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bYQ5y
안녕~ 오늘은 부동산 시장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최근 부동산 시장
2. 부동산 시장 동향
3. 부동산 시장 우려 사항-1
4. 부동산 시장 우려 사항-2
5.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최근 부동산 시장
작년 11.3 부동산대책으로 조금 위축되었던
부동산 시장은 (2016)
최근 서울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다시 활황세로 (2017.05)
(5월 19일 하루 16만 명 참여.)
수도권 분양시장에 구름인파가 몰릴 정도로
분위기가 좋은 편이야.
다만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는 주체는
서울과 수도권으로 (2017.05)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0% 수준이라 (2017.05)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고 해. (2017.03)
뭐 어쨌든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2015)
아파트 매매가격이 조금씩
올라가고 있고 (2017.05)
주택거래가 활발해서 (2017.04)
(설문조사 자료.)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좋아지고 있어. (2017.05)
1. 최근 부동산 시장 요약
1) 11.3 부동산대책으로 위축되었던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황세임.
2) 수도권 아파트 분양시장에 구름인파가 몰릴 정도라고 함.
3) 근데 수도권만 분위기가 좋지 지방은 별로라 양극화 현상이 있음.
2. 부동산 시장 동향
우리나라의 부동산시장은 2008년도의 고점을
살짝 넘어선 상태로 (2016.09 기준)
대도시를 중심으로
좋은 흐름을 보여주었다고 해. (2017)
덕분에 부동산 청약시장이
활성화되었는데 (2016)
이곳도 양극화가 심해서 될 곳만 되는 상태라
조금 아쉬운 편이야. ㅋㅋ (2016)
그다음으로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은
위축되었다가 다시 회복 중으로 (2017.05)
분위기가 좋아지고 있다고 해. (2017.05)
다만 전국의 4월 인구이동은
42년 만에 최악으로 (2017)
(짤은 2015 전국 인구이동)
인구이동이 둔화되고 있어서
조금 아쉬운 편이야. ㅎㅎ
2. 부동산 시장 동향 요약
1) 최근 집값은 2008년 최고점을 아주 약간 넘어섰음.
2) 주택거래량은 1월 달에 위축되었다가 다시 회복 중임.
3) 4월 인구이동은 42년 만에 최저치로 조금 안 좋은 모습임.
3. 부동산 시장 우려 사항-1
최근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좋은 편인데 (2016. 분양권)
전문가들의 평가는 약간 부정적이라고 해. (2016.12)
전문가들의 평가가 부정적인 이유는
입주물량 과잉과 주택담보대출 때문으로 (2016)

부동산 시장 활성화 분위기 때문에
공급물량이 크게 증가했는데 (2017)
우리나라가 앞으로 고령화 사회로 가는지라 (2016)
부동산 공급과잉 우려가 조금은 있는 편이야. (2016)
또 주택 물량이 꾸준히 증가 중인데 (2016)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인구가
순유출 중이라 (2017)
수요는 감소하는데, 공급이 증가하는 추세로 (2016)
공급과잉 우려를 약간은
해볼 만한 상황이라고 해. ㅎㅎ (2016)
3. 부동산 시장 우려 사항-1 요약
1) 전문가들의 올해 부동산 시장 평가는 조금 부정적임.
2)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입주물량 과잉과 주택담보대출 문제임.
3) 2017,2018 주택 공급물량이 많은 편이라 근거가 있음.
4. 부동산 시장 우려 사항-2
전문가들이 부동산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2번째 이유는
우리나라의 1300조 가계부채 문제로 (2017)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타국보다 높아서 좀 문제야. (2014년 기준)
또 금리가 높고 재정이 부실한 (2017.01)
비은행권 가계대출이 크게 증가해
부담이 되고 (2017.03)
미국 금리인상 분위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다시 오르고 (2017.05)
은행 대출이 까다로워지고 있어서 (2017.04)
부동산 시장에 자금 공급이
조금 둔화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 (2017.05)
그리고 가구 소득 증가율이 많이 낮고 (2017)
많은 가구들이 대출 이자 부담에
허덕이고 있어서 (2016)
대출 문제를 걱정하는 전문가들의 생각이
꽤 타당하다고 봐. (2017)
4. 부동산 시장 우려 사항-2 요약
1)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너무 많아서 조금 우려가 됨.
2) 은행의 금리 상승과 대출심사 강화도 부동산에 부정적임.
3) 가계소득 증가율이 낮고 원리금 부담이 심한 것도 문제임.
5. 내 생각
우리나라의 청년실업 문제는 꽤 심각하고 (2017)
앞으로 더 증가할 수 있는 문제라
해결이 시급하다고 생각해.
청년실업이 심각하니깐 결혼이 감소하고 (2017)
출산율이 감소해서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는 상태야. (2016)
고령화가 심해지면 부동산 시장에
큰 악영향으로 (2017)
주택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서라도
취업 대책, 출산 대책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2015)
뭐 어쨌든 앞으로 주택 공급 물량이
크게 증가할 추세라 (2016)
미분양 물량 관리와
가계부채 한계가구 관리가
좀 필요하고 (2017.04)
개인은 미분양 지역을 잘 피하면서
주택을 구매하면 된다고 봐. (2017.05)
이번 글에서 조금 부정적으로 썼지만
상승할 지역은 꾸준히 상승 추세고 (2017)
(설문조사)
유망할 지역은 계속 유망할 전망이라
잘 골라서 주택을 사면 충분할 것 같아. ㅎㅎ (2017)
5. 내 생각
1) 청년실업, 미혼, 저출산 문제도 부동산 시장에 안 좋음.
2) 고령화로 인한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이 미래에 있음.
3) 조금 안 좋게 썼지만, 유망한 지역은 좋을 것 같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694209010
3줄 요약
1. 최근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좋음.
2. 근데 지방 부동산은 안 좋은 편이라 양극화 분위기가 있음.
3.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좋은데, 대출 문제와 공급과잉 우려가 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