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5KHNT

성주.jpg


안녕~ 오늘은 경북 성주에 사드가 


배치되게 된 이유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사드 후보지


2. 사드 배치의 고려 사항-1


3. 사드 배치의 고려 사항-2


4. 아쉬운 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사드 후보지


20160708_연합.jpg


사드는 날아오는 북한의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방어 무기로 









20160710_중앙.jpg


사거리 300km의 스커드B 미사일도 요격할 수 있어서 


우리나라에 딱 맞는 무기 체계라고 해. 








20160130_조선.jpg


그런데 사드 미사일은


사거리 200km로 많이 짧은 편이라 








201607_연합.jpg


우리나라 전역을 방어해주기 위해선


최소 2개 포대는 필요한 형편이야. 









20160712_뉴스1.jpg


문제는 우리나라에 배치되는 사드 포대가


딱 1개 포대라 








20160705_KBS.jpg 


"어디에 배치해야 가장 좋을까?" 로 


미국과 한국이 고민하게 되었어. 









20160712_국민.jpg


고심 끝에 선정된 지역은 


경북 성주의 성산포대로









20160713_연합.jpg


수도 서울을 방어해주기에는 


사거리가 부족해서 조금 아쉬운 곳이라고 해. 









20160713_조선.jpg


뭐 어쨌든 다른 지역을 재치고


경북 성주가 왜? 선정되었는지 알아볼 생각이야. 









1. 사드 후보지 요약


1) 사드는 스커드 미사일도 요격 가능해서 우리나라에 필요한 방어체계임. 


2) 사드 1개 포대로는 우리나라 전역을 방어 못해서 위치 선정이 중요함. 


3) 서울을 방어해주기 힘든 경북 성주가 사드 부지로 선정되었음. 









2. 사드 배치의 고려 사항-1


20160708_국민.jpg


사드 부지 선정에 대한 고려 요인은


크게 전략적 요소, 환경적 요소, 행정적 요소로









20160705_동아.jpg


먼저 전략적 요소로는 북한의 300mm 방사포 공격에 


피해를 입지 않을 지역이야. 









201603_연합.jpg


북한은 무기의 사거리에 대해


대단히 많이 집착하는 편으로 









20160712_포커스뉴스.jpg


장사정포가 사거리를 위해 화력을 포기한 것처럼


이번 신형 방사포도 사거리에 몰빵한 무기라고 해. 







20160712_세계2.jpg


뭐 어쨌든 1조 원 어치의 귀중한 사드 미사일 포대가


방사포 공격에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20160712_국민2.jpg


경북 위쪽의 지역은 배치하기가 


조금 망설여지는 곳이야. 









20160711_파이넨셜.jpg


이런 이유로 사드 배치 후보 중에 1,2,3,4번은 패스하고 


나머지 지역이 가능성이 높은데 









20160709_중앙.jpg


나는 캠프 캐럴 주한미군 기지가 있는


경북 칠곡이라고 생각했었어. 









칠곡군.jpg


근데 칠곡군 옆에 있는 성주군이


선정되어서 깜짝 놀란 편이야. ㅎㅎ 









2. 사드 배치의 고려 사항-1 요약


1) 사드 부지 선정의 고려 요인은 전략적, 환경적, 행정적 요인이 있음. 


2) 전략적 요인은 북한의 신형 방사포의 사거리 밖이라고 함.  


3) 북한의 300mm 방사포 사거리 밖은 경북과 전북 정도임. 









3. 사드 배치의 고려 사항-2


20110521_동아.jpg


경북 칠곡의 캠프 캐럴 주한미군 기지는 부지 면적이 넓은데


시내가 너무 가깝고 평지이며 









성산리지도.JPG

(칠곡군 인구가 12만명, 성주군 인구가 5만명이기도 함.)


경북 성주의 성산리는 


논밭과 산이 많아서 









NISI20160708_뉴시스.jpg


사드 전자파 논란에 대해 경북 성주의 성산포대가 


매우 좋은 위치 조건으로 보여. 








20160713_동아.jpg


성산포대는 해발 400m 의 고지라 전자파 논란을 막기 좋고


캠프 캐럴 미군기지와 매우 가까워서 


사드 포대의 미군 병사들에게 그나마 좋은 것 같아. ㅎㅎ  








 20160713_조선2.jpg  


또 사드 레이더가 북한 전역을 보면서


중국 땅은 거의 보기 힘든 위치라 









20160706_동아.jpg


전북에 배치하는 것보다 중국의 반발을 덜 받을 수 있어서 


좋은 위치라고 생각해. 









3. 사드 배치의 고려 사항-2 요약


1) 경북 칠곡의 주한미군 기지는 평지에다가 시내 근처임. 


2) 경북 성주의 성산포대는 산지에다가 주변 인구가 매우 적음. 


3) 환경적, 행정적 요소를 볼 때 성산포대가 좋은 입지조건임. 









4. 아쉬운 점 


NISI20160713_뉴시스.jpg

사드 포대의 위치가 서울을 방어해주기 


어려운 점이 아쉬운데 








20160708_머니투데이.jpg


미국이 큰 맘 먹고 우리나라를 위해


1개 포대를 더 배치해줬으면 참 좋을 것 같아. ㅎㅎ 









htm_20131028_중앙.jpg


그게 어렵다는 점이 참 아쉽지만 어쨌든 


수도권 방어를 위한 패트리엇 미사일 포대가 있고 









20160616_중앙.jpg

(클릭하면 크게 보일꺼임.)


미국의 작전계획은 유사시 스텔스 기 수십 대와 


토마호크 미사일 600발로 









GYH20160214_연합.jpg


북한의 미사일 발사차량, 발사대, 사령부를 


초전 박살내는 것이라 









maxresdefault2.jpg


독도함만큼 거대한 미국 잠수함이 








미국잠수함.JPG


토마호크 미사일을 북한에 퍼부을 것이고 








The_shear_size_of_the_B-2.jpg


거대한 B-2 스텔스 폭격기가


북한에 융단폭격을 가할 것이야. 









우리나라포병.jpg


또 미국이 작전을 개시하면 우리나라는 









GYH20160328_연합.jpg

가용 전력을 최대한 사용해서


북한의 장거리 포병 전력을 우선적으로 파괴할거라고 해. 









20141024_국민.jpg


사드가 북핵을 100% 제거한다고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선의 수단은 선제공격으로 보이고 있어. ㅎㅎ 









4. 아쉬운 점 요약


1) 사드 포대가 1부대 더 와야 서울 방어가 가능할 것 같음. 


2) 사드 포대가 1조원 어치의 비싼 무기라 쉽지가 않을 듯. 


3) 선제공격을 통해 북핵을 조기 무력화하는게 최선의 전략으로 보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366379935








3줄 요약


1. 사드 포대 부지로 경북 칠곡이 아닌 경북 성주가 선정되었음. 


2. 환경적, 행정적 요인이 크게 작용해서 경북 성주가 선정된 것 같음. 


3. 산 위에 위치해서 사드 전자파 논란을 막기에 좋은 위치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