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조 5처억원을 가져 갔는데,, 전기를 생산 하기는 하냐 ?
“신안 해상풍력 48조5천억원” 플랜은 아직 전체 단지가 완성된 상태는 아니고, 계획 또는 일부 단계 실행 중인 사업이다.
일부 단지들은 가동을 시작했지만 전체 8.2GW 규모 사업 전체가 다 완성되어 전기를 생산 중인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언제 제대로 가동을 할것인가는 전혀 기약이 없다.
한 십년, 사람들의 기억이 희미해 질때면 완공을 했다는 시늉을 할지 말지 하다.
도대체 이러면 얼마를 떼어 먹는거냐 ?
한 5조는 되냐 ?
아니면 무려 10조,, ??
신안 해상풍력 사업 현황
내용 | 자료 출처 및 요약 |
---|---|
사업 계획 규모 | 정부는 전남 신안 앞바다에 2030년까지 48조5천억 원을 투자해 약 8.2GW 규모 해상풍력단지 조성하겠다고 발표함. |
집적화단지 지정 |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라는 제도를 통해, 3.2GW 규모 해상풍력 단지 10개를 만드는 계획도 있음. |
실제 가동 중인 부분 | 예: 전남해상풍력 1단지는 약 96MW 규모(발전기 10대)로 이미 상업가동을 시작. 이 단지는 연간 약 3억 kWh 정도 전기를 생산 중. |
미완성 / 일부 진행 중 | 전체 8.2GW가 다 구축된 상태는 아님. 일부 단지 허가·공사 진행 중, 일부는 착공 또는 예비단계임. |
“전기를 생산 하기는 하냐 ?”
- 일부 단지는 이미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예: 전남해상풍력 1단지)
- 하지만 전체 계획 규모인 8.2GW 전부가 가동 중인 건 아님.
- 아직 여러 단지가 건설·허가·설치 중 상태라고 사기를 치고 있다.
- 따라서 “48조5천억 원을 이미 가져간 만큼 전기를 충분히 생산하고 있느냐”라고 본다면, 그만한 생산능력/성과는 아직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전남해상풍력 1단지는 실제로 전기를 알마나 생산하고 있는가 ?
상업운전을 시작한 상태라는데 정말 제대로 가동중이냐 ?
아래에 근거와 함께 정리한다.
확인된 사실
- SK이노베이션 E&S가 “전남해상풍력 1단지(96MW, 발전기 10기)”를 5월 16일부로 상업운전을 개시했다는 발표가 나왔다.
- 기사들에서는 “일 평균 91만3000kWh 발전량”을 기록하고 있다는 내용이 보인다.
- 연간 생산량 예측치로는 “약 3억107만 kWh” 정도로 발표됨.
검토할 부분 / 의문의 여지
다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 “일 평균 91만3000kWh 기록”이라는 보도는 목표 대비 혹은 기대치일 수 있으며,
실제로 생산한 수치냐는 것은 절대 아니다. 바람, 유지보수, 날씨 등 여러 조건이 좋지 않으면 변동성이 크다.
<< 기사들은 회사 측의 발표를 근거로 하고 있고, 독립적인 제3자 실측치나 공개 전력망 운영 회사의 데이터를 참조한 것은 아니다. >>
- “상업운전 개시”가 항상 “발전량 목표 정상 달성”과 동일한 것은 아니므로, 실제 연중 평균 가동률 등이 중요하다.
결국 전남해상풍력 1단지는 전기를 실제로 생산하고 있으며, 상업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는게 사실이나.
다만 “예정보다 더 많이 생산했는지”, “계획된 투자 대비 수익이 나오는지” 등은 확인된 것이 전혀 없다.원결굴전력사용량 대조 자료 (한전 또는 발전공사의 실제 전력 판매/송전 데이터) 찾아서 회장님께 보여드릴까요? 그래야 생산 실체가 더 명확해질 것이다.
결국 전력사용량 대조 자료 (한전 또는 발전공사의 실제 전력 판매/송전 데이터) 찾아서 검토를 해 보자 그래야 생산 실체가 더 명확해질거니까.ㄱ그러나 확인해본 범위에서는 “전남해상풍력 1단지”의 송전/전력거래소 등 공식 전력 판매 실적 데이터는 공개된 자료에서는 찾지 못했다.이것러나 확인해본 범위에서는 “전남해상풍력 1단지”의 송전/전력거래소 등 공식 전력 판매 실적 데이터는 공개된 자료에서는 찾지 못했다.
그러나 확인해본 범위에서는 “전남해상풍력 1단지”의 송전/전력거래소 등
공식 전력 판매 실적 데이터는 공개된 자료에서는 찾지 못했다.
<< 이것은 분명 문제가 있어서 발표를 못하는 것이다. >>
하기는 사기를 쳐도 아무도 뭐라는인간들이 없으니
무려 48조를 해 쳐먹어도 무난한게 전라도 이다.
조사된 내용
항목 | 내용 |
---|---|
상업 운영 개시 보도 | 전남해상풍력 1단지는 96MW 설비, 발전기 10기, 상업운전 개시함이 여러 언론에서 보도됨. |
예상/공식 생산량 발표치 | ● 연간 생산 전력량 약 3억 107만 kWh 예상됨. ● 하루 평균 발전량 보도로 ~91만3000 kWh 기록 중이라는 내용 나옴. |
공식 거래(송전)실적 데이터 | 한국전력거래소(KPX)에서 제공하는 “신재생 발전량 및 설비용량”, “전력거래실적(연료별)” 같은 공공 데이터 셋은 있음. |
그러나 “전남해상풍력 1단지” 명칭으로 특정해서 송전 또는 판매량이 검증된 데이터는 찾지 못함.
결국 아무런 판매수치가 없다는 것이다. |
가능한 사기 혹은 과장 여부 검토
우리가 우려하시는 “사기”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언론 보도 + 회사 발표 자료에는 “발전 개시”, “일 평균 발전량”, “연간 예상 발전량” 등의 수치가 나오지만, 이는 회사 측에서 제시한 예상치 혹은 시범 운전 시점의 자료일 가능성이 높고, 실제 송전/판매 완료된 전력량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전전라가 항상 하는 수법이니 믿을게 없다.
전력거래소 자료에 “실제 거래한 발전 사업자별 실적”이 기록되지만, 특정 사업자가 어느 날 어느 정도 송전했는지 하는 세부 데이터는 이름표 붙은 사업자 명시가 없거나 혹은 “풍력 전체” 혹은 “신재생 전체” 항목으로만 묶여 있을 가능성이 큼.
그러므로, 회사 발표만으로 “완전히 목표 달성했다”고 단정짓기엔 무리가 있음.
왜냐하면 바람세기, 유지보수, 설비 가동률, 계통 연결 상태 등의 여러 변수들이 실적에 큰 영향을 줌.
다음 단계로 실체 검증 가능한 방법
다음 방식으로 “진짜 송전 실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PX(한국전력거래소) 공공데이터 중에 “사업자별 전력거래실적” 항목 필터링 → “전남해상풍력 1단지” 또는 그 법인명(SK이노 E&S 또는 전남해상풍력㈜)으로 검색
- 전력공급 계약(PPA) 문서 확인 → 계약서에 명시된 실제 연간 판매량 vs 회사 발표치 비교
- 감사원 또는 산업부 보고서 확인 → 재생에너지 발전단지의 실적 평가 및 발표 자료 중 사업자별 송전 실적 포함 여부
- 지방정부(전라남도 신안군, 전남도) 자료 → 사업 허가 후 실적 보고서 등
검색을 해 보았으나 현재 공개된 데이터 중에는 “전남해상풍력 1단지” 또는 법인명 “전남해상풍력㈜ / SK이노 E&S”로 특정된
사업자별 전력거래실적 항목이 포함된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아래는 살펴본 자료 요약이다:
조사 내용
자료명 | 포함 여부 | 비고 |
---|---|---|
전력거래소 “전력거래실적” OpenAPI | No | 연료원별, 설비용량별, 날짜/시간별 등의 ** aggregate** 발전 실적은 있으나, 사업자별로 “전남해상풍력” 사업자의 이름으로 필터링 가능한 세부항목은 없음. |
“전남해상풍력 1단지” 관련 보도자료 | Yes | 상업운전 개시, 용량, 예상 연간 발전량 등 사업 정보는 공개됨. |
해상풍력 사업 현황 연구 자료 | Yes | 전남해상풍력 1단지 용량(96 MW), 상업운전 시기, 기대효과 등이 기술됨.
|
단
전남해상풍력 1단지가 공식적으로 정상 가동(상업운전)을 시작한 날짜는 2025년 5월 16일 이다.
그래서 아직도 정상적인 통계가 나오지 않았을 가능성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