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무릇

 

2024. 10.4


 

2024. 10. 1


 

2024. 9.28





 

2024. 9.27








 

 

2024. 9.24



 

 

2024. 9. 23



 

2024. 9. 20



 

2024. 9.17



 

 

2024. 9.16


 

2024. 9.12



 

유독성의 다년생 구근성 식물. 보통 봄에 심어 9~10월인 가을에 피고 1개월 정도 꽃이 핀다.

산형화 순으로 꽃잎 6장이 방사형으로 붙는다.

 

비늘줄기에 알칼로이드를 많이 포함한 유독 식물로서 잘못 먹었을 때에는 구역질이나 설사, 심한 경우에는 중추신경 마비로 죽을 수도 있다. 한방에서는 해열, 거담, 통증완화제로 사용하였고 항암 성분도 발견되었다고 하지만 주의해야 할 약재임에는 틀림없다.

 

마치 바람개비처럼 긴 줄기 끝에 꽃만 달린 모습이 특징이다. 꽃잎이 뒤로 말리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지며, 수술이 밖으로 길게 나온 모습인 꽃이 꽃줄기 끝에서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덤으로 열매를 맺지 않으며 번식은 비늘줄기로 한다.


원산지인 중국 양쯔강 유역에 자라는 것은 이배체라 열매를 맺을 수 있지만 한국산은 삼배체라 열매를 맺지 못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절에서 많이 길렀는데, 꽃의 전분을 이용해 풀을 쑤어 탱화 등을 그리는 데 활용하였다. 오늘날에는 더 이상 탱화의 재료로서 석산을 기르지 않지만 여전히 제법 여러 절에서 석산 꽃밭을 가꾼다. 전북 고창군 선운사, 전남 영광군 불갑사, 전남 함평군 용천사 등지에 주요 군락지가 존재한다.


또 아파트 화단이나 도로변, 공원, 학교 등에 조경을 위해 심어놓는 경우가 종종 있기에 간혹 찾아볼 수 있다. 개화철에 석산이 무더기로 만개하면 꽤 화려하니 볼 만하다.

 

일본에서는 논둑이나 물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논둑에 있을 경우에는 쥐, 두더지, 벌레 따위의 밭을 망치는 동물이 그 둑에 있는 독이 싫어 도망치도록, 물가에서는 벌레를 쫓거나 땅에 묻어 사체를 동물이 쫓아오는 것을 막기 위해 사람이 직접 심은 것이다. 두더지의 먹이인 지렁이가 석산을 싫어해서 그 주변에 살지 않아 이 꽃 근처에는 두더지가 오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절이나, 신사 혹은 높은 산등성이 등에도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이는 구황작물로서 보존해 둔 석산이 야생화/군집화된 것이라는 설이 있다. 전란이 일어났을 때 가장 일반적인 대피처가 사찰이나 산중이었기 때문에, 또한 사찰은 그 자체로 일종의 군벌 세력인 승려들이 모인 곳이라 그 주변으로 석산의 모종이 많이 퍼질 수 있었다는 가설이다.

 

텐메이 대기근을 상징하는 꽃이기도 하다. 구황작물이라는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꽃에 독성이 있지만 구근에 전분이 풍부해 데쳐 먹으면 섭취할 수 있어서 사람들이 닥치는 대로 뽑아 먹었기 때문이라고. 소철지옥 당시 소철의 선배격인 셈이다.

 

월동이 가능하지만 대신 여름이 무지막지하게 더워서 구근이 단단하게 잘 자라야 월동이 가능하다. 그래서 영국과 같이 여름이 무덥지 않은 곳에서는 온실에서만 겨울을 날 수 있다.

 

상사화와는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식물이다. 원산지, 크기, 자생 형태, 잎의 모양, 피는 순서도 각기 다르다. 석산은 꽃→잎 순서지만 상사화는 잎 → 꽃 순서로 핀다. 둘은 모두 수선화과 상사화속이지만 종은 상사화와 석산으로 서로 다르다. 쉽게 말하자면 석산은 상사화의 하위 개념이다. 다만 둘 다 잎과 꽃이 함께 있지 못하는 성질이 있다. 자주 상사화로 오인당하는 꽃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사례가 영광 불갑산 상사화축제. 상사화가 아니라 석산이다. 상사화가 져야 석산이 핀다.

 

상사화는 잎이 먼저 난 뒤 한두 달 가까이 꽃대가 돋아나고 꽃이 핀다. 반면, 상사화와 닮은 꽃무릇은 반대로 꽃이 진 후 잎이 돋아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