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QkWPg

2012년9월25일에취역.jpg


안녕~ 오늘은 중국의 랴오닝 항공모함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랴오닝함 개발과정


2. 랴오닝함 성능-1


3. 랴오닝함 성능-2


4. 랴오닝함 무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랴오닝함 개발과정


htm_20110802_중앙.JPG


랴오닝함의 원래 이름은 바랴크함으로 


바랴크함은 소련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2번함이었는데 (2011) 







1985년기공_1992년중단.jpg 


소련 붕괴로 1992년도에 


공정률 70%에서 건조가 중단되자 







2002년도에중국도착.jpg

(2천만 달러 = 약 240억 원.)


중국이 해상 카지노를 만든다는 명목으로 


우크라이나 정부로부터 2천만 달러를 주고 구매했다고 해. 







바랴크함.jpg


문제는 바랴크함이 1985년도에 기공된 매우 낡은 배이고 


엔진도 조타장치도 없이 기본 골격만 있는 배라 







2010-PLAN-Varyag-12.jpg

(2002년도에 중국 다렌항에 도착함.)


되살리는데 10년의 시간이 소요된 배로 







2012년9월25일에취역.jpg

(실제는 30년 묵은 배.)


2012년 9월 25일에 겨우 취역할 수 있었어. ㅎㅎ







1. 랴오닝함 개발과정 요약


1) 랴오닝함은 소련의 바랴크함을 수입해서 만든 배임. 


2) 기본 골격만 있던 상태라 개조하는데 10년이 걸렸음. 


3) 2012년도에 취역했지만, 실제는 30년 묵은 구형 배임.







2. 랴오닝함 성능-1


carrier_comparison_static_apr_4.jpg


랴오닝함은 만재 배수량 6만 톤의 꽤 큰 군함으로






 liaoning-1-graphic.jpg

길이 304 미터, 폭 73 미터나 되며


2,600명의 승무원이 탑승할 수 있는 배야. 







20120926.jpg


랴오닝함의 카탈로그 스팩은


함재기 26대, 대잠헬기 26대, 조기경보헬기 4대,


대함유도탄 12발, 대공유도탄 192발의 엄청난 배이지만 (2012)







20120927_중앙.jpg


실제 성능에 대해선 의문이 많은 배로


문제가 상당히 많다고 해. (2012)







1027261734.jpg


주된 문제는 함재기 생산의 난항과


훈련 미숙으로 







J-15.jpg

(항공모함 엘리베이터의 J-15 전투기)


중국이 러시아의 Su-33 전투기를 무단 복제해서


J-15 전투기를 생산했는데 







무단복제.JPG

(러시아가 빡쳐서 항공기 엔진 수출을 안 함.)


가장 중요한 엔진 기술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서


성능이 낮은 중국산 엔진을 쓰고 있는 중이야. ㅋㅋ







China-Navy-Aircraft-Carrier-Liaoning-First-Landing-And-Takeoff-J15.jpg


그래서 J-15는 비행과 이착륙 중에 


여러 번의 추락사고가 발생해서







liaoning.jpg


현재 16대만 생산된 상태로 랴오닝함은 


겨우 10여 대 정도의 함재기만 운영하고 있다고 해. 







20120927_중앙.jpg


그 외의 문제점은 선령이 오래되어 기골이 약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와


원자력이 아닌 디젤 엔진을 사용하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으로 







SFWgoh6.jpg


이런 문제들 때문에 랴오닝함을 과도기, 


혹은 실험용으로 보고 







l_20161230_경향.jpg


실제 전력은 2020년쯤에 나올 신형 항공모함으로 보는 


전문가가 많은 편이야. ㅎㅎ (2016) 







2. 랴오닝함 성능-1 요약


1) 랴오닝함은 만재배수량 6만 톤의 큰 배로 2,600명이 탑승할 수 있음. 


2) 카탈로그 스펙은 함재기 60여 대이나, 실제 운용 함재기 수는 10여 대라고 함. 


3) 그 이유는 J-15 전투기의 부실한 신뢰성 때문으로 현재 16대만 생산했음.  







3. 랴오닝함 성능-2


20120926_동아2.jpg


랴오닝함의 성능 논란이 있지만 뭐 어쨌든 


중국의 첫 항공모함으로 (2012)







20161225_동아.jpg


랴오닝함은 중국 해군의 상징으로


세 과시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어. 







24대.jpg 

(함재기가 부족함.)


또 함재기 20여 대 운용을 못하고 있지만 







현재10여대_2016년16여대생산.jpg

(작년에 도색을 바꿈.)


10여 대는 확실히 운용되고 있는 중으로 








nNKomGQ.jpg


랴오닝함은 실제 전투에 나갈 수도 있는 편이야. 







20120926_조선.jpg


다만 랴오닝함의 예상 작전 반경은 


800 km 이하로 조금 짧게 잡혀 있는데 (2012)







스키점프대.jpg


이유는 스키점프대 사용으로 인해 


전투기의 무장과 작전반경이 빈약해지는 단점 때문으로 







이륙.jpg


무장과 연료를 최대치로 하면 


스키점프대에서 이륙이 불가능해서 그렇다고 해. ㅋㅋ 







CatapultTensioner USN LSO brief_Page_1.gif


그래서 증기압 캐터펄트로 항공기를 사출하는 


미국 항모보다 분당 출격 속도가 느리고 







미국항모.jpg


미국 항모처럼 함재기를 대량 운용하는 게


중국 항모에겐 힘든 편이야. 







3. 랴오닝함 성능-2 요약


1) 중국 첫 항공모함으로 상징성이 높아 자주 움직이고 있음. 


2) 스키점프대 때문에 함재기의 작전반경과 무장 능력이 빈약함. 


3) 이유는 최대 무장, 최대 연료 시 이륙을 못하기 때문이라고 함. 







4. 랴오닝함 무장


tpbje20121125040_32690133.jpg


항공모함의 핵심은 함재기이지만 


중국 랴오닝함은 자체 무장이 꽤 많은 편으로 







무기.jpg


랴오닝함 곳곳에 무기들을 많이 장착했다고 해. 







liaoning-13.jpg


랴오닝함의 주요 무장은 근접방호용 


30 mm 발칸포와 공대공 미사일로






 

liaoning-5.jpg


30 mm 발칸포 3문에 대공 미사일 4문으로 


미사일 방어를 하고 있어. 







다련장포아님.jpg


또 랴오닝함은 다련장포처럼 보이는


채프&플레어 발사관을 8문 탑재한 상태로







디코이_채프런처.jpg


대함미사일이 날아오면 채프와 플레어를 뿌려


최대한 교란한다고 해. 







로켓런처.jpg


그 외의 무장은 대함, 대잠 무기를 12발을 쏠 수 있는 


미사일 발사관 1문으로 







대함미사일발사관.jpg


항공모함에 공격용 무장을 해서


좀 특이한 편이야. ㅎㅎ 







liaoning.jpg


마지막으로 중국이 노후 선박이라도 


항모를 보유한 게 참 부럽고 







20131014_조선.jpg


우리나라도 경항모 비슷한 것을 


만들었으면 참 좋겠어. (2013)







201612_한국.jpg


다만 우리나라는 미국의 도움을 받기 때문에


항모가 없어도 괜찮은 편이야. ㅎㅎ (2016) 







4. 랴오닝함 무장 요약


1) 중국 항모는 항모치고는 자체 무장이 상당히 많은 편임. 


2) 30 mm 발칸포 3문, 대공미사일 4문, 채프 발사관 8문으로 무장함. 


3) 대함, 대잠 무기를 쏠 수 있는 발사관 1개도 달아놨다고 함. 신기함.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199570602







3줄 요약


1. 랴오닝함은 중국의 첫 항공모함으로 2012년도에 취역함. 


2. 군함 성능에 논란이 많은 배로 이야기가 참 많은 배임. 


3. 함재기의 엔진 문제 때문에 현재 10여 대의 함재기만 운영 중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