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4CBR1

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쌀농사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쌀의 가치


2. 쌀 공급과잉-1


3. 쌀 공급과잉-2


4. 대책마련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쌀의 가치


쌀_20160421_조선.jpg

쌀은 한국인의 주식으로 


각 지역마다 벼 품종이 조금씩 다르며 (2016)








시도별 작물 재배 면적_zum백과사전.jpg


우리나라 작물 재배의 주축이고 







20150904_축산.jpg

농업 생산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서


우리나라 농업의 중심이라고 해.  (2015) 








쌀_20160913_농민.jpg

(쌀겨와 쌀눈에 기능성분의 95%가 집중되었음.) 


또 쌀은 영양소가 풍부한 곡물로 (2016) 








쌀_20160922_농민신문.jpg


빵과 면류에 비해 소화 흡수가 느리고 


섬유질이 비교적 많아서 (2016)








쌀_20160922_농민신문2.jpg


다이어트에 비교적 도움이 되는 편이야. ㅎㅎ (2016)








식량자급률.jpg


그리고 쌀은 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을


책임져주는 작물로 (연도 모름)








자급률_20110811_농민.jpg


쌀 자급률이 100% 수준이라 (2010)








음식자급_20060322_동아.jpg


우리나라의 식량 안보에 


큰 기여를 하고 있어. (2006)








절대농지_20160922_한경.jpg


쌀이 이렇게 중요하다보니 정부는 우량농지 지정을 통해 


쌀 생산을 지원하는 중이고 








자급률목표_20110628_농민.jpg


미래에도 쌀 자급률 100% 수준을 


유지하려고 하는 편이야. (2011) 








1. 쌀의 가치 요약


1) 쌀농사는 우리나라 농업의 기틀로 작물 재배의 주축임. 


2) 우리나라는 곡물 자급률이 상당히 낮은 나라로 식량 수입이 많음. 


3) 쌀 자급률은 100% 수준으로 우리나라의 식량 안보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








2. 쌀 과잉생산-1


재고_20160922_뉴스1.jpg

우리나라의 쌀 재고량은 175만 톤이고 (2016)








대책마련_20160922_파이넨셜.jpg

올해 공급과잉이 40만 톤 정도라고 해. (2016)  








소비량_20150128_동아.jpg


쌀 공급과잉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쌀 소비 감소 때문으로 (2015)








육류소비_201510_동아.jpg


우리나라 경제가 발전하면서 


육류 소비가 증가하고 (2015)








과일수입_20110606_국민.jpg


과일, 채소 소비가 증가하면서 (2011. 짤은 과일 수입량)








영양공급량_20150407_농민.jpg


우리나라 사람들의 영양 섭취 구조가 


크게 바뀌었기 때문이야. (2015) 








재배면적_20151016_농어민.jpg

이런 소비구조 변화 때문에 


농민들도 재배면적을 크게 줄였는데, 








20151204_농민.jpg


농업의 생산성 향상으로 쌀 생산량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쌀 공급과잉이 발생했다고 해. (2012) 








2. 쌀 공급과잉-1 요약


1) 올해 쌀 공급과잉은 40만 톤 정도이고 총 재고는 175만 톤 정도임. 


2) 공급과잉의 근본 원인은 식습관 변화로 인한 쌀 소비 감소라고 함.


3) 재배면적을 줄이고 있으나 생산성 향상으로 쌀 생산량이 일정함. 








3. 쌀 공급과잉-2


수출_20160920_농민.jpg

공급과잉이 문제라면 

수출을 하면 되지 않나? 싶지만 (2016)







생산비_20111120_농어민.jpg

우리나라 농업의 생산비가 

미국, 중국보다 훨씬 높아서 (2011) 







 수입쌀_20140718_동아.jpg

가격 경쟁력에서 

도저히 상대가 안 되는 편이야. ㄷㄷ (2014)







가공용쌀_20151109_세계.jpg

그 외에 가공용 쌀 소비 장려로 

쌀 소비를 늘리는 방법이 있는데 (2015)







가공용쌀_20100819_농어민.jpg 

쌀로 만들 수 있는 가공식품이

떡, 막걸리, 쌀 과자 정도이고 (2010)







쌀과자.jpg

맛이 약간 부족해서 

개량이 조금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ㅎㅎ







수입물량_20130529_동아.jpg
(1/4만 시장에 유통되고 나머진 전부 창고로 들어감.)

또 쌀시장 개방으로 인한 

의무수입 물량 문제가 있어서 (2013)







쌀값_20160914_경향.jpg

뾰족한 답이 없는 편으로 

우리나라 농민들이 쌀값 하락으로 고통을 받고 있어. (2016) 







3. 쌀 공급과잉-2 요약


1) 쌀 수출은 가격 경쟁력 부족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임. 


2) 가공용 쌀 소비 장려도 맛 개선 같은 게 조금 필요한 형편임. 


3) 쌀시장 개방으로 인한 의무수입 물량 문제도 있음.  








4. 대책마련


대북지원량_20150924_농민.jpg


야당에서 남는 쌀 재고를


북한에 지원하자고 하는데 (2015)








혜택계층.jpg


지원물량의 대부분이 북한 정권에게 


들어가는지라 매우 안 좋은 생각이고 








수해피해지역.jpg


이번 북한의 수해는 함경북도 끝자락으로 









북한홍수.jpg


농지 피해랑은 거리가 먼 곳이라 


수해지원으로 쌀을 준다는 것은 


엉뚱한 소리라고 생각해. 

 







북한_20160910_경향.jpg


또 북한의 김정은 정권이 시행한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는 (2016)








돈낭비.jpg


수 조 원의 돈 낭비로 








대북지원금액_20060908_동아.jpg


그 돈으로 식량을 구매했으면


식량 수백만 톤을 구매할 수 있는 편이야. (2006) 







북핵_조선.jpg

따라서 북한 식량지원은 


말도 안 되는 헛소리이고








대책마련_20160912_농민.jpg


쌀 공급과잉 문제는 생산조정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보여. (2016) 








소비량전망치_20160322_세계.jpg

식습관 서구화로 인해 


쌀 소비량은 계속 줄어들 전망이라 (2016)








절대농지.jpg


쌀농사 대신에 다른 농사를 하는 게 


타당한 선택이라고 생각해. 








곡물가_20110914_국민.jpg


마지막으로 2008년과 2011년도의 


곡물가 급상승은 (2011) 








중국_2013022_서울.jpg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식량 수입 증가와 








양적완화.jpg


미국의 4천조 원 양적완화로 인한 


특이현상이고 







식량안보.jpg

우리나라는 세계 11위의 경제대국으로


식량안보가 그렇게 부족하지는 않은 편이야. (2012)








Food-Security-02.jpg

뭐 어쨌든 식량안보는 나름 중요한 문제로 







곡물자급_20110210_국민.jpg


우리나라는 쌀 자급률을 100%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소비 변화에 맞춰 공급을 바꾸면 될 것 같아. ㅎㅎ








4. 대책마련 요약


1) 쌀 생산조정만이 공급과잉의 근본적인 해결책임.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 


2) 식량안보가 중요한 문제지만 우리나라가 그렇게 부족한 편은 아님. 


3) 축산업과 채소 농사가 증가하면 다른 식품의 가격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8785534574








3줄 요약


1. 쌀농사는 우리나라 농업의 기틀로 우리나라 식량안보에 매우 중요함. 


2. 식습관 서구화로 인한 소비감소로 쌀 공급과잉이 발생 중임. 


3. 생산조정을 통해 문제 해결을 할 예정으로 농업 다변화를 추진 중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