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Yf9DJ)

안녕~ 오늘은 은행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 은행산업 소개
2. 우리나라 은행산업 단점
3. 우리나라 은행산업 위축
4. 최근 은행산업
5. 우리나라 은행 순위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은행산업 소개
은행이란 예금과 적금의 수신업무,
대출과 어음할인 등의 여신업무를 수행하는
중요한 금융기관이야.
은행은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서
일상생활에 밀접한 금융업종이며
우리나라 경제의 7% 정도를 차지하는
금융산업 중에서 (2013)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금융산업이라고 해. (2015)
우리나라의 근대식 은행은
1878년에 처음 시작되었으며
많은 발전을 하다가 IMF 사태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거쳐 (2014)
그 수가 꽤 많이 압축되었어.

(하나와 외환은행은 합병했음.)
우리나라의 일반은행은 지방은행과
시중은행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덤으로 5개의 특수은행이 있다고 해. (2007)
우리나라의 은행산업은
총자산이 2450조 원에 달하며 (2016)
약 11만 명 정도의 사람들이
은행업에 종사하고 있는 중이야. (2017)
1. 우리나라 은행산업 소개 요약
1) 은행은 예금의 수신업무와 대출의 여신업무를 수행하는 금융기관임.
2) 은행은 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으로 나뉘어져 있음.
3) 은행은 우리나라의 금융산업에서 약 4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2. 우리나라 은행산업 단점
우리나라는 금융규제의 정도가
비교적 심한 나라라 (2014)
금융시장의 성숙도가 굉장히 낮고 (2015)
금융산업 경쟁력이 비교적
떨어지는 나라라고 해. (2009)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의 은행산업이
상당히 약한 편이며 (2014)
우리나라 은행들이 세계 50위권 밖에서
머물고 있는 중이야. (2015)
또 우리나라 은행은 수익구조에서
대출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편으로 (2015)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못 만들어서
비이자수익이 상당히 적고 (2017)
영업이익 중에서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적다고 해. (2016)
2. 우리나라 은행산업 단점 요약
1) 우리나라는 금융규제가 심해서 금융산업 성숙도가 낮음.
2) 우리나라 은행들의 세계 순위는 50위권 밖에 있음.
3) 우리나라 은행들은 이자수익 비중이 지나치게 높음.
3. 우리나라 은행산업 위축
우리나라 은행들은 수익의 90%를
대출에 의존하는데 (2015)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춰서 (2016)
대출금리가 낮아지자
위기를 조금 겪었다고 해. (2016)
은행의 이자수익이 조금씩 감소해서 (2017)
은행의 당기순이익이 크게 감소했고 (2017)
자산규모가 훨씬 작은 보험업보다
순이익이 낮은 해괴한 모습을 보였었어. ㅋㅋ (2016)
또 우리나라의 경기침체로
한계 기업이 크게 증가하자 (2017)
은행의 부실채권도 꽤 증가한 편으로 (2016)
이런 문제들 때문에 은행들이
조금 고생을 한 편이야. (2014)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은
은행의 수익성이 낮아지자 (2017)
(온라인 뱅킹이 활성화된 점도 한몫 함.)
은행 점포당 당기순이익과 (2014)
직원 1인당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 중으로 (2015)
이 때문에 은행 점포가 계속 줄어들고 있어서
조금 안타까워. ㅎㅎ (2017)
3. 우리나라 은행산업 위축 요약
1) 금리인하로 대출금리가 낮아지자 은행 수익이 줄어들었음.
2) 2016년도 은행업의 순이익은 보험업보다 작음.
3) 부실기업 증가로 은행의 부실채권이 증가한 점도 단점임.
4. 최근 은행산업
올해 1분기 우리나라 은행의 순이익은
전년대비 50% 증가해서 (2017)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2017)
은행의 실적이 갑자기 좋아진 이유는
미국 금리인상 때문에 대출금리가 올라가서 (2017)
은행의 예대금리 차이가 커진 덕분으로 (2017)
은행의 이자수익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야. (2017)
덕분에 은행의 올 1분기 실적이 굉장히 좋고 (2017)
은행의 주가도 꽤 많이 올랐다고 해. ㅎㅎ (2017)
4. 최근 은행산업 요약
1) 올 1분기 은행 실적이 전년대비 50% 정도 증가했음.
2) 은행 실적이 좋아진 이유는 대출금리가 올라간 덕분임.
3) 미국 금리인상 여파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소폭 올리고 있음.
5. 우리나라 은행 순위
우리나라 시중은행의 자산규모는
비슷한 편이고 (2015)
실적도 비슷비슷해서 우열을 가리기가
조금 힘들어. (2017)
브랜드 파워 점수나 (2017)
평균 실적을 보면
신한은행이 가장 좋고 (2017)
영업점포 수와 (2017)
은행 직원 수 등을 보면
국민은행이 가장 큰 편이야. (2017)
또 은행 ATM 기계 수와 (2016)
관심도 등을 볼 때 국민은행 쪽이
더 유명한 것 같아. ㅎㅎ (2017)
뭐 어쨌든 요즘 은행업은
연체율 감소와 (2017)
부실채권 비율 감소로 (2017)
상태가 점점 더 좋아지고 있어. (2017)
마지막으로 지방은행들의
영업이 더 잘 되었으면 좋겠으며 (2017)
시중은행들의 국내 영업과
해외 영업도 잘 되어서 (2017)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인
은행의 일자리가 잘 유지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5. 우리나라 은행 순위 요약
1) 브랜드 파워 점수와 평소 실적을 보면 신한은행이 가장 뛰어남.
2) 은행 지점 수, 직원 수, ATM 기계 수 등을 보면 국민은행이 가장 많음.
3) 은행 총자산 규모는 시중은행들이 거의 비슷함.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777696441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은행산업은 금융서비스보다 대출 이자수익에 의존함.
2.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의 수익성이 낮아져서 약간 어려웠음.
3. 미국 금리인상 여파로 대출금리가 올라가 올 1분기 은행 실적이 아주 좋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