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ZDpHN)

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증권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 증권산업 


2. 증권산업 문제점


3. 최근 증권산업 동향 


4. 증권사 순위와 변화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증권산업 


한국은행경제교육2.gif

(출처: 한국은행 경제교육)


증권산업는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경제교육.jpg


유가증권의 매매, 위탁, 인수 등의 


금융서비스를 하는 산업이야. 






금융산업비중_2015.jpg


우리나라의 증권산업은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5)







임직원_20170522_머니투데이.jpg


증권산업에서 3만 3천여 명이 


일하고 있고 (2017)






급여_20170525_이투데이.jpg

직원 평균 연봉이 9천만 원대인 


고수익 서비스업이라고 해. (2017)







금융시장성숙도_2015.jpeg


다만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이 각종 규제 때문에


발전하지 못해서 (2015)







해외_20130404_이투데이.jpg


해외 증권사에 비하면 


국내 증권사가 한참 작은 편으로 (2013)







해외_201607_한국일보.jpg


우리나라의 증권사와 미국 증권사는 


엄청난 격차를 가지고 있으며 (2016. 자기자본 규모)







해외_20160802_서울.jpg


중국, 일본 증권사에 비해서도 


우리나라 증권사가 많이 작은 편이야. ㅋㅋ (2016)







1. 우리나라 증권산업 요약


1) 증권산업이란 증권을 매매하거나 매매를 중개하는 금융서비스업임.


2)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3만여 명이 일하고 있음. 


3) 우리나라의 증권산업은 미국, 중국, 일본 등에 비해 규모가 많이 작음. 







2. 증권산업 문제점


수익구조_201403_중앙.jpg
우리나라의 증권산업은 수익구조가 

매우 단순한 편으로 (2014)





수수료_20160323_비즈워치.jpg
수익의 대부분이 위탁매매 수수료와 

이자수익에서 나오고 있어. ㅋㅋ (2016)






수익_20161024_중앙.jpg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 증권사의 수익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고 (2016)






증권.jpg

국내 주식시장에 거의 종속되어 있는 편이야. 






해외투자_20170314_조선.jpg
 
이런 문제 때문에 증권산업은

국내 주식시장의 동향이 매우 중요한데 (2016)






박스피.jpg
아쉽게도 국내 주식시장은

2016년도까지 매우 별로였어. (2015)






배당성향_2015.jpg

국내 주식시장이 별로였던 이유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배당에 인색하고 (2015)






투자수익률_2016_서울경제.jpg

개인 투자자의 투자 수익률이 안 좋아 

주식시장의 매력도가 떨어졌던 편으로 (2016)






과거거래대금_조선.jpg

주식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고 해. (2016)





수수료.JPG
그 결과 증권사의 수수료 수익이 부진해졌고 (2017)






쇠퇴_20170605_비즈워치2.jpg

증권사의 지점 수가 조금씩 감소했으며 (2017)






임직원_20170411_한경.jpg
직원 수가 만 명 가까이 줄어들게 되었어. ㄷㄷ (2017)






2. 증권산업 문제점 요약


1) 증권사의 주 수익원은 위탁매매 수수료와 이자수익임. 


2) 국내 증권산업은 국내 주식시장에 의존하고 있음. 


3) 국내 주식시장이 2016년도까지 부진해서 증권업도 부진했음. 







3. 최근 증권산업 동향


주가_20170522_서울.jpg

주식시장은 2017년서부터 활황세로 (2017.05)






상승률_201705_매경.jpg

주가가 상당히 많이 오른 편이야. (2017.05)







신용거래_20170612_아시아투데이.jpg


이렇게 주식시장이 좋아지자 


개인의 신용거래가 크게 증가 중으로 (2017.06)







거래대금_20170515_한국일보.jpg


주식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이 증가했으며 (2017.05 코스피)







주문_20170611_한국일보.jpg 


주문건수도 크게 증가했다고 해. (2017.06)







올해_20170530_머니투데이.jpg


덕분에 증권사의 올 1분기 수수료, 이자, 


자산운용수익이 크게 증가한 편으로 (2017.05)






올해_20170605_비즈워치.jpg


올 1분기 실적이 굉장히 좋아졌어. (2017)







주가_20170518_문화.jpg


그래서 증권사들의 주가도 꽤 올라갔고 (2017)







20170613_뉴스투데이.jpg


요즘 증권사 분위기가 좋다고 해. ㅎㅎ (2017.06)







3. 최근 증권산업 동향 요약


1) 올해 코스피가 많이 올라가서 주식시장이 활황세임.  


2) 일평균 거래대금, 주문건수가 늘어 수수료 수입이 증가함. 


3) 덕분에 증권사의 올 1분기 실적이 많이 좋아졌음. 







4. 증권사 순위와 변화 


증권사수_20140324_중앙.jpg

우리나라 증권사는 60여 개가 있는데 (2014)







PS160803_이데일리.jpg


최상위권 증권사의 비중이 


굉장히 큰 편이야. (2016)







순위_20170601_아시아경제.jpg


우리나라 증권사의 순위는 


자기자본 규모와 (2017) 







임직원_20170529_머니투데이.jpg


임직원 수, (2017)







지점_20170614_머니투데이.jpg


지점 수 등에서 미래에셋대우가 가장 많아 


미래에셋대우가 1위라고 봐. (2017)







201702_금융신문.jpg

다만 과거 영업이익 추이와 (2017)








20170515_아시아투데이.jpg


올 1분기 순이익을 보면 


한국투자증권이 장사를 잘하는 것 같아. ㅎㅎ (2017)






170314_뉴스핌.jpg


그리고 우리나라 증권사가 


지나친 규제 때문에 발전을 못하자 







투자은행_20160802_서울.jpg


정부가 작년 8월에 '초대형 투자은행 육성방안'을 


마련했는데 (2016)







htm_20160803.jpg


이 방안은 자기자본 규모가 클수록 


허용 가능한 업무가 늘어나는 것이라고 해. (2016)







20161229_한겨레.JPG


우리나라 대형 증권사의 자본규모가 


8조 원이 안 되는 게 조금 아쉽지만 (2016)






7월시작.jpg

올해 7월부터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업무를 시작하면 (2017)







자본시장 규모(주식 시가총액+채권 잔액)_20160801_한경.jpg


할 수 있는 일이 늘어나서


돈을 더 잘 벌 수 있을 것 같아. (2016)







신성장_20170620_이투데이.jpg


마지막으로 중소형 증권사들이


특화 전략으로 신성장 동력을 잘 찾고 (2017)







PS170531_이데일리.jpg


우리나라 증권사들이 해외투자를  


더 많이 했으면 좋겠으며 (2017)







htm_20170103_중앙.jpg


눈치 보지 말고 보고서를 정직하게 썼으면


참 좋겠다고 생각해. ㅎㅎ (2017)







4. 증권사 순위와 변화 요약


1) 우리나라 증권사가 60여 개 있는데, 상위권 업체들의 비중이 큼.


2) 직원 수, 점포 수, 자기자본 규모에서 미래에셋대우가 가장 큼. 


3) 최상위권 증권사는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영업을 한다고 함.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815011854







3줄 요약


1. 우리나라 증권사는 해외 대형 증권사에 비해 규모가 한참 작음. 


2. 국내 증권사는 해외 영업을 적게 하고 수익구조가 단순한 편임. 


3. 최근 규제가 약간씩 풀려서 초대형 투자은행이 가능해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