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pHDR

구조조정.jpg


안녕~ 오늘은 대학 구조조정에 대해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1


2.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2


3. 대학 구조조정 방법-1


4. 대학 구조조정 방법-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1


대학증가_20140305_중앙.jpg


우리나라의 대학교 수와 대학생 수는


1980년대 대학 정원 확대, 1990년대 대학정원자율화로


크게 증가해서 (2014)








대학진학률_201003_연합.jpg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80%대로 많이 올라갔고 (2010)







OECD대학진학률_KBS.jpg


우리나라가 OECD 선진국 중에서


대학을 가장 많이 가는 나라가 되었어. ㅎㅎ (2015년 기준)








미스매치_고용노동부.JPG

(출처: 고용노동부)


문제는 교육단계별 인력수급과 


학과별 인력수급에 문제가 많고  








취업률_20090202_경향.jpeg


경기침체로 대졸 취업률이 크게 하락해서 (2009)








니트족_20160713_문화.jpg


고학력 청년실업자가 많이 양산된 점이야. ㄷㄷ (2016)








사립대취업률_20101002_동아.jpg


우리나라의 대졸 취업률은


지방 4년제 대학일수록 안 좋고 (2010)








전공별_20100216_동아.jpg


인문, 사회, 예체능계의 취업률이 


이공계에 비해 상당히 낮아서 (2010)








6년간통폐합학과1320곳_20160421_조선.jpg


인문계 학생들이 취업난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어. ㄷㄷ 








1.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1 요약


1)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OECD 1위라고 함. (2015년도 기준)


2) 문제는 경기침체와 인력수급 미스매치로 대졸 실업자가 많이 생겼음.  


3) 인문계, 지방대 학생들의 취업률이 심각하게 안 좋은 편임. 








2.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2


저출산_20141112_중앙.jpg

대학 구조조정이 필요한 두 번째 이유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로 (2014)








입학정원_20140129_동아2.jpg


학령인구가 급속도로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해. ㄷㄷ (2014)








대학진학률20130905_조선.jpg

청년실업과 경기침체로 


대학 진학률이 떨어지는 와중에 (2013)








미래_20160404_동아.jpg


2017년부터 대학 입학 대상자 수가 


크게 감소한다고 하니 (2016)








지역별_20131018_중앙.jpg


우리나라의 대학들에게 


큰 위기가 찾아오는 것 같아. (2013)








인구문제_20131018_중앙2.jpg


이 문제는 인구구조적인 문제로 


단기간에 해결할 수가 없는지라 (2013) 








정책_20130306_동아.jpg


정부에서도 대학 구조조정을


강력하게 추진 중이고 (2013)








공감대_20131018_중앙.jpg


대학교들도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에 대해


많이들 공감하는 편이야. (2013) 








2.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2 요약


1) 저출산 문제로 2017년부터 대학 입학 대상자 수가 크게 감소함. 


2) 지방 대학들의 학생 충원율이 급격하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됨. 


3) 학생 수 감소로 대학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였음. 








3. 대학 구조조정 방법-1


진행과정_20140307_중앙.jpg


이명박, 노무현 정부 때의 대학 구조조정이 


많이 미흡하다 보니 (2013)







한국직업능력개발원2.JPG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근혜 정부 들어서 대학 구조조정이 


타이트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별_20131018_중앙.jpg


지방대학의 학생 충원율이 낮아질 전망이라 (2013)








지역별_20140508_조선.jpg


대입정원 감축 계획도 


지방 쪽에 집중되어 있고 (2014)








정원감축_20160907_동아.jpg


학령인구 감소와 발은 맞추다보니 


상당히 강하게 진행될 전망이야. (2016)








평가지표_20110828_세계.jpg


대학정원 감축 계획은 


평가지표를 따라가지 못하는 (2012)








한국직업능력개발원.JPG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실대학에 집중해서 (2014)








퇴출가능성_20150901_동아.jpg


부실대학의 입학정원을  


크게 감축시키는 방향이라고 해. (2015)








E등급_20160905_mbc.jpg


문제는 현재 정책이 장학금 제한 등의


간접적인 정책이라 (2016)







문제점_20160520_조선.jpg

부실대학들이 어차피 재정지원을 못 받는 거


등록금이나 더 받자고 정원 감축을 거부하고 있어서 (2016)  








학교폐쇄_200912_매경.jpg


미래에는 학교 폐쇄 같은 물리적인 조치로 


이어질지 모르겠어. ㄷㄷ (2009)







3. 대학 구조조정 방법-1 요약


1) 인구절벽이 코앞까지 찾아와서 대학 구조조정을 더 강하게 추진 중임. 


2) 지방의 대입 정원을 감축할 계획이고 시간이 갈수록 감축의 규모가 커질 것임. 


3) 현재로서는 자율감축을 권고 중이나 미래에는 강제적인 조치로 이어질지도 모름. 








4. 대학 구조조정 방법-2


대학교육개편_20160731_서울경제.jpg


우리나라의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2016)








학과별_20130901_대학.jpg


이공계 학과의 취업률이 상당히 좋다보니 (2012)








구조조정_20150728_중앙.jpg


정부의 대학 구조조정 정책 중에서 


학과 간 정원조정도 상당히 큰 편이야. (2015)








프라임_20150920_매경.jpg

그 방법으로 추진 중인 게 


프라임 사업으로 (2015) 








총6천억원_20160309_이투데이.jpg


총 6천억 원의 돈을 (2016) 








프라임_20160503_한국일보.jpg


21개 대학의 이공계 학부에 지원해서 (2016)








학과구조조정_2016050902_포커스.jpg


학과 간 정원 조정이 


잘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있어. ㅎㅎ 








20150126_MBC.jpg


그밖에 국립대 통합을 추진해서 







국립대_20160322_중앙.jpg


국립대 경쟁력 강화 및 정원 조정을 추진 중으로 








대학교의고충.jpg


대학 구조조정 때문에 거의 모든 대학들이 


엄청나게 바빠진 편이야. 







갈등_20141012_매경.jpg


대학들의 고충을 잘 이해하지만 


학령인구 감소 문제가 워낙 심각해서 (2014)








대학구조조정.jpg


대학 구조조정은 필연적인 일인지라 


대학들이 잘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해. 








취업률_201308_연합.jpg


또 우리나라의 경제가 좋아져서


대졸 취업률이 크게 상승했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대학 구조조정 방법-2 요약


1) 대학 정원감축 만큼이나 학과 간 정원 조정이 매우 중요함. 


2) 정부에서 프라임 사업을 통해 학과 간 정원 조정을 추진 중임. 


3) 그밖에 국립대 통합으로 경쟁력 강화 및 정원 조정을 추진 중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692565651








3줄 요약


1. 학령인구 감소로 2017년부터 입학 정원보다 학생 수가 더 적을 예정임. 


2. 경기침체와 인력수급 미스매치로 대졸 실업자가 크게 증가했음. 


3. 이런 문제들 때문에 대학 구조조정이 필연적인 문제가 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