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pHDR
안녕~ 오늘은 대학 구조조정에 대해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1
2.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2
3. 대학 구조조정 방법-1
4. 대학 구조조정 방법-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1
우리나라의 대학교 수와 대학생 수는
1980년대 대학 정원 확대, 1990년대 대학정원자율화로
크게 증가해서 (2014)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80%대로 많이 올라갔고 (2010)
우리나라가 OECD 선진국 중에서
대학을 가장 많이 가는 나라가 되었어. ㅎㅎ (2015년 기준)

(출처: 고용노동부)
문제는 교육단계별 인력수급과
학과별 인력수급에 문제가 많고
경기침체로 대졸 취업률이 크게 하락해서 (2009)
고학력 청년실업자가 많이 양산된 점이야. ㄷㄷ (2016)
우리나라의 대졸 취업률은
지방 4년제 대학일수록 안 좋고 (2010)
인문, 사회, 예체능계의 취업률이
이공계에 비해 상당히 낮아서 (2010)
인문계 학생들이 취업난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어. ㄷㄷ
1.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1 요약
1)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OECD 1위라고 함. (2015년도 기준)
2) 문제는 경기침체와 인력수급 미스매치로 대졸 실업자가 많이 생겼음.
3) 인문계, 지방대 학생들의 취업률이 심각하게 안 좋은 편임.
2.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2
대학 구조조정이 필요한 두 번째 이유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로 (2014)
학령인구가 급속도로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해. ㄷㄷ (2014)
청년실업과 경기침체로
대학 진학률이 떨어지는 와중에 (2013)
2017년부터 대학 입학 대상자 수가
크게 감소한다고 하니 (2016)
우리나라의 대학들에게
큰 위기가 찾아오는 것 같아. (2013)
이 문제는 인구구조적인 문제로
단기간에 해결할 수가 없는지라 (2013)
정부에서도 대학 구조조정을
강력하게 추진 중이고 (2013)
대학교들도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에 대해
많이들 공감하는 편이야. (2013)
2.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2 요약
1) 저출산 문제로 2017년부터 대학 입학 대상자 수가 크게 감소함.
2) 지방 대학들의 학생 충원율이 급격하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됨.
3) 학생 수 감소로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였음.
3. 대학 구조조정 방법-1

이명박, 노무현 정부 때의 대학 구조조정이
많이 미흡하다 보니 (2013)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근혜 정부 들어서 대학 구조조정이
타이트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지방대학의 학생 충원율이 낮아질 전망이라 (2013)
대입정원 감축 계획도
지방 쪽에 집중되어 있고 (2014)
학령인구 감소와 발은 맞추다보니
상당히 강하게 진행될 전망이야. (2016)
대학정원 감축 계획은
평가지표를 따라가지 못하는 (2012)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실대학에 집중해서 (2014)
부실대학의 입학정원을
크게 감축시키는 방향이라고 해. (2015)
문제는 현재 정책이 장학금 제한 등의
간접적인 정책이라 (2016)
부실대학들이 어차피 재정지원을 못 받는 거
등록금이나 더 받자고 정원 감축을 거부하고 있어서 (2016)
미래에는 학교 폐쇄 같은 물리적인 조치로
이어질지 모르겠어. ㄷㄷ (2009)
3. 대학 구조조정 방법-1 요약
1) 인구절벽이 코앞까지 찾아와서 대학 구조조정을 더 강하게 추진 중임.
2) 지방의 대입 정원을 감축할 계획이고 시간이 갈수록 감축의 규모가 커질 것임.
3) 현재로서는 자율감축을 권고 중이나 미래에는 강제적인 조치로 이어질지도 모름.
4. 대학 구조조정 방법-2
우리나라의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2016)
이공계 학과의 취업률이 상당히 좋다보니 (2012)

정부의 대학 구조조정 정책 중에서
학과 간 정원조정도 상당히 큰 편이야. (2015)
그 방법으로 추진 중인 게
프라임 사업으로 (2015)
총 6천억 원의 돈을 (2016)
21개 대학의 이공계 학부에 지원해서 (2016)
학과 간 정원 조정이
잘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있어. ㅎㅎ

그밖에 국립대 통합을 추진해서
국립대 경쟁력 강화 및 정원 조정을 추진 중으로

대학 구조조정 때문에 거의 모든 대학들이
엄청나게 바빠진 편이야.
대학들의 고충을 잘 이해하지만
학령인구 감소 문제가 워낙 심각해서 (2014)
대학 구조조정은 필연적인 일인지라
대학들이 잘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해.

또 우리나라의 경제가 좋아져서
대졸 취업률이 크게 상승했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대학 구조조정 방법-2 요약
1) 대학 정원감축 만큼이나 학과 간 정원 조정이 매우 중요함.
2) 정부에서 프라임 사업을 통해 학과 간 정원 조정을 추진 중임.
3) 그밖에 국립대 통합으로 경쟁력 강화 및 정원 조정을 추진 중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692565651
3줄 요약
1. 학령인구 감소로 2017년부터 입학 정원보다 학생 수가 더 적을 예정임.
2. 경기침체와 인력수급 미스매치로 대졸 실업자가 크게 증가했음.
3. 이런 문제들 때문에 대학 구조조정이 필연적인 문제가 되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