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1c4b

표지.jpg


안녕~ 오늘은 대우조선 운지와 P플랜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대우조선해양 운지


2. 대우조선 상황


3. 채무재조정과 P플랜 소개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대우조선해양 운지


20170324_조선.jpg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매출


12조 원의 대기업으로 (2017)







조선3사.jpg

우리나라 조선업을 책임지는 


기업 중 하나야. 





20170323_세계.jpg

근데 대우조선은 부채비율 약 3000%의


극도로 부실한 기업으로 (2016년 말 기준)








순이익_20170323_한국일보.jpg

(분식회계 정정 후 통계)


수년간 대규모 적자에 시달렸다고 해. (2017)







해양플랜트_20150721_조선.jpg


대우조선이 운지하게 된 이유는 


수주 비중이 컸던 해양 플랜트에서 (2015)








운지이유_20160425_머니투데이.jpg


어마어마한 손실이 발생한 점이


가장 큰 이유이고 (2015)







의혹_20160808_세계.jpg


덤으로 대우조선 경영진의 비리와 (2016)







180억꿀꺽_YTN.jpg

(직원 1명이 회삿돈 180억 원을 횡령했음.)


임직원의 기강 해이 등 







총제적난국.jpg


대우조선해양에 문제가 매우 많았기 때문이야. 







20160627_글로벌이코노믹.jpg


또 대우조선은 회사의 부실을 숨기기 위해 (2016)








분식_20160623_MBC.jpg


5조 원 대의 분식회계를 저지를 정도로 


도덕성에 문제가 많은 편이라







부실원인_20160616_조선.jpg


대우조선해양은 망할 만 했다고 생각해. ㄷㄷ (2016)







1. 대우조선해양 운지 요약


1) 대우조선해양은 우리나라 조선3사 중 하나인 대기업임.


2) 수년간 대규모 적자가 지속되어서 엄청 부실해졌음.


3) 분식회계, 경영비리 등의 도덕적 해이도 심한 편임. 







2. 대우조선 상황


적자_201601_경상일보.jpg


대우조선해양은 무리한 해양플랜트 사업으로


5조 원 대 손실을 보았고 (2016)







영업흐름_201605_매경.jpg


오랫동안 회사 현금흐름이 개판이여서 (2016)







사내유보금_20160519_머니투데이.jpg


사내유보금이 없는 부실기업이야. (2015년도 기준)







주가_201703_매경.jpg


회사가 이렇게 부실하다보니 주식은 


작년 7월에 거래정지 되었고 (2017)







정리매매_장내거래안함_20170413_중앙.jpg


회사채는 최근에 정리매매 되어서 


장내거래를 못하고 있어. (2017)








지원_20170323_한국일보.jpg


더 심각한 점은 국책은행들이 수조 원을 


지원해주었는데도 불구하고 (2017)







현금흐름_20170205_한경.jpg 


현금이 매년 1조 2천억 원씩 부족해서 (2017)







회사채_201703_경남.jpg


빚을 갚는 게 빠듯한 상황이야. (2017)







총재적부실2.jpg


대우조선에 문제가 너무 많아서


이딴 기업 파산시켰으면 좋겠는데 







채무_20170406_조선.jpg


대우조선 파산 시 금융권 손실이 


너무 크고 (2017)





20170323_세계.jpg

국가경제 손실이 59조 원 정도로 


꽤 심각해서 (2017)







더스쿠프.jpg

밑 빠진 독에 물붓기인 것 같지만


거액을 퍼부어서라도 회생시킬 것이라고 해. ㄷㄷ (2017)







2. 대우조선 상황 요약


1) 대우조선에 사내유보금이 없는데, 대규모 적자를 봐서 상태가 안 좋음.


2) 국책은행이 수조 원을 지원해주었는데도 불구하고 매우 부실함. 


3) 대우조선 파산 시 59조 원의 손해가 예상되어서 파산시키기도 애매함. 







3. 채무재조정과 P플랜 소개 


국민연금.jpg


국민연금이 대우조선 회사채를 


30% 정도 가지고 있어서 (2017)







201703_한국일보.jpg


채무재조정 합의에 국민연금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한 상태야. (2017)








갈등_20170412_이투데이2.jpg


근데 국민연금이 채무재조정에 합의를 해주면


업무상 배임죄 등으로 상당히 곤란한 편이라 (2017)







플랜_20170323_서울.jpg


채권단 합의가 불발되어서 


P플랜이 진행될 수 있다고 해. (2017) 







플랜_201704_한경.gif


P플랜은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구조조정으로 (2017)







플랜_170316_뉴스핌.jpg


법정관리보단 좋고  


자율협약보단 안 좋은 제도야. (2017)








강제성_20170412_서울2.JPG


문제는 P플랜이 이름이야 어쨌든 


초단기 '법정관리'에 가까운 물건이라 (2017)







플랜_장단점_20170412_이데일리2.jpg


선주가 빌더스 디폴트(선박 건조계약 취소 Builder’s default)


조항을 행사할 수 있고 







협력업체_뉴스1.JPG

협력사가 최소 한 달 정도 납품대금을 못 받게 되어서 


문제가 많다고 해. (2017)







20170412_머니투데이.jpg


그래서 제일 좋은 건 자율적 구조조정인데, 


이건 국민연금의 입장이 난처해서 힘들고 (2017)






손실_20170412_서울3.JPG


법정관리보단 P플랜이 나아서 


아마도 P플랜으로 갈 것 같아. (2017)







전망_20170323_한겨레.JPG


마지막으로 세계 조선업이 2017년도부터


회복할 수 있다고 해서 (2017. 전망)








자구노력_20170406_아시아경제.jpg


대우조선이 임직원들의 피나는 노력과 


국책은행들의 지원으로 회생했으면 좋겠고 (2017)








향후_20170326_머니투데이.jpg


이제는 민영화로 방만 경영을 줄였으면 좋겠어. (2017)







3. 채무재조정과 P플랜 소개 요약


1) 대우조선 채무재조정은 국민연금의 동의가 꼭 필요한데, 그게 난감한 편임. 


2)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의 중간쯤 되는 새로운 구조조정을 시행할 것 같음. 


3) P플랜은 우리나라에 전례가 없던 일이라 많이 생소한 편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545429567







3줄 요약


1. 대우조선은 해양플랜트 사업 실패로 극도로 부실해졌음. 


2. 대우조선 파산 시 국가손실이 너무 커서 회생작업 중임. 


3. 채무재조정이 실패하면 P플랜이라는 새로운 구조조정을 한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