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upHDR)


표지.jpg


안녕 ~ 오늘은 한중 기술격차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의 연구개발


2. 한중 기술격차-1


3. 한중 기술격차-2


4. 4차 산업 기술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연구개발


한국산업연구원.JPG

(출처 : 한국산업연구원) 


중국은 후발 공업국으로 기술력이 많이 뒤떨어져서 (2006)







공급사슬_20160808_sbs.jpg


우리나라, 일본에서 부품을 수입한 후 


완제품을 조립해 파는 걸 많이 한 나라야. (2016)







중국무역흑자.jpg

하지만 중국은 막대한 무역흑자를 바탕으로 (2015)








육성_20150827_전자신문.jpg


산업을 적극 육성해서 기술 경쟁력을 


크게 높이고 있어. (2015. 디스플레이)







연구비_20160330_한겨레.JPG

중국은 2005년도부터 연구개발에


많이 투자하는 중으로 (2016)







연구개발_20141229_세계.jpg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중이 약간 낮지만 (2014)







연구개발비_20161208_세계.jpg

국가 규모가 워낙 커서 연구개발 투자비가 


미국 다음으로 많다고 해. (2016)







기술해킹.jpg


그리고 중국은 기술 해킹, (2015)







인수합병_20170324_한경.jpg


인수합병 등으로 부족한 기술력을 보충하는 나라로 (2017)







기술유출_201602_한경.jpg

우리나라 기술도 많이 훔쳐가고 있어. (2016)








1. 중국의 연구개발 요약


1) 중국은 후발 공업국으로 기술력이 부족했는데, 크게 발전하고 있음. 


2) 연구개발에 많이 투자해서 미국 다음으로 투자비가 많음. 


3) 해킹, 인수합병, 기술유출 등으로 부족한 기술력을 보충하고 있음. 







2. 한중 기술격차-1


격차_20130426_조선.jpg


우리나라와 중국의 기술 격차는


매년 조금씩 줄어들어서 (2013)






기술격차_201511_중소.jpg

지금은 한중 기술격차가 


3년 정도 밖에 안 나는 중이야. ㄷㄷ (2015)







과학_20150112_동아.jpg


중국은 과학기술에 많이 투자해서 


과학기술 경쟁력이 크게 증가했고 (2015)







국가경쟁력_20150930_세계.jpg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우리나라를 


바짝 추격한 상태라고 해. (2015)







격차감소_201601_한국일보.jpg 

우리나라와 중국의 비교우위가 


크게 줄어들어서 (2016)







우리나라_20170821_서울경제.jpg


우리나라 산업이 위협받지 않을까 


조금 걱정이 되고 있어. (2017)






특허_20160418_중기.jpg

(다만 특허는 양보다 질이 중요함.)


중국은 국제특허를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이 내는 중으로 (2016)







국가별격차_20150804_더스쿠프.jpg


우리나라를 무섭게 추격하고 있어서 


우리나라가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아. (2015)







2. 한중 기술격차-1 요약


1) 한중 기술격차가 크게 줄어들어서 3년 정도 밖에 차이가 안 남. 


2) 과학기술 경쟁력, 국가경쟁력 순위가 비슷해졌음.


3) 우리나라와 중국의 제품 비교우위가 많이 줄어들었음. 







3. 한중 기술격차-2


201511_산업.jpg


대부분의 산업에서 우리나라가 중국을 앞서지만


항공우주 산업은 중국보다 뒤처지는 편으로 (2015)







우주_20160425_서울경제.jpg

중국이 우주기술 개발에 엄청나게


많이 투자해서 (2016)







중국이앞선분야.jpg

(다만 우주산업은 큰돈이 안 됨.)


우리나라가 항공우주 산업에서 


중국에게 많이 밀리는 중이야. (2012년 기준)







건설_20160120_동아.jpg


그리고 인프라 산업에서 중국이 


생각보다 잘하는 편으로 (2016)







고속철.jpg


고속철도 산업에서 중국이 뛰어나다고 해. 







고속철_20150930_조선2.jpg


중국은 합작회사를 통해 일본, 독일, 프랑스의


고속철 기술을 일부 습득했고 (2015)







고속철_20151001_조선.jpg


중국의 거대한 철도 시장을 통해 


기술 개발을 많이 해서 (2015)







고속철_20150930_조선.jpg

해외에 고속철을 수출할 정도로


많이 발전했어. (2015)





한국산업연구원2.JPG

다만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발전이 비교적 더딘 편으로 (2016)






kb국민은행.JPG

순수 중국 자동차회사들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생각보다 낮고 (2017)







자동차_20130910_조선.jpg

자동차 부품 기술력에서 


중국이 한참 약한 편이야. ㅎㅎ (2013)







3. 한중 기술격차-2 요약


1) 대부분의 산업에서 우리나라가 중국을 앞서는데, 항공우주 산업은 뒤처짐. 


2) 중국의 인프라 기술력이 생각보다 뛰어나고 고속철을 많이 수출하고 있음. 


3) 다만 중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이 생각보다 더딘 것 같음. 







4. 4차 산업 기술력 


농업_20170529_이투데이.jpg


우리나라는 비주력 산업의 기술력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고 (2017. 농업)







소프트웨어_20160126_동아.jpg


소프트웨어를 잘 못 만드는 나라라 (2016)







인공지능_20160422_동아.jpg


인공지능 기술력에서 중국과 격차가 


별로 없다고 해. ㅋㅋ (2016)







인공지능_201604_한경.jpg

그래서 4차 산업혁명에서 중국에게


다소 밀리는 감이 있는 중으로 (2016)








4차_20161019_조선3.jpg


드론 산업에서 우리나라가 


중국보다 못 한다고 하고 (2016)







4차_20161019_조선.jpg

3D 프린팅, 바이오 산업에서 


중국과 큰 격차가 안 나오고 있어. (2016)







신산업_201512_동아.jpg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는 미래 신성장 사업을 


정말 잘해야겠고 (2015)







기술유출_20140305_디지털타임즈.jpg

기술유출을 철저하게 막아야 할 것 같아. (2014)







우리나라_20150823_한국일보.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과학기술 혁신역량이 


높은 나라라 잘할 수 있고 (2015)








산업연결_20152111_국민방송.jpg


산업과 과학기술의 연결을 더 잘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해. ㅎㅎ (2015)







4. 4차 산업 기술력 요약


1) 인공지능 기술에서 우리나라와 중국의 수준이 비슷함. 


2) 드론, 3D 프린팅 산업에서 중국보다 못 한다고 함. 


3) 미래 신성장 사업을 정말 잘해야 할 것 같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9958690629







3줄 요약


1. 중국은 연구개발에 엄청나게 투자해서 기술력을 높이고 있음. 


2. 우리나라와 중국의 기술격차가 3년 정도 밖에 안 난다고 함. 


3. 4차 산업 기술에서 우리나라와 중국의 수준이 비슷한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