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AVuiZ

표지.jpg


안녕~ 오늘은 석유화학 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석유화학 소개


2. 우리나라의 석유화학 산업 


3. 석유화학 산업 동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석유화학 소개


석유화학2.JPG

(출처 : 석유화학공업협회. 석유화학의 이해)

 

석유화학이란 석유나 천연가스로


화학제품을 만드는 산업으로 







석유화학제품총괄표.JPG

(납사를 재료로 해서 만드는 제품들.)


타이어, 페인트, 합성섬유 같은 공업제품을 


만드는데 쓰는 원료를 주로 생산하며  







경유로만드는화학제품.JPG

(경유를 재료로 해서 만드는 제품들.)


제품 종류가 엄청나게 다양한 


재미있는 산업이라고 해. ㄷㄷ






석유화학협회_소지품.JPG

그래서 석유화학 산업은 생필품을 만드는데 


필수적으로 쓰이는 산업이며 







img_petrochemistry3.gif

연관 산업이 굉장히 많은 산업이야. 







우리나라발전.JPG

우리나라의 석유화학 산업은 경공업에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 60년대부터 시작했고 







수출비중.jpg


우리나라 수출 비중의 10%를 차지하는 


큰 산업이며 (2015)






화학_20151119_뉴스핌.jpg

대기업 매출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2015) 







1. 석유화학 소개 요약


1) 석유화학은 석유와 천연가스로 화학제품을 만드는 산업임. 


2) 주로 공업제품의 원료를 생산해서 연관 산업이 굉장히 많음.


3) 우리나라 수출의 10% 정도를 차지하는 주력 산업임. 







2. 우리나라의 석유화학 산업 


제품별석유화학업체.JPG

(출처 : 산업은행. )


석유화학산업은 제품 종류가 엄청나게 다양해서 


제품 별로 업체가 다른 편으로 







생산능력_20161213_뉴스핌.jpg

(문돌이라 잘 모르겠음.)


제품 별로 순위가 다른 편이긴 한데 (2016) 








에틸렌_20161107_서울경제.jpg


석유화학 제품의 핵심인 에틸렌 생산량은


롯데, LG화학 순이고 (2016)







영업이익_20160517_이투데이.jpg

(영업이익은 자료에 따라 차이가  좀 있음.)


영업이익은 롯데, LG, 한화 순이라고 해. (2016. 1분기)







세계화학_20161010.jpg

(전 세계 화학 산업 공장가동률.)


그리고 세계경제 침체 등으로 


전 세계 화학 산업이 부진했던 와중에 (2015) 







영업이익_20160517_이투데이.jpg

우리나라의 석유화학 업체들의 올해 실적이 


굉장히 좋았는데 (2016. 1분기)







국제유가_20160913_파이넨셜.jpg

그 이유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제품의 원료 가격이 크게 하락한 것에 비해 (2016.09)







에틸렌_20161215_비즈워치.jpg

석유화학 제품의 가격 하락은 


비교적 덜했기 때문이야. (2016.12)








소비_20161106_머니투데이.jpg


덕분에 석유화학 기업들은 싼 원료를 마구 소비하며


제품 생산을 크게 늘렸다고 해. ㅎㅎ (2016.11) 







2. 우리나라의 석유화학 산업 


1) 석유화학은 제품 별로 업체가 상당히 다양하다고 함. 


2) 주력제품 에틸렌의 생산량은 롯데, LG, 여천NCC, 한화 순이라고 함. 


3) 올해 석유화학 산업은 원료 가격 하락 덕분이 대체로 좋았다고 함. 







3. 석유화학 산업 동향


전망_20161115_경상.jpg


석유화학 산업은 올해 실적이 좋았는데


내년 전망이 조금 부정적인 편이고 (2016)







구조조정_20160922_이투데이.jpg

구조조정 이야기가 나와서 조금 특이한 편이야. (2016.09) 







수출_20161126_연합.jpg

석유화학 산업에서 구조조정 이야기가 나오게 된 원인은


주 수입국인 중국의 변화 때문으로 (2015) 







수출입은행_해외경제연구소_중국생산능력.JPG

(출처 : 수출입은행.)


중국이 '화학굴기'라고 생산설비


엄청나게 늘리고 있어서 그렇다고 해. 







플라스틱병_20160403_동아.jpg

(TPA : 페트병 등의 플라스틱 제품 원료.)


실제로 중국이 생산설비를 크게 늘리자 


중국의 TPA 제품 수입이 크게 감소해서 (2016)






산업은행_구조조정.JPG

2014년도쯤에 석유화학 업계에서


약간의 구조조정이 발생하기도 했어. (2015) 







품목_20131212_동아.jpg


하지만 석유화학 산업은 


제품 종류가 매우 다양한 산업으로 (2013)







중국자급률_20150420_이투데이.jpg

중국의 석유화학 제품 자급률은 PVC(필름 원료), 


TPA(합성수지 원료) 쪽에만 높아서 (2015)







경쟁력_20161005_중소기업뉴스.jpg


고부가 화학제품 생산이나 설비 경쟁력으로 


대응을 하면 충분히 될 것 같아. ㅎㅎ (2016)







ChinaPTA3.jpg

(PTA. 합성수지 원료 기준.)


또 중국의 석유화학 산업은 소비량에 비해 


설비를 너무 많이 늘려서 문제가 많고 (2015)







산업은행_석유화학영업이익률.JPG


우리나라 석유화학 업체들의 실적이 좋은 편이라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해. (2015)







산업은행_부다티엔.JPG

그래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앞으로 수요가 증가할 


석유화학 제품 생산을 늘리고 (2015) 







구조조정_20161024_국민.jpg


구조조정 할 것은 구조조정하고 


투자할 분야엔 과감히 투자한다면 (2016.10) 







롯데_20161212_디지털타임즈.jpg

우리나라 석유화학 업체들이 


잘 해낼 수 있을 것 같아. ㅎㅎ (2016) 







3. 석유화학 산업 동향 요약


1) 중국의 석유화학 설비투자로 일부 제품에서 공급과잉이 발생하고 있음. 


2) 하지만 고부가가치 품목은 중국의 자급률이 낮아서 해볼 만할 것 같음. 


3) 우리나라 기업들이 고부가 제품 생산과 설비 경쟁력 증가에 노력하고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129648818







3줄 요약


1. 석유화학 산업은 석유를 가지고 공업제품의 원료를 만드는 산업임. 


2. 연관 산업이 굉장히 많고 우리나라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 


3. 원료비 감소로 인해 실적이 좋은 편인데, 중국발 공급과잉 우려가 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