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Ig8O

표지.jpg


안녕~ 오늘은 기준금리 인하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최근 우리나라 경제


2. 기준금리 인하 배경


3. 금리인하 효과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최근 우리나라 경제


20160601_세계.jpg

우리나라 경제의 기둥인 수출이 


세계경제 침체로 상당히 부진해서 








20160516_매경.jpg

우리나라 경제가 전반적으로


안 좋은 상황이라고 해. 








20160603_중앙.JPG

국제유가 하락에 의한 유류비 절감으로


국민총소득이 증가추세이지만 








20160602_KBS.jpg


수출 산업의 부진 때문인지 


민간소비 증가율이 영~ 부진하고 








20160602_뉴스1.jpg

설비투자 증가율은 아주 안 좋은 편이야. 









20160601_서울경제2.jpg

상황이 이렇다 보니 물가 상승률도 저조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종종 나오고 있고  








20160530_뉴시스.jpg

경기전망지수가 기준치를 


1년 이상 밑돌고 있으며 









20160524_한국경제.jpg

국책연구기관에서 우리나라 경제가 안 좋다고


빼애애액!~ 경고를 할 정도였어. 








1. 최근 우리나라 경제 요약


1) 세계경제 부진으로 수출 증가율이 1년 이상 마이너스임. 


2) 산업 부진으로 민간소비가 부진하고 물가상승률이 낮은 편임. 


3) 설비투자 증가율이 많이 안 좋고 경기전망지수도 나쁜 편임. 








2. 기준금리 인하 배경


20160609_한국경제.jpg


우리나라 경제가 여러모로 안 좋아서 


경기부양을 할 필요성이 있었고 








구조조정리스크.jpg


조선업, 해운업 구조조정으로 


우리나라 경제에 큰 부담이 생겨서 








20160529_서울경제.jpg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이 


충분했다고 생각해. (짤은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20160510_뉴스핌.jpg

이런 이유로 많은 경제전문가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했었고 








20160511_국민일보.JPG


채권시장도 금리인하에 걸맞게 반응해서 








20160609_한경.jpg


한국은행이 1년만에 기준금리를 


1.25%로 인하하게 되었어. 








2. 기준금리 인하 배경 요약


1) 저성장 고착화 우려, 기업 구조조정으로 필요성이 있었음.


2) 많은 경제전문가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했다고 함. 


3) 채권시장에서 장단기 금리 역전현상이 발생해서 금리를 인하함.








3. 금리인하 효과


금리효과.jpg

기준금리 인하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강력한 통화정책으로 








금리효과3.jpg

주요 효과는 자산가격 상승과 대출이자 감소로


소비와 투자를 활성화하는데 있다고 해. 








20160609_서울경제2.jpg

기준금리 인하로 가장 효과를 많이 보는 곳은


부동산 시장으로 








maxresdefault.jpg


부동산 투자 증가는 과거 사례를 통해 


확실히 있는 편이야. 








20160525_동아.jpg

예상대로면 부진한 수출 대신 


소비와 건설투자가 경제를 견인할 텐데 








금리효과2.jpg


금리인하의 부정적인 효과와 








20160609_한국일보.jpg

(1200조 ㄷㄷ) 


이미 지나치게 많은 가계부채 때문에 








maxresdefault (1).jpg


금리인하에 회의적인 시각도 


조금 있는 편이라고 해. 









시나리오.jpg


이것은 금리인하가 부채 증가를 통해


소비 위축을 만든다는 시각으로 








20160609_뉴스1.jpg

과거에 4차례나 기준금리를


인하를 한 것치고 








필요성.jpg


경제성장이 썩 좋지 못해서


나름 타당성이 있는 편이야. 








20160608_ 국민일보.jpg

하지만 운지한 설비투자를 되살리고 








20160531_세계.jpg

대내외 악재에 대항하기 위해서라도


기준금리 인하는 나름 필요한 것 같아. ㅎㅎ








20160526_매경.jpg

또 미국 경제에 안 좋은 지표가 


최근 자주 나오고 있어서 








20160526_이투데이.jpg

(이러고 또 틀리면 나 레알 펠레일듯...)


미국이 6월 금리인상을 안 할 수도 있다고 하니 








미국금리인상우려.jpg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유출을


당장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고 









20160610_이투데이.jpg


오히려 하반기에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하가 있을 수도 있다고 해. ㅎㅎ








3. 금리인하 효과 요약


1) 금리인하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치며 소비와 투자를 촉진한다고 함. 


2) 부동산 과열과 가계부채 증가의 부작용도 있는 편임. 


3) 대내외 악재에 대항하기 위한 경기부양책 중 하나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165257002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수출과 설비투자가 많이 안 좋음. 저성장이 우려됨.


2. 기업 구조조정 문제도 겹쳐서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가 인하되었음. 


3. 금리인하는 소비와 투자를 활성화하는 장점과 부채 증가의 부작용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