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zlycs

에이설마_20150502_mbc.jpg


안녕~ 오늘은 백두산 폭발 가능성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관심을 가진 이유 


2. 백두산과 북한 핵실험 


3. 백두산 폭발 가능성 


4. 백두산 폭발 시 피해규모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관심을 가진 이유 


화산대_20150914_중앙.jpg


우리나라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한발 떨어져 있어서 


지진에 비교적 안전한 편이지만 (2015) 







경주지진.jpg


9월 경주 지진으로 우리나라에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고 (2016) 







아소산_20161008_mbc.jpg


일본 아소산에 36년 만의 분화가 


발생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어. (2016.10)







최근동향_20161209_연합.jpg


그리고 최근 한두 달 사이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해서 (2016)







지진징조_201607_매경.jpg


다른 나라에서 지진이나 화산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고 있는 중이야. (2016)

 






분화기록_20160216_연합2.JPG


뭐 어쨌든 백두산은 대략 백년주기로 


분화가 발생하고 (2016) 







주기설_20110331_한겨레.JPG


천년주기로 폭발을 한다는 설이 있어서 (2011) 







백두산.jpg


오늘은 백두산 폭발 가능성으로 


글을 쓰려고 해. ㅎㅎ







1. 관심을 가진 이유 요약


1) 올해 9월 경주 지진으로 지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음. 


2) 최근 한두 달 사이에 전 세계에 지진이 9번 발생함. 


3) 백두산은 백년주기로 분화, 천년주기로 폭발한다는 설이 있음. 







2. 백두산과 북한 핵실험 


지진발생지점_20100302_동아.jpg

우리나라의 지진발생지점을 볼 때

백두산은 상당히 안전한 편이고 (2010) 






화산대_20160729_조선.jpg

대형 단층대에서 약간 떨어져 있어서

폭발 가능성이 덜한 편이야. (2016)






도화선_20160216_연합.JPG

그럼에도 백두산 폭발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북한의 핵실험 때문으로 (2016)






충격파_20160217_연합.jpg

핵실험에서 발생하는 인공지진의 충격파가 (2016)






마그마방.jpg

백두산의 마그마 방을 건들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라고 해. ㄷㄷ (2016) 






5차핵실험_20160909_포커스뉴스.jpg

그리고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2016)






경주지진_20160922_연합.jpg

3일 만에 경주 지진이 발생해서 (2016) 







경주지진_썰_체널A.jpg
(확실한 것은 아님. 반대 의견도 많음)

북한의 핵실험이 경주 지진의 원인일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편이야. (2016) 






2. 백두산과 북한 핵실험 요약


1) 백두산은 지진 발생이 비교적 적은 안전한 곳임. 


2) 그럼에도 백두산 폭발 우려가 나오는 이유는 북한 핵실험 때문임. 


3) 핵실험의 인공지진이 백두산의 마그마 방을 자극한다는 우려가 있음. 







3. 백두산 폭발 가능성 


풍계리_20160909_세계.jpg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은 백두산과


130 km 거리로 비교적 먼 편이지만 (2016) 







마그마방규모.jpg


백두산의 마그마 방 규모가


서울의 2배 면적으로 추정되고 있어서 (2016)







풍계리.jpg


북한의 핵실험은 백두산의 마그마 방을 


직접적으로 건드릴 수 있다고 해. ㄷㄷ







자극.jpg


따라서 북한이 지속적으로 강도 높은 핵실험을 반복하면 







이론.jpg


백두산이 진짜 폭발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편이야. 







온천수온도_90년69도_2015_83도.jpg


그리고 백두산의 온천수 온도가 1990년도에 69도였는데 


최근 83도로 많이 상승했고 (2015)







헬륨농도.jpg


헬륨 농도도 과거에 비해 많이 상승했다고 하고 (2010)








160703_한반도지진발생추이.jpg


한반도의 진도 2 이상 지진 발생 빈도가


상승 추세라 (2014)







화산폭발.jpg

(에이 설마. ㅋㅋ)


혹시라도 폭발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아주 약간 생기고 있어. ㅎㅎ 







3. 백두산 폭발 가능성 요약


1) 백두산의 마그마 방은 풍계리 핵실험장과 가까울 것으로 추정 중임.


2) 온천수 온도 상승, 헬륨 농도 상승이 백두산 분화의 징조라고 함. 


3) 한반도의 지진 빈도가 상승추세인 것도 걱정스러운 부분임. 







4. 백두산 폭발 시 피해규모


화산탐사_20150402_동아.jpg


만약에 백두산 천지 밑의 거대한 마그마가 


갑자기 폭발한다면 (2015)







연도미상.JPG


북한 북부와 중국 만주지역에 


엄청난 재앙이 될 지도 모르는 편으로 







피해_20110406_중앙.GIF


용암, 화산석, 화산재의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고 해. (2011) 







화산재.jpg


그리고 백두산 폭발 시 우리나라에 발생할 피해는 


주로 화산재 피해인데 







일본_20101109_조선.jpg


날씨 운이 좋으면 화산재 피해는 


전부 일본으로 날아가고 (2010) 








화산재_20130120_조선.jpg


날씨 운이 나쁘거나 폭발 규모가 엄청나게 클 경우


우리나라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편이야. (2013) 







피해예상_20150522_중앙.jpg


하지만 최악의 경우라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피해는 11조 원 정도로 (2015) 







한반도운명.jpg


백두산 폭발 시 가장 큰 피해는 


북한과 중국이 본다고 해. 







핵실험_20101007_조선.jpg


뭐 어쨌든 백두산 폭발 가능성도 있으니깐


북한이 핵실험을 그만했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백두산 폭발 시 피해규모 요약


1) 화산이 폭발하면 용암, 화산석, 화산재 피해 등이 발생함. 


2) 백두산 폭발 시 북한 북부와 중국 만주 지역에 재앙이 발생할 수 있음. 


3) 우리나라와 일본은 화산재 피해를 보는데, 바람의 방향에 따라 피해가 달라짐.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129648818







3줄 요약


1. 백두산에는 백년주기 분화와 천년주기 폭발설이 있다고 함. 


2.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의 마그마 방을 건든다는 우려가 있음. 


3. 온천수 온도 상승, 헬륨 농도 상승 등의 분화 징조가 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