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tVY18)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통신 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통신 산업 소개
2. 통신 3사 순위
3. 통신요금 논란
4. 기본료 인하 문제
5. 5G 통신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통신 산업 소개
통신 산업이란 이동통신, 일반 유선전화, 인터넷, IPTV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해 돈을 버는 산업으로 (2015)
전국에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2013)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이야.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산업은
80년대서부터 시작되었으며 (2014)
전체 가입자 수가 6천만 명에 달해
우리나라 인구보다 많고 (2017)
스마트폰 보급률이 90%를 넘어서
일상생활에 매우 밀접한 산업이라고 해. (2016)
그리고 우리나라의 통신 산업은
매출액이 50조 원 이상이고 (알뜰폰 제외)
통신 3사 직원 수가 수만 명에 달하며 (2014년 기준)
대리점과 판매점을 포함하면
고용 규모가 훨씬 많아져서 (2014)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나름 큰 산업이야. (2015)
1. 통신 산업 소개 요약
1) 통신 산업은 이동통신, 일반 유선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임.
2) 통신 산업은 통신망 구축에 돈이 많이 들어가서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임.
3) 전 국민이 이동통신을 사용해서 일상생활에 매우 밀접한 산업임.
2. 통신 3사 순위
우리나라 통신 3사의 순위는
가입자 수가 가장 많은 SK텔레콤의 (2017)
(회색은 알뜰폰 사용자)
점유율이 가장 높은데, (2017)
신기하게도 매출액은
KT가 가장 높은 편이야. ㅋㅋ (2017)
통신 3사의 요금제가 거의 유사해서 (2017)
가입자당 월평균 사용료가 비슷하면 (2016)
당연히 고객 수가 많은 SK텔레콤의
매출액이 훨씬 많아야 하는데 (2017)
(출처 : KT 공식블로그)
그렇지 않은 점이
정말 신기하다고 생각해. ㅎㅎ
2. 통신 3사 순위 요약
1) 이동통신 점유율은 SK텔레콤이 40%로 가장 많음.
2) 근데 매출액은 KT가 22조 원으로 SK텔레콤보다 5조 원 더 많음.
3) 통신요금과 가입자당 월평균 사용액은 3사 모두 비슷함.
3. 통신요금 논란
통신비는 가계 소비지출의 5% 이상을 차지해서
큰 부담이 되는 편이고 (2017)
우리나라의 통신비 지출이
많다는 주장이 있어서 (2013)
통신요금에 대한 논란이 많은 편이야. (2017)
우리나라의 통신사들은
우리나라의 통신요금이 싼 편이라고 (2015)
주장을 해서 누구 말이 맞는지
애매하다고 생각해. (2012)
우리나라 통신사의 비교적 낮은 수익률과 (2017)
낮은 영업이익률을 보면
통신사의 주장이 맞는 것 같은데 (2015)
1인당 통신비 지출을 보면
상당히 비싼 편이라 (2014)
통신비가 비싼 게 맞는 것 같아. ㅎㅎ
우리나라의 통신비가 비싼 데에는
데이터를 많이 쓰는 것 때문일 수도 있고 (2012)
통신요금의 20%를 차지하는
단말기 할부금이 (2017)
비싸서 일수도 있는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어. ㅎㅎ (2014)
3. 통신요금 논란 요약
1) 가계통신비 지출액이 많아서 통신비가 비싸다는 주장이 많음.
2) 통신사는 자기들의 수익성과 영업이익률이 낮다고 주장함.
3) 한미일의 1인당 통신비 지출을 보면 우리나라가 상당히 높음.
4. 기본료 인하 문제
통신요금이 비싸다보니
기본료 폐지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통신사 기본료는 통신망 설치와
유지 관리 비용이라
통신망이 전국에 깔린 지금 상황에서
1만 1천원은 너무 비싸다는 주장이야.
실제로 통신사 기본료는
꾸준히 인하된 요금이라 (2017)
기본료 폐지 주장은 나름의 근거가 있다고 해. (2017)
하지만 통신사들은 매년 수조 원의
설비투자를 하는 중으로 (2017)
기본료가 폐지되면 설비투자 여력이
감소한다고 (2017)
난색을 표하고 있어. ㅋㅋ
4. 기본료 인하 문제 요약
1) 통신요금이 가계경제에 부담이 되어서 기본료 폐지 주장이 있음.
2) 통신사들은 기본료 폐지 시 설비투자를 할 돈이 없다고 난색을 표함.
3) 기본료 폐지의 찬반 주장에는 나름의 근거가 있음.
5. 5G 통신
(출처 : SK 공식 블로그)
지금 통신사들은 5세대 통신을 준비 중인데
5세대 통신은 모든 면에서
LTE보다 우월한 통신으로 (2015)
800메가 영화를 단 1초 만에 받는다고 해. ㄷㄷ
5세대 통신은 홀로그램, 사물인터넷,
VR 등을 위한 핵심 기술로 (2016)
5세대 통신의 시대가 열리면
많은 것이 바뀔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2016)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에 뒤쳐지지 않고 (2017)
매년 무섭게 늘어나는 데이터양을 생각하면
통신사의 주장이 맞는 편인데 (2016)
통신요금이 비싼 것도 맞다고 생각해서
적당히 인하할 필요성이 있다고 봐.
그래서 통신비 인하 방안은
설비투자를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하면 될 것 같고 (2017)
우리나라 통신사들이 마케팅비로
무려 7조 원 정도 쓰고 있어서 (2017)
(대신 이 방법은 대리점, 광고사, 방송사가 피해를 봄.)
마케팅 비용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해. ㅎㅎ (2017)
5. 5G 통신 요약
1) 5세대 통신은 LTE보다 훨씬 우월한 통신 기술임.
2) 5세대 통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뒤쳐지면 곤란함.
3) 5세대 통신에 투자할 설비투자비는 꼭 필요하다고 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815011854
3줄 요약
1. 통신 산업은 이동통신, 유선전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임.
2. 시장 점유율은 SK텔레콤이 가장 높고 매출액은 KT가 가장 많음.
3. 통신요금에 대한 논란이 많아서 기본료 인하 논쟁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