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dCUi

표지.jpg


안녕~ 오늘은 편의점 시장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편의점 소개


2. 편의점 시장


3. 최근 동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편의점 소개


정책공감_정부블로그.jpg

편의점(Convenience store)란 역 주변, 도로변 등 이용하기 편리한 곳에


입지하며 장시간 영업을 하는 소형소매점포로








방방곡곡.jpg


전국 방방곡곡에 위치하며 대부분 24시간 영업을 해서 


언제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소매점이라고 해. 









매출비중_20060620_동아.jpg

편의점은 담배, 주류, 가공식품들을 


주로 판매하고 (2006)








수요_201508_매경.jpg


시간과 입지조건의 편리함을 강점으로 


하는 소매점포로 (2015)









고객_20060328_동아.jpg


1989년도에 7개에 불과했던 편의점 수가 (2006)








총매출_20160719_디지털타임즈.jpg


지금은 대략 3만개에 달하고


매출 규모는 17조원에 달하는 중이야. (2016)








백화점_20160215_연합.jpg


그리고 편의점의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해서


백화점 매출액의 절반에 도달했고 (2016) 








시가총액_20160522_뉴시스.jpg

편의점 업체들의 시가총액이 


이마트랑 엇비슷해서 (2016)







편의점매장.jpg

작게 보였던 편의점 시장이


생각보다 상당히 큰 것 같아. ㅎㅎ 









1. 편의점 소개 요약


1) 편의점은 편리한 곳에 입지하고 장시간 영업을 하는 소형소매점포임.


2) 편의점은 1989년 7개에서 2016년 약 3만개로 엄청나게 성장했음. 


3) 편의점 업체의 시가총액이 대형마트 시가총액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음.









2. 편의점 시장


편의점수_20140106_세계.jpg

편의점 업계는 CU, GS25, 세븐일레븐이 3톱이고 (2014)








특화_201202_매경.jpg


각각 조금씩 다른 특징들이 있다고 해. (2012) 






판매순위_201508_한경.jpg

이들 편의점의 주력 상품들은 


주류, 음료, 담배, 가공식품들로 (CU기준)








상품들_20160408_동아.jpg


바쁜 회사원들이나 학생들이


간단한 식사대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어. (2016)








도시락_20160331_중앙.jpg


그런 이유에서 인지 편의점 도시락이 


매우 많이 나오고 있는 중으로 (2016)









도시락_20160613_매경.jpg


도시락 전문 업체에 비해 


그렇게 나쁘지 않는 품질을 무기로 (2016)








도시락매출_20150701_조선.jpg


도시락 매출이 쑥쑥 증가하고 있는 중이야. (2015) 








20140728_헤럴드경제.jpg

(PB상품 :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에 제품생산을 위탁해서 만든 상품.)


또 편의점하면 PB상품(Private brand goods)으로 (2014)  








PB_20150729_중앙.jpg

상품가격을 비교적 저렴하게 만들어서


소비자 호응이 좋아서 (2015)








 PB상품_20160205_이데일리.jpg


PB상품이 편의점 매출 증가를 


견인하고 있다고 해. (2016)









매출증가율_20140826_조선.jpg


이런 노력 덕분인지 편의점의 매출 증가율이


백화점과 대형마트보다 훨씬 뛰어나서 (2014)








최근_20160607_서울경제.jpg


편의점 점포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야. ㅎㅎ (2016) 









2. 편의점 시장 요약


1) 편의점 시장은 CU, GS25, 세븐일레븐 3강 체제임. 


2) 도시락과 PB상품이 편의점 매출 증가를 견인한다고 함. 


3) 백화점, 대형마트에 비해 편의점의 매출 증가율이 훨씬 높음. 








3. 최근 동향


SBS보도.jpg


소매업종 중에서 편의점이 가장 잘 되고 있고 (2015)








가맹점당매출_20151224_서울경제.jpg


가맹점당 매출액이 비교적 좋은 편이라 (2015) 








창업증가_20160701_매경.jpg

편의점 창업이 증가하고 있어서


시장 포화의 우려가 있어. (2016)









평균매출_20130408_국민.jpg


실제로 가맹점 평균 연매출이 감소 중이라 (2011) 









브랜드.jpg


편의점 업계가 상당히 빡셀 것으로 생각되는 편이야. 


 






일인가구_201507_한경.jpg


하지만 1인 가구 증가와 (2015)








일본편의점_20150723_중앙.jpg


노인인구 증가가 편의점 업계에 


도움이 된다고 하고 (2015) 








일본비교_20140717_조선.jpg


일본의 편의점 업계와 비교해 봤을 때 


우리나라 편의점은 더 성장할 여지가 크다고 생각해.  (2014)








서비스진화_20150131_동아.jpg


또 편의점의 서비스가 꾸준히 진화하는 중이고 (2015)








 정부정책_20160705_서울경제.jpg


편의점에서 판매 가능한 의약품 수가


더 많이 증가할 예정이라 (2016)








영업이익_201511_한경.jpg


편의점 업계가 건실하게 성장해 나갈 것 같아. ㅎㅎ (2015)









3. 최근 동향 요약


1) 편의점 점포수 증가로 인해 시장 포화가 우려되고 있음. 


2) 일본의 사례를 보면 편의점 시장이 더 많이 성장할 것 같음. 


3) 편의점의 의약품 판매가 확대되면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 같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436343676








3줄 요약


1. 편의점 점포수는 약 3만개로 25년 사이에 엄청나게 증가했음. 


2. PB상품, 도시락 판매의 힘으로 편의점의 매출 증가율이 꾸준함. 


3. 1인 가구, 노인인구 증가가 편의점 시장에는 도움이 된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