 봐도 알겠지만 해석을 해보자면,
1. 장치가 받는 부하수준이 완전히 다름. Normal은 100%를 수시로 찍으나 RAPID쪽은 장치부하가 거의 없음. 램에서 거의 모든작업이 처리되기 때문.
2. 전송속도 그래프를 보면, 동일하게 최대 100MB/s범위의 그래프가 그려지고 있으나 평균적인 전송속도가 래피드모드쪽이 높음.
대략적으로 이러한 차이점이 있다. 당연히 검사완료도 래피드쪽이 빨랐지만, 결과에 넣지는 않는다. 그게 논점도 아니고, 너무 당연한거니까.
SSD 수명논쟁은 지금은 의미없다는걸 누구나 잘 알것이고, 따라서 이거가지고 "부하가 덜하니 장치수명에 좋을것이다!" 라는 결론을 내리는것도 아니다.
그냥 기본상태와 래피드적용의 차이점을 기기적 측면에서 확인해본 것이다. 이 테스트결과를 통해서 래피드모드를 어떻게 볼것인지는 당신에게 달렸다.
내가 안타까운건, 래피드모드를 단순히 뻥벤치라고 매도하는 사람들이 그들스스로 벤치결과만을 보고 오직 그것만으로 욕을 한다는거다. 그건 일부일 뿐인데.
그래서, 내가 내리고 싶은 결론은 이거다. 이게 3줄요약이다.
1. 삼성SSD의 래피드모드는 하고싶으면 하고 싫으면 안하면된다.
2. 선택지가 있다는것은 타사제품과 비교시 삼성SSD의 장점이다.
3. 램이 심하게 부족한게 아니라면, 적용해서 손해볼것은 없는 기능이다. 보너스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상이다. 읽어줘서 고맙다.
참고할만한 글
http://www.ilbe.com/2540034885 [컴게생각] 840도 래피드모드를 써보자! RAPID Mode Patch for 840
http://www.ilbe.com/2543591816" target="_blank">http://www.ilbe.com/2543591816 [컴게생각] 삼성SSD의 래피드모드는 정말 이름값 못하는 쓰레기일까?
http://www.ilbe.com/2547473677 [컴게생각] 래피드특집 : 래피드 적용효과를 SSD 동작부하 측면에서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