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iNRuC

Exchange_Rates_Simplified_Why_They_Differ_Between_Currency_Exchangers.jpg


안녕~ 오늘은 환율에 대해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환율과 기축통화 소개


2. 환율과 우리나라 경제


3. 우리나라 환율


4. 환율과 우리나라 수출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환율과 기축통화 소개


한국은행경제교육9.gif

(출처 : 한국은행 경제교육)


환율이란 두 나라 화폐 사이의 교환 비율로








world-currency-symbols_23-2147533993.jpg


세계 각국에 다양한 돈이 있지만 







한국은행경제교육12.jpg


주로 달러와의 교환 비율을 많이 보고 있어. 







한국은행경제교육11.jpg

(기축통화 : 국제거래의 결제수단으로 사용되는 통화.)


그 이유는 달러가 기축통화이기 때문으로 







한국은행경제교육13.jpg 


기축통화가 있는 이유는 세계 각국이 교역을 할 때 








20101021_동아2.jpg 


각국의 서로 다른 화폐로 교역을 하자니 


너무 불편해서 그런 것으로 








History of money.jpg


과거 역사에서도 기축통화는 


항상 있었다고 해. 







Global_Reserve_Currencies.jpg

전 세계의 결제 통화는 미국 달러의 독무대였는데


유로존의 등장으로 유로화가 높게 평가받아서 (2013)








20151201_동아.jpg


유로화의 통화 거래 비중이 30% 정도로 


상당히 커졌지만 (2015) 








20140716_한국일보.jpg


뭐 어쨌든 우리나라에게 중요한 무역 결제는


달러가 중심이라 달러가 기축통화야. ㅎㅎ (2015) 








1. 환율과 기축통화 소개 요약


1) 환율은 두 나라 화폐 사이의 교환 비율이고 주로 달러와 많이 비교함.  


2) 그 이유는 달러가 국제거래의 결제수단인 기축통화이기 때문임. 


3) 세계 통화 거래의 70% 이상을 달러와 유로가 차지하고 있음. 








2. 환율과 우리나라 경제


무역의존도.jpg


환율이 우리나라 경제에 중요한 이유는 


우리나라가 무역을 많이 해서 그런 것으로 (2011)








한국은행경제교육7.jpg

환율 변동은 우리나라의 수출입에 큰 영향을 끼쳐서 


경제 전체에 영향을 주고 있어. 








201511_매경.jpg


환율로는 원·위안 환율, 원·엔 환율 등등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원·달러 환율을 기준으로 환율을 설명하자면 







한국은행경제교육3.gif

원화의 가치가 하락해서 1달러에 1200원쯤 하는 게 환율 상승이고


원화의 가치가 상승해서 1달러에 1000원쯤 하는 게 환율 하락이야. 







한국은행경제교육17.jpg

환율은 교환비율이고 


보통 외국환을 기준으로 말하기 때문에 








20140527_한경.jpg


환율과 화폐가치는 반대로 움직인다고 


이해하면 편할 것으로 생각해. ㅎㅎ







한국은행경제교육.gif

다시 돌아와서 환율의 경제적 영향을 설명하자면 


환율 상승 시 수출 증가 효과가 발생하는데 








20160430_MBN.jpg


이는 1달러 어치 물건을 수출할 때 


환전 받을 원화가 늘어나서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고 








한국은행경제교육20.gif

(출처: 한국은행 경제교육)


혹은 더 저렴한 가격에 수출해서


수출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야. 







한국은행경제교육15.gif

이런 이유 때문에 수출과 산업을 


중요시 여기는 우리나라 정부는








20080825_한경2.jpg


환율 상승을 많이 좋아하는 편인데 (2008)







한국은행경제교육14.gif

환율이 상승하면 1달러 어치 물건을 


더 비싼 가격에 사는 것이라 








20110405_국민일보.jpg

(통화절상 : 화폐가치 상승.) 


환율 상승물가 상승을 유도해서 


소비자에게는 매우 안 좋은 일이라고 해. (2011)








한국은행경제교육2.gif

이렇게 환율은 상승이든 하락이든  


일장일단의 장단점이 있어서 





한국은행경제교육8.jpg

인위적인 환율 조작을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게 좋은 것 같아. ㅎㅎ








2. 환율과 우리나라 경제 요약


1) 환율상승이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에 도움이 되어서 정부가 많이 좋아함.


2) 다만 환율상승은 수입 물가를 상승시켜서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일임. 


3) 환율 상승과 하락은 장단점이 있어서 환율조작을 안하는 게 좋음. 








3. 우리나라 환율


20111125_한경.jpg

우리나라의 환율은 IMF 경제위기 때와 


리먼 사태 때를 제외하면 (2011)








20150209_세계.jpg

대충 달러 당 1100원으로 


환율 변동이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야. (2015)








20160811_포커스뉴스.jpg

최근 우리나라의 환율은 브렉시트 여파로 상승했다가


다시 내려가는 중으로 (2016)







20160810_헤럴드경제2.jpg

원화의 화폐가치 상승(환율하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2016) 








20160626_파이넨셜.jpg


우리나라의 원화가치가 왜 상승했냐면


외환시장에서 달러가 많아서 그런 것으로 (2016) 








한국은행경제교육4.gif 

한국은행경제교육5.gif 

우리나라 경제가 탄탄해서 


외환수급이 원활해서 그런 것이야. ㅎㅎ 








20160807_한경.jpg

수출 증가율이 썩 좋지는 않지만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경상수지 흑자가 많고 (2016) 








20151207_포커스뉴스.jpg


우리나라가 외국에게 돈을 빌리는 나라에서


돈을 빌려주는 나라가 되면서 


외채 부담도 많이 줄어들었어. (2015) 








20160810_파이낸셜.jpg 


또 외국인의 우리나라 투자로


외환이 우리나라에 몰려오면서 (2016)








20160812_이투데이.jpg


외국인 투자금환율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편이야. (2016) 








20160811_헤럴드경제.jpg

이런 이유들 때문에 우리나라 환율이 하락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것 같아. (2016) 








3. 우리나라 환율 요약


1) 우리나라 환율은 IMF, 리먼 사태를 제외하면 대체로 안정적인 편임. 


2) 요즘 우리나라의 화폐가치 상승이 주요국들 중에서 상당히 강한 편임. 


3) 외환보유고 증가,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투자금 유입 등등이 원인으로 생각됨. 








4. 환율과 우리나라 수출 


20160430_MBN2.jpg


우리나라는 대대로 환율조작 의혹을 


많이 받았던 나라였는데 








신용등급.jpg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이 영국, 프랑스와 대등해지고 (2016)








l_20160808_경향.jpg


중국, 일본보다 우월해지면서 


환율조작을 쉽게 하기 어려워졌다고 생각해. (2016) 







20131211_중소기업.jpg

이는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에게


대단히 안 좋은 일로 (2013) 








20130320_한경.jpg


여러 수출기업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야. (2013) 








20160502_동아.jpg


더욱이 중국, 일본이 환율조작을 


자주 하는 편이라 (2016)








20160502_헤럴드경제.jpg

환율 하락이 계속되면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의


경쟁력이 약화되어서 


우리나라의 수출이 더 안 좋아질 수 있다고 생각해. (2016) 








20140514_아시아경제2.jpg

하지만 달러 당 1,100원의 환율은 


적정환율 수준으로 크게 나쁜 편이 아니고 (2014) 









20160430_MBN.jpg


미국은 우리나라의 적정환율을 


달러 당 980원으로 보고 있어서 (2016)








20140514_아시아경제.jpg


우리나라의 수출기업들이 품질향상, 신제품 개발에 노력해서


경쟁력을 올린다면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아. (2014) 








신용등급평가.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북한, 중국, 세계경제 등의


대외여건 위협만 빼면, 일본보다 탄탄한 나라로 









World-Currency-590.jpg

(외국인이 우리나라 국기를 완전히 잘못 그렸음.) 


미래에는 우리나라 원화가 


국제적인 통화로 인정받을 것으로 생각해. ㅎㅎ 








4. 환율과 우리나라 수출 요약


1)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상승으로 환율조작을 하기 어려워진 것 같음. 


2) 환율하락으로 우리나라의 수출산업에 소폭 타격이 생길 것 같음. 


3) 하지만 적정환율 수준이라 수출기업에 큰 문제는 안 생길 거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587658279








3줄 요약


1. 우리나라가 무역을 많이 하는 편이라 환율은 우리나라 경제에 많이 중요함. 


2. 환율상승은 수출기업에게 좋고, 환율하락은 수입물가 하락으로 소비자에게 좋음. 


3. 우리나라 국격의 상승 때문인지, 원화가치가 상승하고 있음. 이는 수출에 안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