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lS7Q1

표지.jpg


안녕~ 오늘은 중국의 과잉부채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의 부채규모


2. 중국의 과잉부채


3. 과잉부채의 위험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부채규모


20160426_중앙.JPG


중국은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성장률이 나빠지자


대출 증가로 경제성장을 견인한 나라로 (2016)





중국부채_이투데이.jpg

GDP 대비 부채비율이 크게 증가한 나라라고 해. (2015) 







20151222_조선.jpg

(20조 달러 =2경 3,340조 원)


중국의 부채 증가 특징은 7년 사이에


20조 달러나 증가한 (2015)







china debt gdp.jpg


폭발적인 부채 증가가 가장 큰 특징이고 (2014)







부채비율.jpg


그다음 중국 부채의 특징은 


굉장히 높은 기업부채 비율로 (2016)







주요국별_GDP_대비_기업부채_비율_자유광장.jpg

(출처 : 자유광장)


중국의 기업부채 비율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보면 


비정상적으로 높은 편이야. ㄷㄷ 







기업부채액수.jpg


또 이렇게 중국의 기업부채 비율이 높다보니


중국의 기업부채 액수도 미국보다 훨씬 많고 (2016)








20160807_뉴스토마토.jpg


중국의 기업부채는 중국 경제의 이상징후로


손꼽히고 있어. (2016) 







1. 중국의 부채규모 요약


1) 중국은 2008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대출 증가를 장려했음. 


2) 부채 증가 속도가 유별나게 빠른 편이고 부채비율이 선진국 수준으로 높음. 


3) 기업부채 비율이 비정상적인 수준으로 높아서 상당히 특이한 편임. 







2. 중국의 과잉부채


명견만리_14회.jpg


빚이라는 것은 좋은 방향으로 쓰면 문제없는데


나쁜 방향으로 쓰면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2016)






 과잉건설2.jpg  

중국은 과잉건설, 부동산 버블 등으로


돈을 많이 낭비했고 (2014)







 과잉산업.jpg


생산설비를 과다하게 건설해서


문제가 좀 있는 편이야. (2016) 







-1x-1.jpg


그래서 중국은 GDP 증가보다 


부채 증가가 훨씬 큰 나라로 (2016)







국내총생산대비신용격차.JPG


GDP 대비 신용격차가 매우 높아 


버블이 상당히 큰 나라라고 해. (2016) 







중국발리스크.JPG


그리고 중국의 버블이 높게 평가되자


중국발 리스크(Risk)가 우려되는 편으로 (2016)








뉴스인사이드.jpg


중국 경제위기에 대한 우려가 많이 높아지고 있어. (2016) 







2. 중국의 과잉부채 요약


1) 중국은 부동산, 설비투자 등에 부채를 비효율적으로 썼다고 함. 


2) 그래서 중국은 자산 증가 속도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높다고 함. 


3) 중국은 GDP 대비 신용격차가 굉장히 높아 버블 우려가 높은 편임. 







3. 과잉부채의 위험성


20161011_이투데이.jpg


중국은 높은 과잉부채 우려에 비해


부실대출 비율이 상당히 낮은 편인데 (2016)







IMF평가.JPG

문제는 부실대출 비율이 조작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조차 중국의 발표를 믿지 못하고 있어. (2016) 







중국부실채권.jpg

그래서 중국의 부실대출 비율(NPL)은 공식적인 발표


비공식 추측 사이에 어마어마한 차이가 있는 편으로 (2016)








fsfwef.jpg

혹자들은 중국의 부실대출 비율이 


"전체 부채의 20%에 달한다."라고 주장하는 편이야. ㄷㄷ (2016) 







블룸버그.JPG

뭐 어쨌든 중국(China)의 버블 수준은 위험수준을 


한참 넘는 편으로 (2016)







블룸버그2.JPG

2008년 미국(US) 경제위기나 (2016)







블룸버그3.JPG

2012년 스페인(Spain) 경제위기와 비슷한 일이 생길까


조금 우려스럽다고 생각해. (2016) 







부채위험성.jpg


그래서 중국은 과잉부채 문제를 


잘 해결해야 하는 편으로 (2015)







일본과중국.JPG


만약 과잉부채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하면 


과거 일본(Japan)의 버블붕괴와 같은 일이 생겨서 (2016)







Wird-China-muede.jpg


중국 경제가 장기간 나빠질 수도 있을 것 같아. ㄷㄷ 







3. 과잉부채의 위험성 요약


1) 중국의 금융부실 수준은 중국 정부의 발표보다 훨씬 심할 수 있음. 


2) 중국의 버블은 위험수준을 초과해서 붕괴 우려가 있다고 함. 


3) 과잉부채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하면 일본식 장기침체를 겪을 수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129648818







3줄 요약


1. 중국의 부채비율은 신흥국치곤 너무 높아서 불안한 편임. 


2. 자산 증가 속도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빨라 부실투자 가능성이 있음. 


3. 중국은 GDP 대비 신용격차 비율이 굉장히 높아 버블붕괴가 우려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