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aQug
안녕~ 오늘은 극초음속 항공기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극초음속 항공기 소개
2. 극초음속 항공기 X-43
3.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웨이브라이더
4. 극초음속 항공기-다른 연구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극초음속 항공기 소개
극초음속 항공기란 마하 5 이상의
속력으로 나는 항공기로
제트 엔진의 기술적인 문제와 공기의 벽 때문에
만들기 매우 어려운 항공기야.
탄도미사일이 마하 5를 가뿐히 넘는 수준인데
굳이 극초음속 항공기를 개발하는 이유는

탄도미사일은 정해진 궤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동 궤도만 알면 요격이 가능하고

인공위성도 정해진 궤도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방향 전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서
극초음속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항공기를 개발한다고 해.
이런 이유로 미국은 정찰 및 공격 용도의
극초음속 무인기를 연구 중이고
여객 용도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어서
극초음속 여객기도 꾸준히 연구 중이라
미래에는 극초음속 항공기가
대중화될 수도 있어. ㅎㅎ
1. 극초음속 항공기 소개 요약
1) 마하 5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는 항공기를 극초음속 항공기라고 함.
2) 제트 엔진의 기술적인 문제와 공기의 벽 때문에 개발이 매우 어려운 편임.
3) 극초음속 여객기가 등장하면 기존보다 4~5배 이상 빠르게 여행을 갈 수 있음.
2. 극초음속 항공기 X-43

(최초의 극초음속 항공기는 X-15로 1959년에 비행함.)
미국의 극초음속 항공기 X-43은
2004년도에 개발되었으며
스크램제트 엔진의 힘으로 마하 9.6을 찍은
무인 실험기야. ㄷㄷ
X-43은 공기의 벽을 극복하기 위해
칼날에 가까운 동체 구조를 가졌고
그 덕분에 공기의 저항을 극복할 수 있다고 해.
하지만 스크램제트 엔진은 마하 5 이하에선
제 성능이 안 나오는 불완전한 엔진이라
X-43의 비행은 자력 비행이 아닌
B-52 폭격기의 보조가 있었고
겨우 10초간 단독 비행을 한 수준이라
문제가 많았어.
다만 X-43의 비행으로
초음속기의 가능성이 입증 받아서
극초음속기 연구가 탈력을 받게 되었다고 해. ㅎㅎ
2. 극초음속 항공기 X-43 요약
1) X-43은 2004년도에 개발된 극초음속 항공기로 마하 9.6을 찍었음.
2) 다만 자력 비행이 아니고 겨우 10초 비행해서 실험 수준이였음.
3) X-43의 시험 비행을 통해 극초음속기의 가능성이 확인되었음.
3.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웨이브라이더

3.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웨이브라이더 요약
1) 미국이 2013년에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을 시험했음.
2) 웨이브라이더는 일반 순항미사일보다 7배 정도 더 빠름.
3) 2020년 중반쯤에 공대지 순항미사일로 실전배치 예정임.
4. 극초음속 항공기-다른 연구
미국이 연구 중인 극초음속 항공기 중에
가장 황당한 물건은 팔콘 HTV-2로
이것은 로켓의 힘으로 성층권까지 올라간 후
운지력과 스크램제트 엔진의 힘으로
마하 12~20의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라고 해. ㄷㄷ
이게 있으면 지구 어디든 1시간 이내에
폭격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인공위성을 띄울 로켓을
여기에 소모한다는 게 엄청난 낭비인 것 같고
재래식 폭격 용도로 쓰기엔
정말 비효율적일 것 같아. ㅎㅎ

그다음 소개할 극초음속 항공기는
SR-71의 후예인 SR-72로
(2가지 다른 엔진을 섞어 하나의 제트 엔진으로 만들었다고 함.)
스크램제트 엔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듀얼모드 램제트 엔진을 장착해서

모드 변환을 통해 마하 3에서 마하 6 까지
속도를 올릴 수가 있다고 해.
SR-72는 2030년쯤에 개발될 예정이며
개발되면 최고의 무인 정찰기가 될 물건으로
중국과 러시아 영공을
자유롭게 정찰할 예정이야. ㄷㄷ
4. 극초음속 항공기-다른 연구 요약
1) 팔콘 HTV-2는 우주에서 지상으로 낙하하는 무인 항공기라고 함.
2) 엄청 비효율적으로 보이지만 지구 어디든 1시간 이내에 폭격한다고 함.
3) SR-72는 마하 6의 극초음속 무인 정찰기로 2030년쯤에 개발 예정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044808885
3줄 요약
1. 극초음속 항공기는 마하 5 이상의 날아가는 항공기임.
2. 기술적으로 상당히 어렵지만, 미국에서 꾸준히 연구 중임.
3. 스크램제트 엔진의 단점을 보완한 듀얼엔진이 개발되면 실용화될 것 같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