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Xnq9y
안녕~ 오늘은 이집트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이집트 소개
2. 이집트 경제
3. 최근 상황
4. 이집트 경제를 위해 필요한 것들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이집트 소개
이집트는 아프리카 북쪽에
위치한 나라로

인구가 8,800만 명으로
엄청나게 많아서 (2015)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라고 해. (2015)
그리고 이집트는 우리나라보다
10배 정도 땅이 더 큰 나라인데
국토 대부분이 메마른 사막이라

이집트에서 사람이 살만한 곳은
나일 강 근처로 생각보단 많이 작은 편이야. ㅋㅋ
이런 이유로 이집트는
인구 밀집도(Density)가 엄청나게 높고

이집트의 도시, 항구, 공항 등등의 시설들이
나일강과 해변에 집중되어 있다고 해.
그 외에 이집트의 국민소득은
2,700 달러 수준으로 (2016)
이집트가 상당히 못사는 나라이기는 한데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남아공 다음으로 재산이 많은 편이라
그 동네 국가들 중에서는
비교적 괜찮은 나라인 것 같아. ㅎㅎ
1. 이집트 소개 요약
1) 이집트는 우리나라보다 10배 정도 더 크고 인구는 8,800만 명임.
2)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라 인구 대부분이 나일 강 근처에 몰려있음.
3) 매우 못사는 나라이지만 아프리카 국가 중에선 비교적 괜찮은 나라임.
2. 이집트 경제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이집트의 수출구조를 살펴보면
원유, 면직물, 농산물, 화학제품을 주로 수출하고 (2014)
석유, 제조업 제품, 농산물, 철강제품을
주로 수입하는 편으로 (2014)

의외로 이집트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나오는 산유국이야. (2014)
(사우디의 원유 생산량은 하루에 천만 배럴 정도임.)
하지만 이집트의 원유 생산량은
하루에 60만 배럴로 매우 적고 (2010)

생산(Production)이 수요(Demand)를 겨우 충족하는 수준이라
큰 의미가 없는 것 같아. ㅋㅋ (2014. 천연가스)
이집트의 다른 산업으로 제조업,
농업, 무역 등이 있는데 (2012)
(기계, 화학, 식품가공업, 의류, 기타)
이집트의 제조업 중에 기계 산업 비중이 매우 작아서
공업기술력이 매우 약할 것 같고 (2013)
나일 강 근처에서 농경지가 많이 있으나
이집트의 농업기술력이 빈약하고
인구가 8,800만 명으로 엄청 많아서 그런지
이집트는 곡물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은 나라라고 해. (2013)
이렇게 이집트의 산업에서 특별한 강점이 없다보니
무역수지 적자가 만성적인 편이고 (2012)
신흥국치곤 경제성장률이 쫌 낮은 편이야. (2016)
2. 이집트 경제 요약
1) 이집트에 석유가 나오기는 하나 하루 60만 배럴로 매우 적음.
2) 이집트가 농업을 많이 할 거 같은데, 오히려 식량 수입국임.
3) 경제성장률이 생각보다 낮은 편으로 좀 문제가 있어 보임.
3. 최근 상황
이집트는 2011년에 민주화혁명을 해서
독재자를 몰아낸 나라인데 (2011)
독재자 축출 과정에서
상당한 경제 혼란을 겪어야 했고 (2013)
이슬람 원리주의 정부와 그에 반대하는 군사 쿠데타로
정치적 혼란이 꽤 심했던 나라였어.
이런 이집트의 혼란을 진정시키고자
이집트 정부가 추진한 것이 (2013)
대규모 토목사업인데
이런 토건사업 자금을 외채로 마련하다보니
이집트의 나랏빚이 크게 증가한 상태야. (2016)
토건사업의 투자금이 바로바로 회수되면
빚 걱정 없이 참 좋을 텐데 (2015)
이집트 정부가 돈 융통을 잘 못해서 그런지
이집트 정부가 IMF로부터
돈을 꾸게 되었다고 해. (2016)
3. 최근 상황 요약
1) 이집트는 민주화운동과 군부쿠데타로 정치가 혼란스러운 나라임.
2) 사회 안정을 위해 이집트 정부가 대규모 토건사업을 많이 벌임.
3) 외채 관리에 조금 문제가 있어서 최근 IMF 구제금융을 요청함.
4. 이집트 경제를 위해 필요한 것들

이집트가 IMF 구제금융에서 빨리 벗어나려면
2011년 민주화운동 이후 아작 난
이집트의 외환보유고를 늘려야 하는데 (2015)
그러기 위해선 세계경제가 좋아져서
수에즈 운하의 물류량이 크게 증가해야하고 (2012)
이집트 내에서 발생 중인
테러 문제를 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봐. (2015)
이집트는 고대 이집트 왕국으로부터
찬란한 문화유산을 받은 나라로
관광수입이 이집트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14)
테러 증가와 함께 비행기 추락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서 (2015)

외국인 관광객들이 이집트 여행을
많이 꺼리고 있어. (2015)
그래서 이집트 경제가 살아나려면 치안 관리를 잘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잘 막아야 하고 (2016)
세계 경제가 활성화되어서 제2 수에즈 운하에서
많은 이익을 얻으면 될 것 같아. (2015)
그 외에 이집트의 유전 개발이 좋은 성과를 거두면
빚 문제를 많이 완화시킬 수 있어서 (2015)
현재의 위기 상황을 잘 극복하면
아프리카에선 꽤 괜찮은 나라가 될 것으로 생각해. ㅎㅎ
4. 이집트 경제를 위해 필요한 것들 요약
1) 세계경제 회복으로 수에즈 운하 통행료 수입이 증가해야 함.
2) 치안 관리를 잘해서 외국인 관광객을 다시 유치해야함.
3) 이집트 정부가 투자한 토건사업이 좋은 성과를 거두어야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8615979174
4줄 요약
1. 이집트는 북아프리카에서 상당히 큰 나라임. 인구 8,800만 명.
2. 국민소득 3천 달러로 많이 가난한 나라인데, 최근 IMF 구제금융을 받기로 함.
3. 이집트 정부가 토건사업을 많이 해서 돈이 좀 부족한 것이 이유인 것 같음.
4. 현재의 악조건을 잘 극복하면 나중에 더 발전할 나라라고 생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