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5SGV3
안녕 일게이들아
일베에 많은 2차대전 정보글 밀리터리 정보글이 많더라구 그래서 나도 처음쓰는 정보글이지만
내 밀리터리 지식을 총동원하여 한번 전쟁글을 써보려구해 필력 문법 띄어쓰기가 병신같아도 이해해주면 고맙겠어
내가 소장하고있는 전쟁서적중 독서전쟁사책에서 몆가지 참고를 하면서 쓸테니 틀린게 있으면 지적해줘
-------------------------------------------------------------------------------------------------------------------------------------------------------------------------
독소전쟁에서는 많은 전투가있어서 독소전쟁하면 스탈린그라드 전투 , 쿠르스크 전투 , 세바스토폴 전투, 등을 많이생각할거야
제 2차 하리코프 공방전은 사람들이 잘 모르더라구 ... 하지만 이 전투는 소련군에게 정찰활동 , 공격전술 , 등 에대한 많은 교훈을준 전투야
2차 하리코프 전투가 일어났던 시기는 러시아에 추위와 소련군에 반격으로인해 독일군이 모스크바 점령에 실패한후 전선은 소련군과 독일군이 교착상태에 빠졌던상태야
소련군에 필사적인 저항과 반격으로 모스크바를 공격하는 독일 중부집단군을 밀어내는데 성공 (위)소련군에 반격 (아래)모스크바 방어를위해 참호를파는 러시아 민간인들
해빙기와 소련군에 반격
모스크바 전투가 마무리되면서 겨울이 끝나고 해빙기가 시작되면서 봄이오던시기 서로가 교착상태에 빠져있을때 스탈린과 참모부들은 먼저 움직여 반격에 나서기로했
어 그 지점이 바로 이번에 소개할 하리코프야 하리코프는 당시 독일 남부집군에 점령되고있던 지역이였어
독일 남부집단군에 점령당한 하리코프 시가지
스탈린과 참모들 스타브카(국가방어위원회)는 반격에 나서기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했는데 위에서 말했듯이 바로 하리코프
하리코프에 위치는 우크라이나 동북쪽에 있는 도시. 도네츠 강의 지류에 접하고있는 지역이야
스타브카는 반격에 나서기전 이 지역에대한 정보를 분석검토했는데 소련 입장에서는 반격하기 딱 알맞은거야 왜냐하면 스타브카 생각하기에 독일군은 아직까지 모스크바에대한 집착을하고있고 주 병력이 모스크바쪽에 집결했다고 예상했어
하지만 여기서 스타브카가 예상하지못한게있었지 당시 히틀러는 모스크바 점령실패후 러시아 남쪽 카프카스 유전지대에 눈을돌리고있어서 그래서 모든 중부집단군은 활동을 일시적으로 멈춘상태였지
하리코프 지역은 독일 남부집단군에 있어서 중요한지역이었어 핵심적인 철도 교통과 보급 교두보를 확보하고있어 카프카스 유전지대에대한 공세에 필요한 전략적 요충지인거야
소련군은 병력을 남쪽으로 모으기 시작했어
소련군에 경험부족과 독일군에대한 자만
소련군은 하리코프 지역이 자신들에 공세에 매우 취약하다고 느꼈어
그리고 독일군이 지난겨울의 타격에서 회복되지 못해 병력 부족과 기동력 저하에 시달린다고 예상했어 하지만 여기서 독일군은 카프카스 유전지대에대한 공격에
병력을 하리코프 지구로 꾸준히 배치해놨지 독일군에대한 자만은 이게 끝이아니었어 하리코프지역을 방어하고있는 독일군에대한 규모를 과소평과했고 제대로된
정찰활동을 하지 않은상태에서 하리코프지역을 방어하고있는 병력은 겨우 12개 보병사단과 1개 기갑사단만이 있다고 확신했어
반격에대한 소련군에 준비부족
소련군이 반격 작전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은 반격에대한 준비를 하던때에 또한번 들어나게되었지 봄의 라스푸티차(소련의 진흙탕) 로 인해 부대의 이동뿐만 아니라 보급로와 전방 비행장을 건설하는것도 방해되었으며 공격 부대들을 공격 개시선으로 이동시키는것마져 계획이 짜여 있지 않았어
또한 5월 12일에 공격이 시작될 때까지 독립 포병 연대 32개중 17개만이 계획된 진지에 배치되고 있었고 공격부대 3분의2가 전선에 도착하지도 못했어
그리고 가끔 독일군에 항공정찰에 부대이동이 목격되는 실수를 범하기도 했으며 각각 사단들이 한곳에 집중되니 대혼란이 일어나기까지했지
라스푸티차는 독일군 소련군 양측모두 보급로 진격에대한 애를먹었고 소련군이 제 2차 하리코프 전투에서 패배한 이유중하나도 이것이다.
반격계획
공격날짜는 5월 12일
소련군은 하리코프 북동쪽과 남서쪽으로부터 동시에 공세를 가해 도시를 두 방향에서 포위하는 것이었어 북동쪽에서는 북부 도네츠 강의 소련군 교두보를 둘러싼
독일군의 방어선을 돌파하는 것이 첫번째 목표이고 돌파를 위해 소련 제 28군과 고르도프 중장이 지휘하는 제21군 예하의 6개 소총병 사단과 4개 전차 여단이 독일
27군단이 방어하는 정면 15킬로미터의 좁은 지역에 집결했어 1선 방어진이 돌파되면 3개 기병 사단과 1개 차량화 소총병 여단으로 편성된 제3 근위 기병
군단이 돌파구로 투입되어 독일군의 후방으로 진출 하리코프 북쪽에서 포위하며 최종 목표인 하리코프 점령이었지
하리코프에 대한 소련군에 공격실패 독일군에 반격
5월 12일 공격이 시작되었고 주공을 맡은 제21군과 28군은 공격을 시작했지만 준비부족으로 제한적인 성과만을 거뒀으며 이것조차도 곧바로 독일군의 반격으로 위
기에 처했어 독일 제6군 사령관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는 제3 기갑사단과 23기갑사단 여러 보병연대를 소련 제28군과 제38군의 남측익에 집결시켜서 5월 13일에 반
격에 들어가 민주화시켜버렸어 게다가 제공권은 독일 제4 항공군에의해 독일군이 장악해버렸지
남쪽에 소련군 공세는 초기에 성공을 거뒀지만 이들 역시 독일군의 반격으로 절반이 전멸했고 하리코프 반격은 소련군에 재앙급 피해를입어 종범되버려
결론
제 2차 하리코프전투는 소련군에 준비부족과 경험부족 독일군에 대한 자만으로 패배한전투이며 독일군이 세바스토폴전투와 로스토프 카프카스 유전지대로 진격하게
되는 길을 만들어주기도했어
교훈
제 2차 하리코프 공방전은 소련군에게 많은 교훈을준전투야 우선 어떠한 지역에대한 공세를할경우 그 지역에 정찰활동과 정보수집 그리고 병력 집결에대한 안정성
보급물자 등을 제대로 운반하도록 하게했어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소련 지휘관들은 제 2차 하리코프 전투에 교훈을 잊지않고 공격전술에대한 개념을 확립시켜 그 결과가 바로 스탈린그라드 에 있는 독일군 제 6군과 4기갑군 일부를
포위하는 작전 천왕성 작전이면서 쿠르스크 전투에서 패배한후 독일군은 전면적으로 방어전으로 전환했을때 독일군에 방어선에대한 정찰활동과 빨치산활동을통해
독일군 방어선을 돌파 소탕하게했고 마지막으로 중부집단군을 박박 쓸어버리게한 바그라티온 작전도 제 2차 하리코프 전투에대한 교훈으로인해 승리한전투야
(위) 천왕성 작전 (아래) 바그라티온 작전 은 제 2차 하리코프 공방전에대한 교훈으로인해 소련군은 공격전술에대한 개념을 확립시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