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5UgcT

2015-12-30-1451479560-7511685-ksa.jpg


안녕~ 오늘은 사우디의 대표기업 아람코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아람코 소개


2. 사우디 최근 상황


3. 아람코 상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아람코 소개


601px-Saudi_Arabia_on_the_globe_(Afro-Eurasia_centered).jpg

아람코는 사우디 아라비아의 국영 석유회사로 







20160109_경향.jpg


최소 자산 가치 2800조 원, 


연 매출 424조 원의 대기업이야. (2014년 기준)







로고.jpg


아람코는 1933년에 아라비아 - 미국 석유 회사라는 이름의 


합작 회사로 시작했으며 







00saudi1-superJumbo.jpg


미국 자본과 기술을 바탕으로 


사우디의 석유 개발을 담당했다가 






201601_매경.jpg

(아람코의 정식 명칭은 Saudi Arabian Oil Co)


1980년대에 국영화되어서 


지금의 아람코가 되었다고 해. 







htm_20161212_중앙.jpg

아람코는 세계 3대 산유국인 사우디의 


대표 석유회사로 (2016.10월 기준.)







20160108_이투데이.jpg


한해 원유 생산량이 35억 배럴이고


25억 배럴을 수출하는 기업이야. (2016)







htm_20160512_중앙.jpg


아람코의 일평균 원유 생산량은 


메이저 석유회사들 중에 가장 크며 (2016)






아람코사업.JPG


원유 생산, 정유, 화학 산업 등을 하는 회사로 







정제능력.jpg


아람코의 정확한 정제 능력은 잘 모르겠지만


상당할 것으로 보이고 있어. (2013년 기준)







20160329_한겨레.JPG


그밖에 우리나라가 사우디산 원유를 


많이 수입하고 (2016)







20150322_조선.jpg


사우디가 외국 인재를 잘 채용하는 편이라 







Large_4114955.jpg


우리나라 사람들도 제법 일하는 


기업이라고 해. ㅎㅎ







1. 아람코 소개 요약


1) 아람코는 사우디 아라비아의 국영 석유회사로 1933년에 설립됨. 


2) 최소 자산가치가 2800조 원이고 연 매출 424조 원의 대기업임. 


3) 메이저 석유 회사들 중에 일평균 원유 생산량이 가장 많음. 







2. 사우디 최근 상황


fredgraph (3).jpg


사우디 아라비아는 국제유가 하락 때문에


요즘 고생 좀 하는 나라로 (2016)







20151110_이투데이2.jpg

(2016년 경제성장률이 1.4%로 집계됨.)


경제성장률이 크게 하락한 나라야. 







201506_매경.jpg

사우디 아라비아는 석유 산업에 


경제가 지나치게 편중되었고 (2015)







201601_더스쿠프.JPG


원유 생산단가가 매우 낮지만 


지나치게 돈을 헤프게 써서 (2016)







20151026_이투데이.jpg


재정수지 균형유가가 상당히 높은 나라 중 


하나라고 해. (2015)







20160708_뉴스1.jpg


그 결과 사우디 아라비아는 


심각한 재정적자를 기록하는 중으로 (2016)






석유의존도.jpg

국가재정의 90%를 차지하는 


석유 수입이 감소해서 







Saudi_Arabias_weakening_fiscal_situation-line_chart-ft-web-themelarge-600x418.jpg


정부 수입에 비해


정부 지출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야. ㄷㄷ (2016)






20151110_이투데이.jpg

이런 문제들 때문에 제로에 가까웠던 


사우디의 정부부채가 크게 증가 중이라 (2015)







저유가.jpg

(980억 달러 = 110조 원.)


사우디 정부가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주식 상장을 추진하고 있어. 







2. 사우디 최근 상황 요약


1) 국제유가 하락으로 사우디의 경제성장률이 크게 감소했음. 


2) 사우디의 원유 생산단가가 매우 낮지만 돈을 헤프게 써서 좀 문제임. 


3) 한해 재정적자가 사우디 GDP의 10% 정도씩 발생하고 있음. 







3. 아람코 상장


20160426_이투데이.jpg


사우디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주식시장 상장을 추진 중으로 (2016)







Saudi-Aramco-IPO5-e1461364324900.jpg


전체 지분의 5%를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매각해서 







2조달러.jpg

(2018년도에 상장 예정.)


수백조 원이 넘는 현금을 챙길 생각이라고 해. ㅋㅋ 







2018년상장_20170508_내일신문.jpg


아람코가 사우디의 계획대로 상장된다면


애플보다 시가총액이 4배 더 큰  


세계 최대의 기업이 나오게 되는데 (2017)







20170303_내일.jpg

안타깝게도 시장의 예상치는 


훨씬 작은 편이야. (2017)







20170517_중앙.jpg


일단 국제유가가 낮은 상태라


석유회사에 대한 기대치가 낮고 (2017)







20160108_FT.jpg


아람코의 원유 생산량이 엄청나게 


많은 것에 비해 (2014년 기준)







20150414_이투데이.jpg

(아람코의 2014년도 매출액은 3780억 달러.)


아람코의 매출액이 이상하게 낮은 편이라 (2015)







20160512_중앙.jpg


시가총액 2조 달러를 만들기가 


조금 힘들지 않을까 싶어. ㅋㅋ (2015)






Saudi-Aramco-Plans-IPO.jpg

뭐 어쨌든 내년에 있을 아람코의 기업 공개(IPO)는 


세계 최대의 기업 공개가 될 것 같고 







20161218_한경.jpg


여기서 재미를 많이 봐서 


사우디의 '비전2030'이 잘 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2016)







3. 아람코 상장 요약


1) 사우디 정부가 아람코를 상장해서 수백조 원을 챙기려고 함. 


2) 근데 아람코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1/5 수준으로 많이 낮음. 


3) 아람코의 매출액은 원유 생산량에 비해 이상할 정도로 낮은 편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9694209010







3줄 요약


1. 아람코는 사우디의 국영 석유회사로 최소 자산가치가 2800조 원임. 


2. 원유 생산량 세계 1위의 글로벌 석유회사로 내년에 상장된다고 함. 


3. 사우디 정부가 아람코 상장으로 큰돈을 챙겨 저유가 위기를 넘기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