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QH8mq
안녕~ 오늘은 국제유가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작년 국제유가 하락
2. 국제유가 최근 상승
3. 국제유가 등락 가능성
4. 우리나라 득실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작년 국제유가 하락
100달러 선을 유지하던 국제유가가
작년에 갑자기 운지하면서 (2015)
산유국들이 큰 위기를 겪어야만 했고 (2015)
신흥국 경제위기 가능성 등으로
국제유가는 전세계적인 관심거리가 되었어.
국제유가가 작년에 큰 폭으로 운지한 이유는
미국의 셰일혁명 때문으로 (2012)

셰일혁명 덕분에 미국의 원유생산량이
2배 정도 증가하면서 (2015)
원유 시장에 공급과잉이 크게 발생했고
이게 재고 증가로 이어져
국제유가가 떨어지게 된 것이야. (2015)
그리고 전세계 석유의 20% 이상을
소비하는 미국(US)에 (2009)
원유 재고(Inventories)가 엄청나게
많이 증가하면서 (2016)
국제유가 추가하락에 대한 공포가
상당히 컸었어.
1. 작년 국제유가 하락 요약
1) 작년에 국제유가가 절반 이상 크게 폭락했음.
2) 산유국 위기 등으로 국제유가 변동에 이목이 집중되었음.
3) 국제유가 폭락은 미국 셰일혁명에 따른 공급과잉 때문임.
2. 국제유가 최근 상승
국제유가가 올초에 30달러 선 이하로
하락하자 (2016.01)
세계 금융기관들에서 국제유가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많이 나왔다고 해. (2016.01)
하지만 국제유가는 저점을 찍고 크게 반등해서
50달러 선을 돌파한 상태로 (2016.06)
국제유가가 앞으로 어떻게 움직일지
매우 흥미롭게 된 상황이야. (2015)
최근 국제유가 상승 이유는
미국의 원유생산량 감소로 (2016.02)
전세계 석유시장에서 공급보다 수요가 더 많아져서
재고가 줄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 (2016. 전망)
그리고 미국의 원유생산량이 갑자기 줄어든 이유는
중동 산유국과의 치킨게임으로
미국 석유업계의 수익성이
매우 낮아지면서 (2015. 짤은 주가)
미국 에너지기업들의 파산이 크게 증가했고 (2016)
미국의 시추공(oil Rig) 수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야. (2016)
2. 국제유가 최근 상승 요약
1) 국제유가는 올초 20달러 선까지 내려갔다가 최근 50달러 선을 회복함.
2) 국제유가 상승 이유는 공급과잉 완화로 재고가 감소해서 그런 것임.
3) 미국 에너지 기업들의 파산으로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음.
3. 국제유가 등락 가능성
미국의 원유생산은
소폭 감소하고 있으며 (2016)
미국의 원유재고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어. (2016.06)
이 추세대로면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국제유가가 상승해야 하는데 (2016.전망)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도 늘어날 전망이라
국제유가가 상승추세라고
장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해. (2014)

또 전세계 석유의 12%, 석탄(Coal)의 50% 이상을
소비하는 중국 경제에 (2015)
(중국의 전력소비 증가율)
운지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어서
이게 엄청난 변수 요인이고 (2015)
(국제유가는 달러로 거래됨. 최근 달러 가치가 하락함.)
달러화의 가치에 따라
국제유가가 크게 변동하는지라 (2016)
미국의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국제유가에 큰 변수요인이야. (2016)
물론 미국의 고용증가가 최근 안 좋아서
6월 금리인상을 안할거라는 말이 매우 많은데 (2016)
뭐 어쨌든 장기적으로 볼 때 미국의 금리인상은
국제유가에 큰 변수요인이라고 생각해. (2015)
3. 국제유가 등락 가능성 요약
1) 미국의 원유생산 감소, 재고 감소로 국제유가가 상승할 수 있음.
2)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미국의 원유 채굴이 다시 증가할 수 있음.
3) 중국 경기둔화, 미국 금리인상 등의 거대한 변수도 있음.
4. 우리나라 득실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우리나라는 전체 수입의 30% 이상을
에너지 수입에 쓰는 나라라 (2014)
국제유가 하락은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입비용 감소로 이어져
국가 경제에 소득, 소비 증가 등으로
도움이 되는 편이야.
하지만 우리나라가 해외 건설, 석유 플랜트 등
산유국과 밀접한 산업을 많이 하고 (2015)
원자재 가격하락에 취약한 신흥국에
상품 수출을 많이 해서
유가하락을 마냥 좋아하기는 힘들다고 해.
따라서 최근 저유가 국면에 대한
우리나라의 득실은 애매한 편이고 (2016)
우리나라는 국제유가 변동에 이리저리
휘둘리는 모습을 많이 보이고 있어. (2016)
다만 미국이 셰일혁명으로
사우디 아메리카가 되면서
미국(US)의 원유생산이
전세계 석유시장의 균형추 역할을 할 것이라
국제유가는 큰 변동을 하지 않고
안정될 것으로 기대되는 편이야. ㅎㅎ
4. 우리나라 득실 요약
1)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을 많이 하는 나라라 저유가에 이득을 봄.
2) 다만 우리나라가 산유국, 신흥국 경제와 관련성이 높아서 피해도 많음.
3) 우리나라는 국제유가 변동에 이리저리 휘둘리는 모습을 많이 보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7921670717
3줄 요약
1. 국제유가가 최근 50달러 선을 돌파함. 상승추세임.
2. 이유는 미국의 원유생산 감소로 전세계의 원유 재고가 감소했기 때문임.
3. 변수요인이 많아서 국제유가가 계속 상승할지는 미지수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