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er 

 

 

한국을 떠나는 외국기업들: 침략자를 몰아낸 집주인의 승리인가?

 

 

야후!코리아가 서비스 종료를 발표함에 따라 또 하나의 외국기업이 한국시장을 떠나게 되었다. 한국 언론에서는 앞다투어 ‘세계에서도 가장 빠른 국내 IT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한 것이 패인으로 분석된다’라며 한국 시장의 승리인양 보도가 이루어졌다. (참고: http://www.ytn.co.kr/_ln/0102_201212150002540326)

최근 몇년 사이, 한국시장을 떠나기로 결정한 외국기업이 유독 많아지고 있다. Finance의 HSBC, Goldman Sachs, Aviva 생명 등이 철수 또는 감축을 발표하였고, IT쪽에서는 Motorala, Yahoo!, HTC, RIM 등이 2012년 한해 동안에만 철수를 결정하였으며, 최근 Automobile 업계의 GM Korea에서도 7000명 상당의 인력감축 계획을 발표하였다. 소비재의 Nestle, Unilever, P&G 등 명성이 자자한 기업들도 역시 최근 부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발표한 철수 성명에는 한결같이 다음과 같은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

 

 

‘…to focus on markets where it stands better chance of success’ -HTC
‘…focus on markets that we can compete most efficiently’ – Motorola
‘…focus our resources on building a stronger global business that’s set up for long-term growth and success’ -Yahoo!

 

 

 

위 코멘트들의 공통점을 요약해 보자면, ‘좀더 효율적으로 성공을 도모할 수 있는 시장에 자원을 집중하기 위하여 한국 시장을 버린다’ 라는 문구가 도출되며, 이것은 바꾸어 말하면 ‘한국은 외국기업이 효율적으로 성공을 도모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니다’ 라는 결론이 나온다.

 

 

나는 개인적으로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보고 있다.

 

 

1. 지나치게 까다로운 소비자 입맛: 소비자 입맛이 지나치게 까다롭기 때문에, 빠른 소비자 동향 파악 및 의사결정을 통해 소비자의 취향을 맞추어 주는 움직임이 필요한데, HQ가 외국에 있는 외국 기업으로서는 한국 기업에 비해 의사결정이 느릴 수 밖에 없고, 결국 Customer care 싸움에서 박살이 난다. 비슷한 환경과 조건이라면, 기업은 소비자에게 덜 시달리는 시장을 당연히 택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2. 이미 경쟁자들로 꽉찬 시장: 누구나 잘 아는 사실이겠지만, 한국은 당연히 더이상 개발 도상국이 아니며, 거의 모든 산업군이 막강한 경쟁자들로 꽉꽉 차있다. 게다가 서서히 (그리고 최근 들어 더욱 급속히)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1번의 영향으로 인해, 이 경쟁자들은 대부분 한국 기업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미 선두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는 레이스에 굳이 참가할 필요는 없다.

 

 

3. 그저 그런 국제적 중요도: 아시아권을 살펴보자면, 중화권은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중국어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그 시장은 엄청난 가치가 있으며, 중국/대만/홍콩 등은 대부분의 외국기업이 중요시하는 시장이다. 아직 발전이 진행중인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동남아 국가들은 덜 여물었으나 미래를 위해 투자할 가치가 있는 시장이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두 나라는 독자적인 언어를 사용하면서 시장은 로컬 기업들로 포화되어 있고 소비자 성질은 더럽다. 굳이 많은 피를 흘리면서까지 정복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이와 같은 상황은 한국사람에게는 장/단기적으로 당연히 안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다.

 

 

가장 먼저 느껴지는 것이 직장 숫자의 감소일 것이다. 언뜻 숫자만 더해 봐도 이 심각성은 금새 파악된다. 철수하는 기업당 적게는 2~300명에서 많게는 수천명에 달하는 직원들이 직장을 잃게 되는 것인데, 이 기업들이 7~8개만 되어도 그 숫자는 꽤나 커진다. 2012년 8월 기준 노동청 발표자료에 의하면 한국 정규직 근로자가 1천 2백만명 수준이라고 하나, 서울 근무중인 정규직 근로자 숫자가 2백50만명인 것을 감안하고, 나아가 외국계 기업에서 근무하는 인력들이 비교적 고급인력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로 외국기업의 철수로 인해 직장인들이 느끼는 타격은 꽤 클 것으로 생각된다. 당장 이직할 수 있는 자리가 몇개씩 줄어들고, 동시에 내 자리를 노리는 경쟁자는 몇명 더 생겨나는 것이다. (게다가 근무환경을 생각해 보면, 근무환경이 좋은 외국기업 일자리는 점점 사라지고, 비교적 수직적이고 회식/야근이 더 잦은 한국기업 일자리만 남는 것이니..)

 

 

또한, 외국기업의 global HQ에서 점점 한국인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 ‘우리가 공략하지 않을 시장에 대해 잘 아는 전문가는 필요없다’라는 논리에 따라, 한국시장을 가장 잘 아는 한국 인재들 역시 자리를 위협받게 되는 것이다. Linkedin을 통해 ‘Korean speaking’을 검색어로 하여 job search를 해보면, 대부분의 결과가 삼성/LG 등의 한국 기업이며, 외국 기업이 한국 인재를 채용해야 하는 경우는 현재 매우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 인력시장이 그만큼 더 포화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소비자의 선택 폭 감소가 있을 것이다. 외국기업이 쫓겨나면 쫓겨날 수록, 한국 시장에는 한국 기업이 파는 한국 상품만이 남게 된다. 소비자는 시간이 갈수록 울며 겨자먹기로 제한된 개수의 상품만을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며, 현재도 그토록 소셜 미디어에서 ‘틈만 나면 씹는’ 대기업의 독과점 구조는 점점 더 심해질 것이다. 전자제품은 삼성, 자동차는 현대, 유통은 롯데, 통신사는 SK를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나는 이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바로 소비자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자신을 편하게 해주기만 하는 기업의 맞춤형 상품만을 소비하는 수동적 소비자가 되기보다는,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다양한 상품들을 사용해 보면서 보다 국제적인 시야를 갖추려는 능동적 소비자가 될 필요가 있다. 소비자의 능동적인 변화가 없다면, 한국시장은 서서히, 그러나 확실히 내리막길을 걸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Email: cky0410@hotmail.com

 

 

참고자료:

 

 

http://mengnews.joinsmsn.com/view.aspx?gCat=050&aId=2964592
http://english.hankyung.com/news/apps/news.view?c1=04&nkey=201211210203121
http://www.koreatimes.co.kr/www/news/tech/2012/12/419_126648.html

This entry was posted in Business by cky0410. Bookmark the permalink.

 

 

6 thoughts on “한국을 떠나는 외국기업들: 침략자를 몰아낸 집주인의 승리인가?

  1. 2번에 관해서 이상적인 논리로는 각 지사들의 분권화가 잘되는 것도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하지만.. 큰 맥락상에서 동의하지 않을 수 없네요. 3번에 포함되겠지만 기본적으로 인구가 작아서 시장 규모가 크지 않은 것도 문제죠.

    • 댓글 감사드립니다. 비교적 적은 인구도 문제가 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그러나, 대만의 경우는 인구가 한국의 절반이 채 안되는 2천3백만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중화권이기 때문에 중요한 시장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경우도 있는듯 합니다. :)

  2. 저도 기본적으로는 한국문화권 시장이 작은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시장이나 까다롭지 않은 곳이 없고, 경쟁자들로 넘치지 않은 곳도 없는것 같습니다. 다만 한국기업이 글로벌시장에서 입지가 더욱 커진다면 그곳에서 일한 경력 값도 올라가기 때문에, 글로벌기업의 HQ에서 한국인의 자리는 더욱 늘어날 것 같습니다. 물론 그 경력/능력에 Korean Speaking은 포함되지는 않을 것 같네요. 그렇지만 B2B 시장에서는 오히려 한국에 진출하려는 외국계 기업이 많아질것 같습니다. 또한 한국계 기업이 더욱 성장한다면 해외 법인의 Korean Speaking Job이 더 생길 것 같습니다.

    • 댓글 감사드립니다. 한국 기업이 글로벌리 강력해지게 되면 한국인의 위상이 커지고, 나아가 국가브랜드 상승에도 당연히 도움이 될것이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 글은 한국기업 뿐 아닌 ‘한국시장’ 자체에 조금더 초점을 두고 작성했던 것 같습니다. 한국기업이 성장한다고 해서 한국 시장까지 매력이 크게 상승할지에 대해서는 조금 생각해 봐야할 듯 합니다. 의견 감사드립니다 :)

  3. 안녕하세요? 이 글 다른 뉴스 통해서 봤는데요, 원래 댓글 잘 안쓰는 사람인데 글의 로직이 너무 황당해서 이렇게 댓글 남깁니다.

    1. 야후는 IT글로벌 트렌드를 못 쫓아가서 국내시장에서 철수한게 맞습니다. 소비자 핑계대지 마세요
    -한국시장을 떠나는 기업들은 이미 전세계적으로도 부진을 보이고 있는 회사들이 대부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철수하는 님의 전직장 야후가 아주 좋은 예입니다.
    -반대로 우리나라에서 잘하고 있는 외국계 기업도 많이 있습니다. 애플, BMW, 루이비통 등이 그 예인데, 이 들의 공통점은 바로 “전세계적으로 잘하는 기업”이라는 점입니다

    2. 자신들의 부진을 소비자의 탓으로 돌리는 마인드 역시 국내/해외에서 성적이 부진한 이유 중 하나가 될 수 있겠네요
    -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직장수, 외국기업의 한국인 니즈, 소비자의 선택폭”의 감소가 우려되어 소비자들이 굳이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다양한 상품들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되야된다는건 정말 어처구니없는 부분입니다.
    -그럼 경쟁력없어도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는 너그러운 소비자들이 들끓는 “외국인들의 봉”이 되야되나요?
    -결정적으로 외국계 회사들이 우리나라에서 님이 바라시는대로 만만한 시장이 된다 하더라도 님께서 희망하시는 “직장수, 한국인의 외국에서의 입지, 소비자의 선택폭”의 개선은 없다고 단언합니다

    *직장수의 감소- 외국계 기업이 철수해서 당장 실업자 수가 증가하긴 하겠지만 결국 파이는 그대롭니다. 외국계 기업이 철수하면 국내기업의 점유율이 늘어날거고 그러면 더 많은 채용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외국에서의 입지-한국시장은 돈이 안되니까 외국계 기업은 한국시장 전문가를 고용하지 않을 것이다. 어떻게 생각하면 맞을 수도 있는데, 한국은 인구가 적은 그냥 “작은나라”입니다. 많이 팔린다고 한국 전문가 많이 안뽑을겁니다
    그리고 외국에서 한국인으로 일하기를 꿈꾸시는 분들은 한국인이기 때문에 뽑히길 바라지 마시고 능력이 출중하기 때문에 뽑히기를 기대하고 노력하시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인이라는 사실로 묻어가려고 하지 마시구요. 그러다 성적저조로 국내시장 철수하는 외국계 기업처럼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님의 논리대로라면 국내 업체들이 더 잘해서 해외에서 더 많은 점유율을 차지할 때..그 때의 경우가 한국인 어드벤티지가 해외 인력시장에서 빛을 더 크게 발할겁니다. 한국시장이 봉이기 때문인 케이스보다 더 많이요

    *소비자의 선택폭 감소-맞죠..국내 자동차 시장이 가장 좋은 예구요, 하지만 이건 어쩔 수 없는 시장경제의 논리죠. 만약 님이 말씀하신대로 우리 시장이 “너그러운 시장”이 되어 외국계 기업들이 한국시장으로 너도나도 들어온다면 님께서 야후철수의 원인으로 말씀하셨던 2. 이미 경쟁자들로 꽉찬 시장이 다시 되는겁니다!!
    그럼 그 경쟁에서 낙오되는 업체는 또 철수하겠죠.

    3. 결론을 말씀드리면, 야후는 그냥 IT트렌드 못 쫓아가서 철수한게 맞구요^^
    그리고 소비자들이 직장수 감소, 한국인의 외국에서의 입지, 소비자 선택폭 감소를 우려해서 소비행태를 바꿀 필요는 없구요 바뀌는게 더 이상합니다
    그냥 이것이 시장경제의 논리입니다. 강자가 살아남고 약자는 죽는거..
    그리고 한국이 매력없는 시장인거는 인구가 전세계 60억 인구 중에 4천만 밖에 되지 않는데 소비자들이 최첨단이기 때문입니다.
    소비자의 능동적인 변화는 그냥 필요없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더 자부심을 가져야합니다!! 작지만 만만한 시장이 아니란거죠..
    소비자 앞에서 더욱 겸허하고 겸손해지는 그런 마인드를 갖추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제 글에 이런 긴 댓글을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제 의견을 드리자면, 제 글의 요지는 ‘왜 외국기업들이 한국을 떠나는지에 대한 이유 분석’쪽으로 봐주시는 것이 좀더 나을 듯 합니다. 저 역시 이 모든 상황이 소비자의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그 원인 중 하나일수 있다는 조심스러운 관점에서 접근하였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에 기반하여 작성한 첫 블로그 글이라 표현력/분석력이 부족했던 부분은 감안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의견 감사드립니다 :)

       

      http://quriousq.blog.com/2013/01/01/foreigncompaniesleavingkorea/

       

       

       

      2013010102019922790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