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OLmHB
안녕~ 오늘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의 사드 보복
2. 사드 보복-무역
3. 사드 보복-화장품과 관광
4. 사드 보복-면세점과 롯데
5. 사드 보복 결과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사드 보복
올해 2월 롯데와 국방부의
사드 부지 계약 체결로 (2017)
사드 포대의 일부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상태야. (03.07)
중국은 이기적인 이유로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를 반대하고 있어서 (2016)
작년부터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보복 조치를
조금씩 취하고 있었고 (2016)
이번 사드 배치 확정으로
경제 보복을 노골적으로 하고 있어. (2017)
그래서 오늘은 중국의 사드 보복과
그에 대한 대응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사드 보복 요약
1) 사드 배치 확정 이후 중국의 보복 조치가 노골적임.
2) 관광업계와 중국 진출 기업 쪽에 보복이 집중되어 있음.
2. 사드 보복-무역
우리나라는 중국과 교역을 많이 하기 때문에
무역에서 보복을 당하면 꽤 곤란했을 텐데 (2016)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교역이
가공무역 위주라 (2013)
제 정신이면 보복하기 힘든 구조라고 해.
그래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교역은
미국과 유럽의 경제회복에 힘입어 (2017)
전년 대비 10% 이상으로
크게 증가한 추세야. ㅎㅎ (2017.03)
다만 중국이 자국의 손실을 감수하고
무역 쪽에 보복을 할 수도 있는데
중국 경제가 썩 좋지 못한 현 시점에선
쉽지 않은 이야기이고 (2016)
명확하게 무역 보복을 하면
우리나라가 WTO에 제소할 수 있어서
중국의 경제 보복은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진행될 것 같아. (2017)
2. 사드 보복-무역 요약
1) 우리나라와 중국의 교역은 전년대비 10% 이상 증가했음.
2) 무역 보복은 중국의 피해가 커서 중국이 하기 힘든 편임.
3) 우리나라와 중국의 교역이 가공무역 위주라 가능한 이야기였음.
3. 사드 보복-화장품과 관광
우리나라에 대한 중국의 무역 보복은
소비재 위주로 (2015)
가장 규모가 큰 화장품에 대해 보복을 했어.
하지만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출은
오히려 증가한 편으로 (1~2월)
(역직구 : 해외 소비자가 국내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
중국인 소비자가 인터넷 구매를
많이 해서 그런 것 같아. ㅎㅎ
그래서 중국 화장품의 신뢰성이 크게 좋아지지 않는 이상
한국산 화장품이 잘 팔릴 것으로 생각해.
사드 보복으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곳은
바로 관광으로 (2017)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중국인 관광객이 워낙 많았기 때문이야. (2015)
다만 중국인 관광객의 50% 정도는
규제에 상관없는 개별자유여행이고 (2017)
문제가 많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사라지자 (2017)
다른 나라 관광객이 크게 증가하고 (예약)
내국인 관광객이 증가해서 (제주도 방문)
인천공항 이용자 수는
전년대비 15%가 증가한 상태라고 해. ㄷㄷ (2017.03)
그래서 관광업계의 올해 실적 예상은
아주 나쁘지 않은 편으로

우리나라에 있는 중국계 여행사와
중국계 식당, 중국인만 큰 손해를 본 상황이야.
3. 사드 보복-화장품과 관광 요약
1) 중국 정부가 한국산 화장품을 규제했지만, 수출은 오히려 증가했음.
2) 중국 정부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한국 여행을 규제했음.
3) 중국계 여행사, 중국계 식당, 중국인만 큰 손해를 보고 있음.
4. 사드 보복-면세점과 롯데
중국의 경제보복으로 큰 피해를 본 곳은
바로 면세점으로 (2017.03)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유독
쇼핑을 좋아해서 그렇다고 해. (2014)
그래서 면세점 업계를 위해 내국인 제한 규제를
일시적으로 완화할 필요성이 있는 것 같아. ㅎㅎ (2017)
그다음으로 롯데 그룹 피해가 있는데 (2017)
롯데 그룹은 중국에 진출을
워낙 많이 해서 (2015)
피해가 꽤 큰 편이라고 해. (2017)
다만 중국 매출은 롯데 그룹 총 매출의 3%
밖에 안 되어서 비중이 좀 작고 (2015)
중국 사업에서 계속 적자를 보는 상태였어. (2015)
중국은 해외 유통기업의 무덤이라 불릴 정도로
철수한 기업이 많은 편으로 (2017)
롯데가 중국에 크게 투자한 것이 잘못인 것 같아. ㅎㅎ
4. 사드 보복-면세점과 롯데 요약
1) 중국인 관광객 비중이 높았던 면세점의 피해가 큰 편임.
2) 내국인의 면세점 이용 규제를 완화할 필요성이 있음.
3) 중국에 크게 진출한 롯데가 손해를 많이 보고 있음.
5. 사드 보복 결과
중국의 경제보복은 과거 사례를 볼 때
실효성이 적은 편으로 (2016)

관광 규제를 일본과 대만이
잘 극복했으며 (2017)
경제 보복과 반대로
주가가 상승했다고 하는데 (2017)
우리나라도 최근 비슷한 현상이
발생하는 중이야. ㅋㅋ (2017)
이런 이유로 중국의 경제 보복은
중국의 실책으로 (2017)
우리나라의 반중 감정만
크게 늘리는 것 같아. ㅎㅎ
그리고 중국의 경제보복은
미국의 반격을 부추기는 행동으로
이미 중국 기업이 1조 3천억 원의
벌금을 맞은 상태야. (2017)
그러므로 중국은 위선적이고 비실용적인
경제보복을 이제 그만하고
우리나라는 과도하게 많은
대중 투자를 크게 줄여 (2014)
일본처럼 중국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고 생각해. ㅎㅎ (2017)
5. 사드 보복 결과 요약
1) 중국의 경제보복은 시간이 지나면 충분히 극복 가능함.
2) 중국의 경제보복은 우리나라의 반중 감정을 부추기는 나쁜 행동임.
3)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중국 리스크를 줄여야 함.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545429567
3줄 요약
1. 중국이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를 싫어해서 경제보복 중임.
2. 중국의 경제보복은 큰 위협은 아닌 편으로 극복 가능함.
3. 중국의 경제보복과 반대로 지표가 좋은 곳이 많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