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wG09A



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저고도 레이더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저고도 레이더 소개


2. 우리나라의 저고도 레이더-1


3. 우리나라의 저고도 레이더-2


4. 저고도 레이더의 필요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저고도 레이더 소개


레이더_동아.jpg


레이더의 전파는 직진을 하고 주로 하늘을 보기 때문에


낮은 고도의 물체를 보기 힘들고 (2016)






사각_201607_매경.jpg

높은 산위에 배치를 많이 해서


저고도에 사각이 생긴다고 해. (2016)







하늘.jpg


이런 지상 레이더의 단점 때문에 





조기경보기.jpg


하늘 위의 레이더 기지인 


조기경보기가 많이 사용되고 







순항미사일.jpg


순항미사일이 고도 100m 이하로 


낮게 움직이며 






저고도침투.JPG


특수부대의 저고도 침투가 가능한 편이야. 







최대.jpg


그래서 레이더는 탐지거리가 넓은 게


전부가 아니고 (중국 레이더)







저고도레이더 운용개념도.jpg


낮은 고도에 적합한 


저고도 레이더가 필요하다고 해. 







1. 저고도 레이더 소개 요약


1) 지상 레이더는 저고도에 사각이 많이 생김.


2) 이런 레이더의 단점 때문에 저고도 침투가 가능함. 


3) 저고도를 전문적으로 보는 저고도 레이더가 필요함. 







2. 우리나라의 저고도 레이더-1


저고도 탐색 레이더_TPS-830K_54대.JPG


우리나라의 육군에는 저고도 탐색 레이더 


TPS-830K가 54대 있고 







탐지거리40km.jpg


저고도 레이더의 성능은 탐지거리 40km, 


최대 탐지고도 3km로 알려져 있고






(특기병 1426).jpg


저고도 침투 항공기를 찾는 데 


특화되어 있어.


 





방어_20140409_연합.jpg 


근데 우리나라의 TPS-830K는 


소형 무인기를 잘 못 찾는 편으로 (2014)







무인기크기.jpg


북한의 무인기가 비교적 작아서 







식별불가_20170614.jpg


레이더에 새로 자주 잡힌다고 해. 







무인기_20140404_한겨레.JPG


이런 우리나라 저고도 레이더의 단점 때문에


북한의 무인기가 수시로 침범했고 (2014)







무인기_20170613_한경2.jpg


2014년도에 정말 많이 내려와서 (2017)







레이더구매_2014.JPG


국방부가 해외의 저고도 레이더를 


구매하기로 결정했어. (2014) 







이스라엘레이더2.jpg


우리나라는 2014년도에 이스라엘의 저고도 레이더 


RPS-42를 10대 구매했고







방어_20140409_연합.jpg


수도권에 전부 배치했다고 해. (2014)







이스라엘레이더.jpg


이스라엘제 저고도 레이더는 무인기를 잡는데 


최적화된 레이더였으나 






10대도입20140409_세계2.jpg


탐지거리가 30km로 짧고, 소형 무인기는 


탐지거리 10km 이내에서만 식별이 가능해서 (2014)







산맥.jpg


휴전선 250km를 감시하기엔 수량이 너무 적었어. 







최근_20170621_뉴시스.jpg


그래서 이번에 또 저고도 방공망이 


뚫리게 된 것이고 (2017.06)







이스라엘레이더3.jpg


이런 불상사를 막으려면 최소 10대 정도는 


더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해. 







2. 우리나라의 저고도 레이더-1 요약


1) 육군에 저고도 탐색 레이더 TPS-830K가 54대 있음. 


2) 근데 TPS-830K는 소형 무인기 탐색을 잘 못함. 


3) 이스라엘제 저고도 레이더를 10대 구매했으나, 수도권에만 있음. 







3. 우리나라의 저고도 레이더-2


전방배치.JPG


북한 무인기 때문에 화가 난 국방부가


전방에 비호 장갑차를 추가 배치한 상태로 (2017)







비호_20120228_세계.jpg


비호 장갑차의 레이더가 


저고도 탐지에 적합한 편이라 (2012)







비호.jpg

(이미 전방에 많이 있음.) 


전방에 추가 배치되면 저고도 방어에 


도움이 조금 더 될 것이야. 







비호_167대.jpg


비호 장갑차는 우리나라에 167대 있으며







요격.jpg


협곡과 계곡 지형에 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해. 







천마_100여대.jpg

(100여 대 있음.)


그리고 천마 대공미사일 장갑차도 전방에


많이 배치되어 있는 편으로 






천마.jpg


저고도 방어에 도움을 주고 있어. 







장갑차레이더.jpg


하지만 대공 장갑차의 레이더들은 항공기 탐색용이지


소형 무인기 탐색엔 적합하지 못해서 







식별불가_20170614.jpg


북한 무인기를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야. 







저고도레이다_FPS-303K.jpg


그 외에 우리나라 공군의 


저고도 레이더 FPS-303K가 







 2014년.jpg


10여 대 정도 배치되어 있는데 (2014)







yoyo20130120_.jpg


이게 탐지거리 200km, 최대 탐지고도 5km로 


꽤 좋은 저고도 레이더이나 (2013)







공군 저고도 레이더.jpg


소형 무인기는 아쉽게도


탐지를 잘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 







3. 우리나라의 저고도 레이더-2 요약


1) 우리나라에 비호 장갑차, 천마 장갑차, 발칸포가 많이 있음.


2) 하지만 이들 무기의 레이더는 소형 무인기 탐지엔 적합하지 않음.


3) 공군에 탐지거리 200km의 저고도 레이더가 있으나, 상황은 비슷함.  







4. 저고도 레이더의 필요성 


최근_20170621_뉴시스.jpg


북한 무인기의 이번 침투로 


저고도 방공망에 구멍이 뚫린 게 입증되어서 (2017)







evening_20160329_1_5_Large.jpg


무인기 탐지 레이더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생각해. (2016)






안둘기개량.JPG


또 북한이 저고도 침투 수송기의 성능을 


강화하고 






20140402_조선.jpg


일종의 순항미사일인 


자폭형 무인공격기를 개발해서 (2014)







20130321_조선.jpg

(이건 덩치가 커서 탐지하기 쉬울 것임.)


저고도 방공망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봐. 






20130121_조선.jpg

그래서 신형 탐지 레이더인


차기 국지방공레이더의 빠른 배치가 필요하고







개발완료실전배치2-3년.jpg


실전배치까지 너무 오래 걸린다면 


해외 저고도 레이더를 더 구매해야 한다고 생각해. 







20140404_동아.jpg


마지막으로 무인기 요격에 적합한 기관포탄을


개발하거나 구매했으면 좋겠고 (2014)







레이져요격.jpg


레이저 무기 개발을 고려중으로 알고 있는데 







20140409_세계.jpg


빨리 개발했으면 좋겠어. (2014) 







4. 저고도 레이더의 필요성 요약


1) 이번 북한 무인기의 침투로 저고도 방공망이 약한 게 드러났음.


2) 북한이 자폭형 무인기를 개발했고 저고도 침투 수송기를 개량했음. 


3) 저고도 방공망을 확실하게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815011854







3줄 요약


1. 저고도를 전문적으로 탐지하는 저고도 레이더가 있음. 


2. 우리나라에 저고도 레이더가 많이 있으나, 무인기 탐지엔 별로임. 


3. 무인기 탐지용 레이더를 수입했으나, 10대로는 한참 부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