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A1FAR

누진세.jpg


안녕~ 오늘은 전기요금 누진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누진제 소개


2. 우리나라 가정의 전력 소비


3. 누진제 개편 논란-1


4. 누진제 개편 논란-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누진제 소개


명목전기요금.jpg


우리나라의 명목 전기요금은 


세계적으로 저렴한 편으로 (2012년 기준)








전기요금비교_20120704_이투데이.JPG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이라고 해. (2012) 







리얼미터여론조사_20160811_헤럴드.jpg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은 전기요금에 대한


불만이 매우 많은 편으로 (2016)








누진세.jpg

(누진제 : 사용량에 따라 요금 단가를 높이는 제도.)


이는 전기요금 누진제 때문이야. 








누진세역사_20130822_중앙.jpg


전기요금 누진제는 1970년대 오일쇼크 상황에서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13)









 누진제의힘_20160809_매경.jpg


시대 상황에 따라 누진 단계와 배율이 


자주 바뀌었다고 해. (2016) 








누진제_20160810_한겨레.JPG

현행 누진제는 누진단계가 6단계이고 


누진배율은 최고 11.7배로 (2016)








누진제_pd수첩.jpg


전기 소비량이 많을수록 


전기요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서 (연도 모름)









누진제의힘_20160809_한겨레.JPG


가정에서 전기를 펑펑 썼다간 


어마어마한 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어. ㄷㄷ (2016)








가전제품전력소비.jpg


이 전기요금 누진제 때문에 


에어컨과 전기난로를 편히 쓰기 어려운 편이라 (2016)








리얼미터여론조사_20160811_헤럴드.jpg

전기요금 누진제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이 많은 편으로 (2016)









20160804_머니투데이.jpg


요즘 정치권에서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나오는 중이야. (2016) 








1. 누진제 소개 요약


1) 우리나라의 기본 전기요금은 매우 저렴하나 전기요금이 비싸다는 불만이 많음.  


2) 이는 전기요금 누진제 때문으로 누진제 적용 시 전기요금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남. 


3) 전기요금 누진제 때문에 가정에서 에어컨과 전기난로를 편히 쓸 수가 없음.  








2. 우리나라 가정의 전력 소비


1인당전력소비.jpg


우리나라의 1인당 가정용 전력소비량은 


OECD 최하위권일 정도로 매우 적게 쓰고 있고 (2012년 기준)








전력소비비중_국회예산처.JPG

(출처: 국회예선정책처.)


가정의 전력소비 비중은


전체의 13% 수준으로 (2011)








전력소비량_국회예산처.JPG

(출처: 국회예산정책처.)


전력소비의 대부분을


제조업상업에서 쓴다고 해. (2011) 









전체가구_20160807_서울경제.jpg


그리고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월평균 사용량은


229 킬로와트시(kWh)로 (2016)








 누진구간별_에너지경제연구원.JPG

(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체 가구의 70%가 300 킬로와트시(kwh) 


이하로 쓰는 편이야. (2014년 기준)








누진단계_20160728_중앙.jpg


전체 가구의 월평균 전력사용량이 229 킬로와트시(kWh)이면 


누진세가 양호해 보이는 것 같은데 (2016)








4인가구_20160809_머니투데이.jpg


4인가구의 월 평균사용량이 342 킬로와트시(kWh)여서 


많은 가구들이 4단계 누진요금을 적용받고 (2016)








전력피크_20160810_서울경제.jpg


가정의 전력소비가 많아지는 


여름과 겨울이 되면 (2016)








여름_20160810_아시아투데이.jpg


거의 대부분의 가구들의 


전력수요가 1단계씩 상승해서 (2016)








여름_20160811_조선2.jpg


많은 가구들의 전기요금이 


여름과 겨울에 급증하고 있어.  (2016)








2. 우리나라 가정의 전력 소비 요약


1)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월 평균 전력사용량은 누진제 3단계에 속하고 있음. 


2) 4인가구의 월 평균전력사용량이 342 킬로와트시로 누진제 4단계에 속함.   


3) 여름과 겨울이 되면 가정의 전력소비가 증가해서 4,5 단계 가구가 많이 생김. 








3. 누진제 개편 논란-1


누진제의힘_20160809_동아.jpg


누진제 4단계를 넘어서면 


전기요금이 매우 비싸게 느껴지는데 (2016)








20160809_서울경제.jpg


여름, 겨울만 되면 


누진제 4,5단계 가구가 많이 생겨서 (2016)








임시개편_20160811_서울경제2.jpg

(새누리당의 누진제 완화안.) 


누진제 단계를 완화할 필요성이 


높은 편이야. (2016) 









해외_20160810_한국일보.jpg 


또 우리나라의 전기요금 누진제는


해외와 너무 다른 편이라 개선할 필요성이 있고 (2016) 








1인가구_20130911_뉴스1.jpg


기존 누진제도가 1인 가구에게 


심하게 유리한 제도이며 (2013) 









가구당전력소비_에너지경제연구원.JPG

(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가구의 전력소비 증가로 현행 누진제는 


시대에 안 맞는다고 생각해. (2015년 기준)







연간전력수급_국회예산처.JPG

(출처: 국회예산정책처)


하지만 누진제를 개편하면 


가정의 전력 소비가 급증해서  








블랙아웃.jpg

(블랙 아웃 : 대규모 정전 사태.)


여름이나 겨울에 블랙아웃이 발생할 수 있어서 (연도 모름)









전력수급.jpg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은


전력수급을 고려해야할 문제인 것 같아. 








3. 누진제 개편 논란-1 요약


1) 여름과 겨울이 되면 가정의 누진제 부담이 크게 증가함. 


2) 현행 누진제는 가정의 꾸준한 전력 소비 증가를 고려하지 않은 편임. 


3) 현행 누진제의 단계를 완화할 필요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음. 








4. 누진제 개편 논란-2


주택피크_20160811_문화.jpg

가정의 전력소비는 직장인들이 퇴근해서

집에 있는 야밤에 많은 편인데 (2016) 








전력피크_20160808_연합.jpg

우리나라의 전력 피크는 오후 3시쯤에 많고 (2016)







가정의소비비중_연합.jpg

전체 전력소비의 13% 밖에 안 되는

가정이 전력 대란의 원인은 아니라고 생각해. (2015년 기준)







제조업_국회예산처.JPG
(출처: 국회예산정책처) 

그럼 산업용과 일반용 두개가 원인일 텐데

제조업의 전력소비는 거의 일정한 편이라   








20140713_세계.jpg

상가의 냉난방이 전력대란의 

주요 원인으로 보이고 있어. (2014)  







원전_20121106_중앙.jpg

다만 2011년 전력대란은 상가 탓보단 

원전비리로 인한 원전 가동 중단 탓이 더 크고 (2012)







20150720_중앙.jpg

요즘에는 전력 공급능력이 크게 증가해서

별 문제가 없을 것 같아. (2015)







예비율_20160808_서울경제.jpg

최근 전력예비율이 급격히 떨어져서 문제가 되고 있는데, 

갑자기 떨어져서 좀 이상한데 (2016)








한국경제.JPG
이것도 운행을 중단한 

원전 4기가 재가동을 하고 (2016) 






실제예비율_20160810_머니투데이.jpg
가동을 안 하는 천연가스 발전소가 가동을 하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  (2016)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_20140719_더스쿠프.jpg
또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예비전력이 훨씬 많으면서

전력대란을 걱정하고 있는데 (2014)







전력계통운영시스템_20140124_조선.jpg

이것은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이 

미국에 비해 어설퍼서 그런 것으로 (2014)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_20140716_더스쿠프1.jpg

전력계통운영시스템 개선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있으니 

한전이 성과를 좀 보여줘야 할 것 같아. (2014) 







20160812_서울신문.jpg

마지막으로 국민들의 누진제 불만이 높아지자

정부에서 임시적으로나마 누진구간을 

50 킬로와트시(kWh) 씩 늘려주어서 (2016)







20160812_동아.jpg

올해 7~9월 달 전기요금이 20% 정도 

저렴해질 것이라고 해. ㅎㅎ (2016) 







한전_20160810_중앙.jpg 
(한전의 영업이익 증가에는 전기요금 인상보단 저유가 영향이 더 큼.)

하지만 한전이 영업이익 10조원 이상으로

엄청나게 많이 벌고 있으니 (2016) 








20160810_서울신문.jpg

현행 누진제를 많이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2016)








20160811_세계.jpg

정치권에서 좋은 법안을 

만들어주었으면 참 좋겠어. (2016)







연합뉴스.jpg

개인적으로 여름과 겨울에 누진제 4, 5단계 

가구가 많이 생기니깐 (2016)







누진제개편_20130822_조선.jpg

500 킬로와트시(kWh) 이하의 가구를 위한 

제도를 만들었으면 좋을 것 같아. ㅎㅎ (2013)







4. 누진제 개편 논란-2 요약

1) 가정의 전력소비는 야밤에 많은데, 전력피크는 오후 3시임. 

2) 전력대란을 우려하기에는 가정의 전력소비 비중이 매우 낮음. 

3) 전력예비율 문제도 한전이 전력 관리를 잘하면 문제없다고 생각함.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명목 전기요금은 매우 저렴한데, 누진제 때문에 전기를 많이 쓰면 매우 비쌈. 

2. 여름과 겨울에 전력소비가 증가하면 누진제 4,5단계 가구가 많이 발생함. 전체 가구의 30%임. 

3. 가정의 전력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니 현재의 낡은 누진제를 개편할 필요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