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ILKth

중국부채.JPG


안녕~ 오늘은 중국의 과잉부채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의 부채 규모


2. 부채 증가 이유


3. 중국의 위험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부채 규모

중국부채_20160115_이투데이.jpg

중국의 부채규모는 GDP의 280% 정도이고


총부채 규모는 28조 달러로 (2016)








Pic-China-debt.jpg

(28조 달러 = 3경 2396조원)


대국답게 빚 규모도


어마어마한 수준이라고 해.  








신흥국_20160425_매경.jpg

(평가기관마다 부채비율이 조금씩 다름.)


중국의 부채비율은 신흥국치고는 


상당히 높은 편이고 (2016)








중국특징_20160425_이투데이.jpg

유별나게 기업부채가 많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야. (2016)







charts-25.jpg

그래서 중국(china)의 높은 기업부채


중국의 아킬레스 건으로 여겨지는데 








부채액수_20130519_매경.jpg

실제로 중국의 기업부채 액수는


미국을 초월해서 (2013) 









액수_20140616.jpg


세계에서 기업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가


중국이라고 해. (2013. S&P)

 







소로스.jpg


중국의 이런 문제점들 때문에


조지 소로스가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으며 









위험_20160523_연합.jpg


많은 전문가들이 중국 경제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중이야. (2016) 








1. 중국의 부채 규모 요약


1) 중국의 총부채규모는 3경 2396조 원이라고 함. 


2) 중국의 부채비율은 신흥국치고 상당히 높은 편임. 


3) 중국은 기업부채 비율이 유난히 높은 특징이 있음. 









2. 부채 증가 이유


china 2007 debt explosion.jpg

중국의 부채비율은 2008년부터 


크게 증가하게 되었는데 (2014)









 빚의거탑_20160426_중앙.JPG


이는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신규대출을 마구 늘려서 그런 것이라고 해. (2016)    









기업부채_2014.jpg


문제는 부채의 증가 속도보다


부채를 어디다 사용했냐가 중요한데 (2014)









 중국빈집.jpg 

중국의 부동산투자는 


중국 서민들의 낮은 구매력 때문에 (2013)









중국주택재고.jpg


과도한 주택재고로 이어졌다고 하고 (2013)








 자동차산업과잉설비_이투데이.jpg


중국 기업들의 생산설비 투자는 


판매량에 비해 설비를 지나치게 많이 늘려서 (2015. 자동차산업)









과잉설비.jpeg


과잉설비(excess capacity) 문제가 심각한 편이야. 








투자낭비7500조원.jpg

이런 이유로 중국에서 투자 낭비된 돈이


7500조원 쯤 된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2014)








china-debt-804x1024.jpg


중국의 기업부채는 건설업, 전력산업, 


광산업, 부동산 등에 쏠려있다고 해. (2013)

  







2. 부채 증가 이유 요약


1) 2008년 미국 경제위기 때 중국 정부가 느슨한 통화정책을 시행했음. 


2) 부동산, 생산설비에 과잉 투자되어서 낭비된 돈이 7500조원으로 추정됨.


3) 부채증가 외에 덤으로 주택재고와 과잉설비 문제도 야기했음. 








3. 중국의 위험성 


중국위험성_20160426_국민.jpg


중국의 부채 문제는 증가 속도, 부동산 집중, 


비은행 부채라는 문제점 말고도 (2016)







외채_20151217_중앙.jpg

(1조 2천억 달러 = 1,388조 원)


기업부채에서 해외채무도 많다는 


특징이 있어. (2015)  








그림자금융_20130627_중앙2.jpg


중국 기업들에게 해외채무가 많은 이유는


그림자금융 때문으로 (2013) 








그림자금융_20130627_중앙.gif

(그림자 금융 : 민간부채 - 은행대출의 갭으로 추정) 


은행 대출을 받기 까다로운 민간 기업들이


그림자금융을 통해 외채를 진 것이야. (2013) 








기업이익_20150930_조선.jpg

중국의 이런 상황 때문에 중국 경제가 침체되고 


중국 기업의 수익성이 부실해지자 (2015. 증감률) 







자본유출_뉴스토마토.jpg 


중국에서 많은 자본유출이 


발생할 수 있게 된 것이었어. (2016)







현대경제연구원-2.JPG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중국의 민간부채는 


위험수준으로 평가받고 있고 (2016)








위기역사_20140210_중앙.jpg


자본유출과 통화가치 추락현상도 


발생하고 있어서 (2014) 








china_bubble-large_trans.jpg


중국에서 부채위기가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형편이야. 








부실채권_20160612_한경.jpg

다만 중국의 공식 부실채권비율(NPL)은


꽤 양호해서 괜찮을지도 모르겠는데 (2016)








부실대출IMF.JPG

이 부실채권 규모에 대해 IMF조차


의문을 표하고 있어서 잘 모르겠어. ㅎㅎ (2016) 









운지역사_20160312_woc996_2.jpg

뭐 어쨌든 중국의 민간부채 비율이 


과거 역사 속의 붕괴 수준과 비슷하게 되었는데 (2015)








민스키_20160422_조선.jpg


높은 부채비율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참 좋겠어. ㅎㅎ 








3. 중국의 위험성 요약


1) 중국은 부채 급증, 부동산 집중, 비은행 대출이란 문제가 있음. 


2) 덤으로 신흥국 국가 중에서 기업의 해외채무가 가장 많은 편임. 


3) 중국 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은 양호한 편인데, 장부조작 의혹이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366379935








3줄 요약


1. 중국은 부동산과 생산설비에 과잉투자를 해서 낭비된 돈이 많음. 


2. 중국의 민간부채 비율이 꽤 높아서 부채 위기 가능성이 있다고 함. 


3. 비은행 대출, 기업의 대외채무 등의 취약 요인도 꽤 있는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