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mGY5e)


표지_20170707_이데일리.jpg


안녕~ 오늘은 한국지엠의 철수 가능성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한국지엠 소개


2. 한국지엠 상황


3. 철수 가능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한국지엠 소개


대우차매각_2002.jpg


한국지엠은 대우자동차가 미국 자동차 회사 GM에게 


매각되어서 생긴 회사로 (2002)






소개_2013.jpg 

매출 15조 원, 종업원 수 1만 7천 명의


자동차 회사야. (2013)







점유율_20170705_비즈워치.jpg


한국지엠은 국내 자동차 시장 점유율 


10%를 차지하는 회사로 (2017.07)




 


판매차종.jpg

크루즈, 말리부, 스파크 등의 승용차를 생산하며 (2017)






스파크_201707_한국일보.jpg


스파크가 국내 승용차 판매량 


10위 안에 들어간다고 해. (2017.07)






공장_20170710_뉴스핌.jpg 

한국지엠의 자동차 생산량은 


58만 대 수준으로 (2017)







공장_20170704_아시아경제.jpg


인천 부평, 경남 창원, 전북 군산에 


자동차 생산공장이 있으며 (2017)







보령미션_2017.jpg

충남 보령에 변속기 공장을 가지고 있어. (2017)







사장사임.jpg

한국지엠이 잘 굴러갔으면 좋을텐데


요즘 상태가 안 좋은 편으로 (2017.07)







철수중단.jpg


한국지엠이 철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 (2017.07)







1. 한국지엠 소개 요약


1) 한국지엠은 매출 15조 원, 종업원 수 1만 7천 명의 자동차 회사임. 


2) 국내 자동차 시장 점유율 10%이고 말리부, 스파크 등을 생산함. 


3) 요즘 기업 상태가 안 좋아서 한국지엠이 철수할 가능성이 있음. 







2. 한국지엠 상황


손실_201707_매경.jpg 


한국지엠은 지난 3년 동안 


2조 원의 순손실을 기록해서 (2017)







자본잠식_20170502_더벨.jpg 

기업의 재무구조가 굉장히 불량해졌고


자본잠식에 빠져버렸어. ㄷㄷ (2017)







판매량_2017.jpg 

한국지엠이 왜 이렇게 됐냐면 


GM 본사가 장사를 잘못해서 그런 것으로 (2017)






GM철수.JPG

GM이 유럽, 인도, 남아공 시장에서 


줄줄이 철수할 정도로 장사를 엄청 못해서 (2017)







판매량_2016_조선.jpg


한국지엠의 수출이 엄청나게 감소하게 되었고 (2016)







20160410_동아.jpg

 

그 때문에 한국지엠의 상태가 매우 불량해진 것이야. (2016)







현기_20170802_아주경제.jpg


또 현대기아차가 내수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국내 판매에 열을 올려서 (2017.08)





실적_20170704_중앙2.jpg

한국지엠의 올해 상반기 판매량이 


매우 안 좋아졌다고 해. (2017.04)







2. 한국지엠 상황 요약


1) 한국지엠은 2조 원의 순손실을 기록해서 자본잠식에 빠짐. 


2) 경영위기 이유는 수출 부진 때문으로 GM본사가 장사를 엄청 못했음. 


3) 덤으로 올해 상반기 내수판매가 16% 정도 감소했다고 함.







3. 철수 가능성


파업_20160720_아시아경제.jpg


우리나라의 자동차 산업은 


임금이 해외보다 비교적 높고 (2016. 현대차 기준)







파업_201611_한국일보.jpg

파업을 대체로 많이 하는 편이라 (2016)







철수_20170706_서울경제1.jpg


GM 입장에서 한국 공장을 굳이 유지할 


필요성이 부족한 상황이야. (2017)







비토권_20170803_국민.jpg


또 산업은행의 특별결의 거부권이


올해 10월에 만료되면 (2017.08)







가능성_20170803_국민2.jpg


GM본사가 자산매각을 시행해도 


막을 권한이 없어서 (2017)







10월철수설_20170709_연합.jpg 


한국지엠의 철수가 가능하다고 해. (2017.07)

 






철수_20170706_서울경제2.jpg


GM은 심각한 실적부진 때문에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고 (2017.07)







하반기생산계획물량50%감축_20170731_뉴스핌.jpg

올해 하반기 한국지엠 군산공장의 생산이


50% 정도 감축되었으며 (2017.07)






철수_20170716_동아.jpg

한국지엠 노조의 주요 파업 이슈가 


고용 보장, 산업은행 거부권 확인 요구라 (2017.06)







철수_20170704_중앙.jpg


한국GM이 철수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 같아. (2017.07)







20170726_경기일보.jpg


한국지엠이 철수하면 


노동자들에게 매우 안 좋고 (2017.07)





공장위치.jpg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줄 것 같아서


매우 안타까운 문제라고 생각해. 







PYH20170717_연합.jpg


마지막으로 한국지엠의 철수를 막으러면 


물리적인 수단보단 (2017.07)







노동시장_201707_한경.jpg 

외국기업들의 투자를 막는 


저해요인들을 최대한 제거하고 (2017)







경쟁력_20170719_서울경제.jpg 


파업을 자제해서 최소한의 투자 매리트를 


만들어야 한다고 봐. (2017.07)







3. 철수 가능성 요약


1) 산업은행의 한국지엠 특별결의 거부권이 올해 10월 만료됨.


2) GM본사는 실적부진 때문에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음. 


3) 한국 공장을 계속 유지시킬 메리트가 GM 입장에선 부족한 편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916487405







3줄 요약


1. 한국지엠이 지난 3년간 2조 원의 적자를 봐서 자본잠식에 들어감.


2. GM 본사의 상태도 안 좋아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 중임. 


3. 산업은행의 주주총회 거부권 만료로 한국지엠의 구조조정이 가능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