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Emhhp)


과연.JPG


안녕~ 오늘은 비행선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비행선 소개


2. 미 육군 비행선 사업-1


3. 록히드 마틴사의 P-791


4. 미 육군 비행선 사업-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비행선 소개


1941364.jpg


비행선이란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담아


하늘을 나는 비행체로 







Ko-Zeppelin_diagram.jpg

기체 대부분의 공간이 가스 주머니로 


구성된 물건이야. 






2E9CC67100000578-0-image-a-10_1447963949026.jpg


비행선은 배보다 훨씬 빠르고 


비행기보단 연료 효율이 뛰어나서







zepp_images01.jpg


옛날에는 여객용으로 제법 쓰였으나 







컨테이너선.jpg


운송능력에선 배와 기차보다 한참 못하고


속도에선 비행기보다 한참 느린 어정쩡한 성능과







burning-with-mast-1024x768.jpg

(지금은 비가연성 가스를 써서 폭발 위험이 없음.)


악천후에 취약한 점,


폭발 위험성 때문에 거의 사장되어서 








광고판.jpg


지금은 광고판 대용으로 더 많이 쓰이는


비운의 물건이라고 해. ㅎㅎ







0-XNkfl7m5QEJ6H1Mz.jpeg


근데 이 비행선을 미 육군에서


꾸준히 연구하고 있어서 







24294794971_3dc167949c_b.jpg


오늘은 미국이 연구 중인 비행선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ㅎㅎ







1. 비행선 소개 요약


1) 비행선은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담아 하늘을 나는 비행체임


2) 배보다 훨씬 빠르고 비행기보다 연료 효율이 좋은 운송수단임. 


3) 어정쩡한 성능과 악천후에 취약한 점 때문에 잘 쓰이지는 않음. 







2. 미 육군 비행선 사업-1


1478538409711.jpg

미 육군은 비행선을 지형지물의 영향을 덜 받고 

연료 효율이 좋은, 꽤 괜찮은 운송수단으로 생각해서






f0205060_50e61c6b19263.jpg

수송헬기의 역할을 수행할 






07_SWAirships_V26N2_1267828237_2229.jpeg


군용 비행선 개발은 연구했는데 







slide_1 (1).jpg


해당 프로젝트의 이름은 LEMV,


긴 지구력 다중 정보 운송수단이라고 해. 







Northrop-Grumman’s-LEMV-hybrid-airship.jpg


프로젝트 이름에 다중 정보(Multi-Intelligence)가 들어간 이유는 


비행선을 조기경보기 대용으로 쓸 목적이라 그런 것으로







감시선.jpg


비행선이 기상조건만 좋으면 


굉장히 오래 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 같아.



LEMV-Hybrid-Airship-United-States-Army-MB-4.jpg

해당 프로젝트에 선택된 비행선은 


영국에서 개발하고 노스롭 그루먼 사가 지원한 







3925269.jpg


에어랜더10으로 







inline_7c5ed888-ce_1058169a.jpg


10톤의 화물 혹은 50명의 승객을 


운반할 수 있고 







LEMV-5fcb0.jpg


요격 능력이 부족한 적을 상대로는


감시 및 정찰 임무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해. 







Airlander.jpg

(100 마일(mph)는 시속 160km 정도.)


하지만 에어랜더10의 속력이 비행기의 1/5 정도고 


운송능력(Payload)이 시원찮아서 







06_SWAirships_V26N2_1267828237_1975.jpeg


미 육군의 LEMV 프로젝트는 


2013년도에 아깝게 취소되었어. ㅋㅋ







2. 미 육군 비행선 사업-1 요약


1) 미 육군에서 비행선을 수송 및 정찰용으로 연구했음.  


2) 10톤의 화물 혹은 50명의 병력을 수송하고 조기경보기 대용으로도 쓰려고 했음.  


3) 수송헬기의 역할을 수행할 만 했지만 2013년도에 계획을 취소했음. 







3. 록히드 마틴사의 P-791


다운로드.jpg


록히드 마틴사는 미 육군 프로젝트에서 


탈락한 회사인데 







 18673241948_431d11fb80_b.jpg


탈락한 비행선 사업을 계속 연구해서 


민수용 비행선을 만들려고 하고 있어. ㅎㅎ







maxresdefault.jpg


그 비행선의 이름은 P-791로


하이브리드 비행선이라고 하며 







P791_Prototype_Prew_01.jpg00408776-d30a-4648-8ad6-dba3566979d3Original.jpg


바닥에 공기부양정에 쓰이는 


4개의 에어쿠션을 달아 






what_is_a_hybrid_airship.jpg

수직이착륙 능력과 속력 등을 강화했다고 해. 

 







Mjc5NDkzNg.jpeg


P-791은 생긴 게 기존 비행선과 많이 달라서 







특이함.JPG


상당히 독특하다고 생각하고 







CHyNQwkWUAEfMmt.jpg


운송 능력은 20톤의 화물과 







320C6F0F00000578-0-image-a-9_1457606362494.jpg


18명의 승객으로 알려져 있어. 








maxresdefault (1).jpg


나는 이런 비행선이 별 볼일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86ba5e4c3409b9eae5acf6ee3aef4ef9.jpg


의외로 항공사에 12대나 팔려서


상업성을 인정(?) 받았고 (2018년에 인도됨.)








boyd road.JPG


록히드 마틴사에서 500톤 운송능력의 


비행선 개발을 목표로 한다고 해서







01_SWAirships_V26N2_1267828237_5509.jpg


운이 좋으면 비행선이 활성화되어서 







07a9bec1-27f8-4fd9-a86a-67e202545865-large.jpg


도로망이 부실한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해. ㅎㅎ







3. 록히드 마틴사의 P-791 요약


1) 미 육군 비행선 사업에서 탈락한 록히드 마틴사가 비행선을 꾸준히 연구 중임. 


2) 민수용 비행선을 개발했고 2018년도에 상용화한다고 함. 


3) 하이브리드 비행선으로 기존 비행선보다 조금 더 진보했다고 함. 







4. 미 육군 비행선 사업-2


slide_1.jpg


미 육군에서 LEMV 프로젝트를 포기하고


연구한 것이 JLENS 프로젝트로 







PUB_JLENS_Infographic_Raytheon_lg.gif


이것은 운송능력을 뺀  


감시 및 정찰 용도의 비행선 사업이라고 해. 







비행선.jpg


해당 비행선은 대형 풍선에서 


레이더를 장착하고 








jlens-aerostats.jpg

지상의 관제센터가 일을 하는 


매우 간단해 보이는 사업이었는데 








rtr3d91x.jpg


비행선에 동력장치가 전혀 없고 







Jlens.jpg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위치해 있어서 







운지.jpg

(우리나라도 비슷한 것을 개발했음.)


날씨 변화에 굉장히 취약한 편으로


수시로 운지했었어. ㅋㅋ







rsz_lockheed-haled-blimp-5.jpg

(중국, 일본에서도 개발 중임.)


그래서 미국은 날씨에 무관한 성층권에서 







ISIS.jpg

(탐지거리 600km)


지상을 감시할 비행선을 개발 중으로 







integrated-radar-airship-darpa1.jpg


해당 비행선의 이름은 HALE-D라고 해.








darpa-isis1.jpg


이 비행선 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ISIS-darpa.jpg


비행선은 염가판 인공위성으로 


쓰일 수 있는 상황으로 








성층권비행선 개념도.jpg


미래에는 성층권 비행선이 


많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해. ㅎㅎ 







4600833956.jpg


마지막으로 비행선은 비행기, 배, 기차 상대로는 경쟁력이 없지만 


트럭과 헬기 상대로는 가능성이 조금 있는 물건으로 







01_SWAirships_V26N2_1267828237_5509.jpg 


미래에는 흔히 쓰일 수 있을 것 같아. 







Aeroscraft-Pelican-new-airship-4-640x480.jpg 

(연구 대부분은 도중에 취소되었지만)


또 거의 사장된 비행선을 꾸준히 연구 중인








DF-TECH-UASAIRSHIP_2_SAIC-ArcXeon.jpg 


미국이 참 재미있는 나라라고 생각해. ㅎㅎ








4. 미 육군 비행선 사업-2 요약


1) 감시용 비행선을 연구했으나 악천후에 취약해서 새로운 것을 연구 중임. 


2) 성층권 비행선을 연구 중으로 잘하면 염가판 인공위성이 될 수 있음. 


3) 성층권 비행선은 중국, 일본도 연구 중으로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함.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446677678







3줄 요약


1. 비행선은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담아 하늘을 나는 비행체임.


2. 어정쩡한 성능 탓에서 잘 안 쓰였는데, 미 육군에서 연구 중임. 


3. 수송, 감시용으로 연구 중으로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