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ZAmDM

web-election-2-reuters.jpg


안녕~ 오늘은 미국의 빈부격차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미국의 빈부격차


2. 미국 빈부격차 원인


3. 미국 빈부격차 결과 


4. 미국 대선 후보들의 생각


5.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미국의 빈부격차


지니계수_20111207_동아.jpg


미국은 OECD 선진국 중에서 


소득불평등이 상당히 심한 나라로 (2011)








지니계수_20110309_조선.jpg

(높을수록 소득이 불평등함.)


미국의 지니계수는 매우 높은 편이야. (2011)








상위1%.jpg

또 미국은 상위 1%가 전체 소득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어서 (2012)









빈부격차_20150523_동아.jpg


빈부격차가 어마어마하게 


크다고 해.  (2013)








2014년지니계수.jpg


그래서 미국은 세계 최강의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후진국스러운 양극화를 자랑하며 (2014)








아동빈곤율2.jpg


아동 빈곤(Children Poverty)이 지난 10년 동안 


상당히 심화되어서 (2012) 








아동빈곤율.jpg


선진국치고 엄청나게 높은


아동 빈곤율을 보여주고 있어. ㄷㄷ (연도 모름)








1. 미국의 빈부격차 요약


1) 미국은 OECD 선진국치고 소득불평등이 상당히 심한 편임. 


2) 상위층과 하위층의 빈부격차가 어마어마하게 큰 편임. 


3) 지난 10여 년간 아동 빈곤율이 더 많이 증가하였음. 








2. 미국 빈부격차 원인


월스트리트.jpg


빈부격차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큰 틀에서 볼 때, 금융산업의 발달로 







자본이득.jpg


자본 이득(Capital Gain)이 


엄청나게 많이 증가했고 








world-market.jpg


세계화로 인해 기업의 공장 이전이 


활발해지면서 







생산성과소득증가.jpg


생산성(Productivity) 증가만큼 


가계 소득(Income)이 증가하지 않은 점


때문이라고 해. (2015)








해외생산_20121217_중앙.jpg


이게 무슨 말이냐면 많은 미국 기업들이 


해외 생산에 몰두하면서 (2012)









제조업일자리.jpg


미국 내의 제조업 일자리가 크게 줄고 








애플이익.jpg

(애플은 중국인 노동자(China Labor)에게 1.8%의 수익만 나누어줌.)


해외 노동자들에게 아주 박한 임금만 주고 


제품을 생산해서 (2011)









판매수익.jpg

(기업과 가계의 경제순환이 끊어졌다고 할 수 있음.)


미국 기업들이 어마어마한 


이익을 남기기 때문이야. ㄷㄷ 








2. 미국 빈부격차 원인 요약


1) 금융산업의 발달로 자본 이득이 엄청나게 많이 증가함. 


2) 미국 기업들이 해외 생산을 매우 많이 해서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함. 


3) 해외노동자들에게 아주 박한 임금만 주어서 기업이익이 크게 증가함. 








3. 미국 빈부격차 결과 


소득증가.jpg

미국 상위계층의 부가 큰 폭으로 증가하자 (2011)








비중변화.jpg

소득 증가 속도가 느린 하위계층의 


소득 비중이 크게 감소해서 








하위20%_20121004_중앙.jpg


미국 내에서 부익부 빈익빈이 


더욱 심화되었고 (2012)








상위10%.jpg

미국은 상위 10%가 전체 소득의 


50%를 차지하는 나라가 되었어. ㄷㄷ (2012)








1%의부.jpg


그리고 눈부시게 증가한 


상위 1%의 소득 덕분에








대공황시기와유사.jpg


상위 1%의 소득 비중이 


대공황 수준에 근접해서 (2012)








economy_and_neoliberalism_1729695.jpg


미국 경제가 혹시 잘못된 길로 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편이야. ㅎㅎ








3. 미국 빈부격차 결과 요약


1) 미국 상위권의 소득이 엄청난 속도로 증가했음. 


2) 하위권의 소득증가 속도가 느려서 양극화가 심화되었음. 


3) 미국 상위 1%의 소득 비중이 과거 대공황 수준에 근접했음. 









4. 미국 대선 후보들의 생각


고용증가.jpg

미국의 고용이 2008년 경제위기 때에 비해


많이 좋아졌지만 (2013) 







파트타임.jpg

이는 파트타임 근로자의 증가 덕분이 


꽤 큰 편이고 (2013)








임금증가율.jpg


최근의 임금(Payroll) 증가율이 


과거에 비하면 많이 미흡해서 








실질소득수준.jpg

(생활수준이 소폭 감소했다고 함.)


미국 국민들의 불만이 꽤 높다고 생각해. (2012)








대결.jpg


그래서 미국 대선에서 


고용과 경제 문제가 큰 이슈거리로 







공약_20160809_한국일보.jpg


각 후보마다 경제공약을 


크게 내걸고 있어. (2016) 









us-election-democrat-candidates.jpg


미국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후보는 








미국소득세.JPG


부유층 증세를 통한 소득재분배 정책으로 









 소비성향.jpg


소득재분배에 성공한다면


미국 경제에 큰 기여를 할 것 같아. (2015)








us-election-republican-candidates.jpg


그다음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정책은 








정책_뉴스1.jpg


보호무역을 통해 해외의 미국 공장을 


미국으로 복귀시킨다는 생각으로 








미국무역수지2.jpg

미국의 심각한 무역적자 문제를 완화하고


국내 일자리를 늘리는데 기여할 것 같아. 








4. 미국 대선 후보들의 생각 요약


1) 미국 경제의 문제점들 때문에 미국 국민들의 경제 관심이 증가했음. 


2) 힐러리 후보는 부유층 증세를 통한 소득재분배 정책을 이야기하고 있음. 


3) 트럼프 후보는 보호무역을 통한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이야기하고 있음.  








5. 내 생각


제조업과서비스업.jpg


미국 내에서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한 것 만큼


다른 산업의 일자리가 그만큼 증가하면 (2016)








제조업고용.jpg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 감소를 


충분히 상쇄할 수가 있는데 (2010)








미국전체고용.jpg


아쉽게도 고용시장의 변화가 그만큼 빠르지는 못해서


실업이 발생하고 있어. (2013)








러스트벨트.jpg

(러스트 벨트 : 미 중부의 쇠락한 공업지대.)


특히 러스트 벨트 같은 공업지대는 








미시간주고용.jpg


변화를 잘 따라가지 못해서


실업이 꽤 많이 발생한 편이야. ㄷㄷ (2013) 








자동차공장.JPG


따라서 트럼프의 정책이 미국 국민들의 


입맛에 잘 맞겠지만  








중국.jpg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은


중국만 조지는 게 아니라 (2009)








우리나라.jpg


대미흑자가 많은  우리나라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서 조금 걱정으로 생각해. 








하위80%.jpg


뭐 어쨌든 지난 10여 년간 


빈부격차가 더욱 심화되어서 (자산 격차)








정책_뉴스1.jpg


어떤 방식이던 간에 빈부격차와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높은 편이야. ㅎㅎ 








5. 내 생각 요약


1) 제조업 일자리 감소만큼 다른 산업의 일자리가 증가하면 되나 그렇지 못함. 


2) 세계화로 인해 실업과 빈부격차 문제가 심화된 것 같음. 좋은 점도 많지만. 


3) 소득재분배 정책은 결과를 해결하는 것이고 보호무역은 원인을 해결하는 것 같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785534574








3줄 요약


1. 지난 10여 년간 미국의 빈부격차가 상당히 많이 심화되었음. 


2. 하위층의 소득증가가 매우 느려서 미국민의 불만이 커졌을 것 같음.   


3. 미국 대선후보들의 관련 정책이 매우 다르지만, 두 방법 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