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P4Y5y

brexit-GBP-exchange-rates.jpg


안녕~ 오늘은 브렉시트로 한번 더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브렉시트 소개


2. 브렉시트 이유


3. 브렉시트 가능성 


4. 브렉시트 경제적 파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브렉시트 소개


20160223_연합.jpg


브렉시트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의미하는 말로 








htm_20160321_중앙.jpg


유럽 28개 회원국을 거느리고 (2016)








20141102_세계일보.jpg


미국, 중국과 함께 세계 3대 경제권인 


유럽연합에서 (2014) 







gdp순위.jpg


세계에서 5번째로 큰 경제대국이며 (2015)







19_chart-bii-relative-strength-uk-eu.jpg


유럽연합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영국이 








20160603_동아.jpg


유럽연합이 싫다고 나가겠다고 


땡깡부리는 일이라고 해. 








maxresdefault.jpg


이게 농담이였으면 참 좋겠지만 


국민투표로 까지 진행되었고 (2015)








20160614_이투데이.jpg


최근 여론조사에서 


브렉시트 찬성이 더 높게 나와서 (2016)








brexit-wonkhe-medium-900x506.jpg


영국이 정말로 탈퇴하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이야. 








20160606_중앙.JPG


이 문제는 세계 금융에 단기간이라 해도 


큰 충격을 줄 수 있어서 (2016)








2560.jpg


세계 각국이 큰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어. 








1. 브렉시트 소개 요약


1) 브렉시트는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의미함. 


2) 영국은 세계 5위의 경제대국이고 유럽연합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 


3) 국민투표로 진행되었고 탈퇴 찬성이 높아서 매우 놀랍게 되었음. 








2. 브렉시트 근본적인 이유


20160221_서울경제.jpg


2016년 2월에 합의된 브렉시트 저지안을 보면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유가 보이는데 (2016)








영국이익1.JPG


그것은 이민자 억제, 자주권 보장 등으로 


생각되는 편이야. (2016)







1-20160519_서울경제.jpg


영국은 유럽연합 회원국이라 


유럽연합 회원국의 이민을 받아줘야 하는데 (2016)








2-20120718_중앙.jpg


영국 내에 이민자 수가 상당히 많아서 


이미 수백만명에 달하는 수준이고 (2012)








3-런던시장.JPG


수도 런던의 시장으로 


무슬림 신자가 뽑힐 정도여서 








4-20140211_국민.jpg


영국의 경우, 이민 환영보다


이민 억제가 필요한 시점이야. 








5-20160203_머니투데이.jpg


또한 영국은 출생률이 매우 좋아서


고령화를 딱히 걱정할 필요가 없고 








6-출생자.jpeg


출생자 상당수가 무슬림 신자의 자녀들이라 








9-20160222_서울경제.jpg 


이민자가 더 많이 유입되면 


영국의 정체성이 훼손될 수준이라고 해. 








8-Asylum_Europe_Infographic.jpg


그래서 영국은 EU 난민 쿼터가 상당히 낮음에도 불구하고 


이민자 받기를 꺼려하고 있고 (2014)








7-탈퇴측생각.jpg 


EU 내의 합법적인 이민까지 거부하려고 하고 있어. 








2. 브렉시트 이유 요약


1) 브렉시트의 근본적인 이유는 이민자 유입 반대, 자주권 보호임. 


2) 영국은 런던 시장으로 무슬림이 뽑힐 정도로 이민자가 많음. 


3) 이민자가 더 많이 유입되면 국가 정체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함. 








3. 브렉시트 가능성


10-20101117_동아.jpg


이민자 대량유입으로 이민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2010)








11_20110419_국민.jpg


이민에 대해 부정적인 발언을 하는 


정치인들도 생겨나서 (2011)








brexit-GBP-exchange-rates.jpg


이번에 브렉시트 문제로 까지 번지게 된 것이야. 








12_20160521_서울신문.jpg


브렉시트는 세계 주요 정상들이 반대하고 있으며 (2016)








13_20160305_조선.jpg


유럽의 여러나라들도 크게 우려하고 있어서 


안하는게 좋다고 생각되는데 (2016) 








14_20160527_중앙2.jpg


무모한 영국 정치인들과 (2016)








Ck5cCzZWEAA6nle.jpg

(타블로이드 신문 : 보통 신문의 1/2 정도 크기의 소형신문.)


타블로이드 언론들이 브렉시트에 찬성하고 있고 








16_20160308_서울경제.jpg


브렉시트를 해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국민들을 선동하고 있어. (2016)








15_20160312_BRC692.jpg

영국인들은 그리스인 다음으로


유럽연합에 대한 회의적인 정서가 강하고 








17_20160612_서울경제.jpg


투표율이 높은 중장년층에서


브렉시트 찬성이 많아서 (2016)








9-20160222_서울경제.jpg

(도박사들은 브렉시트 반대를 점치고 있음.)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정말로 가능할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해. ㄷㄷ (2016)








3. 브렉시트 가능성 요약


1) 이민자 유입으로 반이민 정서, 극우가 확산되고 있음. 


2) 무모한 정치인들과 언론들이 브렉시트를 선전하고 있음. 


3) 영국은 유럽연합에 반감이 많고 투표율이 높은 중장년층이 탈퇴측임. 








4. 브렉시트 경제적 파장


19_chart-bii-relative-strength-uk-eu.jpg


영국은 유럽연합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20_20160223_국민일보.jpg


유럽연합과 교역을 꽤 많이 해서 (2016)








21_20160527_중앙.jpg


유럽연합과 분리된다면 


영국에게도 경제적 손실이 클 전망이야. (2016)








22_20160216_서울경제.jpg


하지만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최소 2년 후에 있을 일이라 당장은 큰 일이 아니고 (2016)






23-1x-1.jpg

브렉시트로 우려되는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연쇄 탈퇴도 미지수라 








20_20160223_국민일보.jpg

(탈퇴 유예기간 안에 필요한 무역협정을 완료한다면.)


브렉시트로 인해 엄청난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지는 장담할 수 없어. (2016)








24_20160520_연합.jpg

하지만 브렉시트가 진짜로 성사되면


세계 금융에 단기적으로 큰 충격이 생길 수 있어서 (2016)








25_20160613_동아.jpg


우리나라가 영국과 무역을 많이 안 한다고 해도 (2016)








26_20160612_서울신문.jpg


브렉시트는 충분히 우려할 필요가 있는 일이야. (2016)







26_20160613_매경.jpg


실제로 브렉시트 우려 때문에


최근 세계 금융이 큰폭으로 출렁였으며 (2016)








27_20160614_이투데이2.jpg


우리나라 증시에서도 


외국자본의 이탈이 발생하는 중이라 (2016)








britain.jpg


영국과 유럽이 사이 좋게 지네고 


브렉시트를 안 했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브렉시트 경제적 파장 요약


1) 국민투표로 브렉시트가 성사되어도 최소 2년 후에 가능함.  


2) 문제는 세계 금융의 단기 충격으로 이게 가장 우려스러움. 


3) 브렉시트는 영국의 교역을 위축시키므로 안 했으면 좋을듯함.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207387179








4줄 요약


1. 유럽연합 탈퇴 문제로 영국이 6월 23일에 국민투표를 치름. 


2. 브렉시트 찬성 여론이 살짝 높아서 세계 경제가 긴장하고 있음. 


3. 이민자 유입 반대, 국가 정체성 보호 등이 브렉시트의 핵심이유임. 


4. 브렉시트가 발생하면 세계 금융에 단기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