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aFSgB)
안녕~ 오늘은 국제유가 동향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국제유가 동향
2. 미국 석유생산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국제유가 동향
국제유가는 미국의 셰일 혁명으로
미국의 원유생산량이 2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2015)
배럴당 50달러 수준으로 크게 하락했고
지금까지 유지 중이야. (2017.03)
이런 국제유가 하락 때문에
산유국들의 수출이 크게 감소했고
재정 적자가 많이 심각한 편이라 (2016)
많은 산유국들이 국제유가 상승을
간절히 원하고 있어.
그래서 석유 수출국 기구 회원국들은
감산에 합의했고 (2017)
생산량을 줄이고 있는 중인데 (2017.03)
국제유가는 반대로 크게 하락했다고 해. (2017.06)
이게 상당히 흥미로운 이야기라
오늘은 국제유가 동향으로 쓸 생각이야.
1. 국제유가 동향 요약
1) 국제유가는 미국의 셰일혁명으로 폭락했고 지금도 유지 중임.
2) 중동 산유국들이 국제유가 상승을 위해 감산에 들어갔음.
3) 근데 국제유가는 최근 배럴당 42달러 수준으로 크게 하락함.
2. 미국 석유생산
국제유가가 하락하게 된 주된 원인은 (2017.06)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 때문으로
2017년도서부터 생산이 다시 늘고 있어. (2017.06)
미국의 원유생산이 늘어난 이유는
셰일오일 업체들의 기술 개발로
(출처 : GS칼텍스 공식 블로그)
셰일오일 생산단가가 크게 낮아졌기 때문이야.
또 국제유가가 30달러 선으로 낮아져도
생산할 수 있는 업체들이 늘고 있어서
셰일오일 업체들의 경쟁력이
굉장히 좋아졌어. (2008년 기준)
그 외에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에너지 관련 규제를 많이 푼 것도 (2017)
(출처 : GS칼텍스 공식 블로그)
미국의 석유회사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해.
그 결과 미국의 원유 생산 시추기 수가
크게 증가했고 (2017.03)
미국의 원유재고도 갈수록 증가 중이야. (2017)
미국은 세계 3대 원유 생산국으로 (2016.10)
원유 생산과 석유제품 수출로 (2017.02)
국제유가의 균형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어. (2017.06)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국제유가의 수요-공급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서 (2017.03)
국제유가는 배럴당 40~60달러 선에서
계속 유지될 것 같아. (2017.01)
2. 미국 석유생산 요약
1) 미국의 원유생산, 시추기 수는 2017년도에 크게 증가했음.
2) 기술 개발로 셰일오일의 생산단가가 낮아진 것이 원인임.
3) 배럴당 30달러가 손익분기점인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9815011854
3줄 요약
1. 국제유가는 OPEC 감산으로 올라가야 하는데, 반대로 하락함.
2. 국제유가 하락 이유는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 때문으로 보임.
3. 기술 개발로 셰일오일의 생산단가가 점점 낮아지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