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Z86W6

장마2.jpg


안녕~ 오늘은 장마에 대해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장마전선


2. 기상이변


3. 우리나라 대책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장마전선


장마전선_20160629_한국일보.jpg


장마란 여름철에 비가 계속 내리는 현상을 


의미하는 말로 (2016)








장마_zum백과.jpg


오호츠크해 기단의 찬 공기와 


북태평양 기단의 따뜻한 공기의 충돌로


6,7월에 비구름이 많이 생기고 






L20090717_연합.jpg


그 비구름이 뚜렷한 전선으로 보이기 때문에


장마전선이란 말도 많이 쓰고 있어. (2009)








장마일수_20110621_국민.jpg


장마는 거의 한달 내내 내리는 비라


우리에게 매우 지겨운 일이지만 (2011)








강수량_zum학습백과.jpg

(출처 : zum 학습백과)


우리나라의 강수량이 6~8월에 집중되는지라


이때 비가 오지 않으면 








이상기후_MBC.jpg


물 부족이 발생할 수도 있어서 


귀찮지만 상당히 소중한 존재야. ㅎㅎ








엘니뇨_20140702_조선.jpg


실제로 장마전선이 많이 북상하지 못했던


2014년, 2015년에는 (2014)








가뭄_20150317_중앙.jpg


우리나라의 중부지방에 


가뭄이 매우 심각하게 발생해서 








홍수와가뭄_20150624_한국일보.jpg


장마전선은 홍수도 가뭄도 아니게


딱 적절하게 내려주는게 


우리나라에게 매우 좋은 일이라고 해.








1. 장마전선 요약


1) 장마는 여름철에 비가 계속 내리는 현상을 뜻하는 말임. 


2) 오호츠크해의 찬공기와 북태평양의 더운 공기가 만나서 생김. 


3) 장마철 강수량이 우리나라 수자원의 핵심이라 매우 중요함. 








2. 기상이변 


한반도가뭄주기.jpg


요즘이 한반도 대가뭄 주기여서 그런 것인지 








엘니뇨_20140702_조선.jpg


아니면 엘니뇨 현상 때문인지 


작년과 재작년에 가뭄이 몹시 심했었어. (2014) 








20160607_중앙3.JPG


장마철에 비가 적절하게 내려주지 못하니깐 (2016)








장마기간_201607_중앙2.JPG

장마철 강수량이 턱없이 줄어들었고 (2016)








가뭄.jpg


이것은 심각한 가뭄 현상과








소양호_20150619_동아.jpg


수자원 부족 현상으로 이어져서 


작년과 재작년에 우리나라가 큰 고생을 한 편이야. 








농작물피해우려.jpg


농업용수 부족으로 농작물 피해가 우려되었고 








수자원비상.jpg


강원도 쪽에는 생활용수까지 부족해서


식수 비상까지 걸렸었다고 해. ㄷㄷ (2015) 








엘니뇨효과.jpg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이런 일들은 


세계적인 기상이변 중 하나로 








미국_20140207_조선.jpg


미국 남서부 지역에서는


수년간 극심한 가뭄을 겪는 중이고 (2014)








20160606_조선.jpg


유럽은 작년에 대홍수를 겪었었어. (2016) 








2. 기상이변 요약


1) 엘니뇨 현상으로 장마전선이 잘 북상하지 못했음. 


2) 그래서 작년과 재작년에 가뭄이 매우 심각하게 발생했음. 


3) 엘니뇨로 인한 기상이변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함. 








3. 우리나라 대책 


엘니뇨약화.JPG

올해는 엘니뇨가 약화되고 


라니냐로 전환되어서 (2016)








올해예상_20160617_조선.jpg

작년보다는 강수량이 좋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종종 나오고 있어. (2016) 








저수지.jpg


그렇게 되면 물부족 현상에 시달리고 있는 


저수지에 물이 많이 차서 








가뭄4대강.jpg

(이러고 틀리면 또 펠레일듯. ㅋㅋ) 


올해는 가뭄 걱정이 없을 것 같아. ㅎㅎ







전세계_zum학습백과.jpg

(출처 : zum 학습백과)


뭐 어쨌든 전세계 자연재해의 98%는 


비와 관련되어 있어서 








수해피해_20110720.jpg

물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해. (2011) 








20091130_동아.jpg


그래서인지 우리나라의 역대 정권들은 


수자원 관리에 많은 돈을 투자했었고 (2013)







4대강사업_20151128_동아.jpg

이명박 정부 때는 4대강 사업으로 


대대적인 토목공사를 해서 (2015)








4대강보_20151119_동아.jpg


홍수와 가뭄에 대응할만한


넉넉한 저수량을 확보했어. (2015) 








4대강효과_20111226.jpg


그덕분에 이명박 정부 때부터 


홍수 피해가 많이 줄어들었고 (2011)








쌀_20151124_동아.jpg


작년과 재작년에 가뭄이 심각했는데도


쌀 생산량이 건실했다고 해. ㅎㅎ (2015) 








추가필요성_20150617_경향.jpg


다만 4대강과 물부족 지역을 연결하는


수로시설이 많이 부족해서 (2015) 








수로공사_20151113_조선.jpg


도수로 공사를 많이 할 필요성이 있고 (2015) 








가뭄대책_20151201_세계.jpg

정부에서 물 관리를 위한 


여러 대책들을 시행하는 중이야. (2015) 








강수량_20160622_YTN.jpg


올해 장마는 중부지방에도 


비를 적당히 뿌려주었으면 좋겠고 (2016)








침수피해.jpg


홍수나 가뭄 같은 피해는 없었으면 참 좋겠어. ㅎㅎ 








3. 우리나라 대책 요약


1) 올해는 엘니뇨가 약화되어서 강수량이 많을 것이라고 함. 


2) 어쨌든 기상이변에 대비해서 수자원 관리를 잘 해야함. 


3) 4대강 사업으로 홍수와 가뭄에 대비할 넉넉한 저수량을 확보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285591503








3줄 요약


1. 장마가 적으면 가뭄, 많으면 홍수라 장마가 적당히 오는게 좋음. 


2. 엘니뇨로 작년에 가뭄이 심했는데, 올해는 엘니뇨가 약화되었다고 함. 


3. 역대 정부에서 수자원 관리에 많이 투자해서 피해가 많이 줄어들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