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t2AOI)


물가.jpeg 

안녕~ 오늘은 물가상승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물가상승과 원인


2. 물가지수


3. 기타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물가상승과 원인


물가_20170601_아시아투데이.JPG


최근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2%대 초반으로 (2017.06)







20170124_중앙.jpg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중이며 (2017.01)







오년_201704_뉴스워커.jpg


치솟는 물가에 대해 


사람들의 걱정이 많은 편이야. (2017.04)






원인_20170404_중앙.jpg

최근 물가 상승의 이유는 


석유와 식품가격 상승 때문으로 (2017.04)







유가_20170312_동아.jpg


국제유가가 배럴당 5달러 정도 상승하면서 (2017.03)







석유류_20170502_서울신문.jpg


석유 품목의 물가가 10% 이상 급등했고 (2017.05)







수입물가_170214_이데일리.jpg


수입물가지수도 소폭 상승했다고 해. (2017.02) 







신선_20170601_세계.jpg

그다음 식품 물가 상승의 원인은 (2017.06)







AI사태.jpg


장기간 발생 중인 조류독감(AI) 사태로 







산란계_170419_이데일리2.jpg

(산란계 마릿수는 회복 중임.)


암탉이 10% 이상 감소해서 (2017.04)







품목_20170601_서울경제.jpg

계란값이 엄청나게 오른 게 가장 크고 (2017.06)







원인.jpg


그다음은 봄 가뭄과 이른 더위로 







품목_20170530_서울경제.jpg


채소와 과일 가격이 


오른 게 큰 편이야. (2017.05)







1. 물가상승과 원인 요약


1) 최근 물가상승률은 2% 초반이고 5년래 최대치임. 


2) 물가 상승의 원인은 석유와 식품가격 상승 때문임. 


3) 식품가격 상승은 AI사태와 봄 가뭄이 원인이라고 생각함. 







2. 물가지수 


품목별.JPG

(출처: 통계청)


품목별 물가상승률에서 가장 높은 게 


농축수산물로 (2017.05)






농축수산물석유제외.JPG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지수는


안정적이라고 해. (2017.05)






서비스.JPG

그래서 서비스 물가지수와 (2017.05)






공업제품.JPG


공업제품 물가지수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는 편이야. (2017.05)







식료품.JPG

물가를 견인하고 있는 지수는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물가지수, (2017.05)







농축수산물.JPG

농축수산물 물가지수가 가장 크고 (2017.05)







유가_20170502_kbs.jpg


국제유가가 소폭 상승한 것 때문에 (2017.05)







연료비.JPG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지수가 


상승세이고 (2017.05)






교통.JPG

교통비도 크게 증가했어. (2017.05)







2. 물가지수 요약


1)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지수는 평범한 편임. 


2) 서비스와 공업제품 물가지수는 비교적 안정적임. 


3) 농축수산물, 식료품, 전기 및 연료, 교통 물가지수가 크게 상승함. 







3. 기타 


20170516_kbs.jpg


생필품 가격 급등 중에서 


오징어와 삼겹살 가격 급등도 두드러지는데 (2017.05)







어업_20170414_머니투데이.jpg


오징어 가격 급등은 어획량 감소로 인해 


생긴 현상으로 (2017.04)







 어업_20170206_연합.jpg


우리나라 연근해 어획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어서 


조금 안타까운 상태야. (2017.02)







20170530_조선.jpg


이런 이유로 오징어 가격이 오르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2017.05)







201706_한국일보.jpg


돼지고기 가격 상승은 


조금 이상하다고 생각해. (2017.06)







돼지수급_농촌경제연구원.JPG

(출처 : 농촌경제연구원)


돼지고기 사육두수가 일정하고 (2017.06)






수급2.JPG

돼지고기 수입량이 평범한 수준이라 (2017)







축산물_20170601_연합.jpg


최근의 축산물 물가상승은 


조금 의아한 편이야. (2017.06)







생산자_20170220_서울.jpg

그리고 생산자물가 상승도 좀 문제인데 (2017.01)






생산자_2017032_뉴시스.jpg


생산자 물가상승의 원인은 


농축수산물 가격상승 때문으로 (2017.03)







인상_20170528_뉴스1.jpg

이로 인해 많은 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했고 (2017.05)







20170507_중앙.jpg

가격 인상 폭도 꽤 큰 편이라고 해. ㄷㄷ (2017.05)






체감_201501_인천일보.jpg


또 소비자와 밀접한 제품들의 가격이 


크게 상승해서 






체감_201702_중소.jpg

체감물가 지수가 비교적 높고 (2017.02)







저소득_20170213_연합.jpg


저소득층일수록 체감하는 물가부담이 큰 편이야. (2017.02)







주요_201705_강원.jpg

지금의 물가 상승은 먹거리 위주라 


소비자가 느끼는 부담이 큰 편으로 (2017.05)







대책_20170207_서울.jpg


과거 대책보다 더 좋은 물가안정 대책이 


필요할 것 같아. (2017)







201705_기상청.jpg


마지막으로 비가 좀 많이 내려


채소와 과일 가격이 싸졌으면 좋겠고 (2017.05)







세계_170407_연합.jpg


물가를 바로 잡아 우리나라의 물가 순위가 


낮아졌으면 좋겠어. ㅎㅎ (2017.04)







3. 기타 요약


1) 어획량 감소 때문에 생선 가격 상승은 이해가 됨. 


2) 근데 돼지고기는 사육두수도 일정한데 가격이 상승함. 


3) 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해서 체감물가도 많이 올라갔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777696441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가 최근 많이 높아졌음. 


2. 석유와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물가상승을 견인했음. 


3. 식품가격 상승 폭이 커서 체감물가가 높은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