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5oPnj


해운업.JPG


안녕~ 오늘은 해운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의 해운업 상황


2. 해운업 위기 이유


3. 해운업 구조조정-1


4. 해운업 구조조정-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의 해운업 상황


해운.jpg


해운업이란 해상 운송수단으로 


사람과 재화를 운반하는 일로 






해운산업.JPG

여객운송, 화물운송, 선박대여 등 


여러가지 일이 있다고 해. 








무역순위.jpg

우리나라(South Korea)는 


세계 6위의 무역강국으로 (2014)








우리나라수출액.jpg


무역을 많이 하다보니 (2008)








선복량_20150518_동아.jpg


자연스럽게 해운업에서도 


상당히 강한 편인데 (선복량 세계 5위. 2014)








해운매출액_20151125_경향.jpg


해운업이 수년 간 매우 침체되어서 


상당히 어려운 형편이야. (2015)







해운사순위.JPG


우리나라 해운업 1,2위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2010)








부채비율_20160421_파이넨셜.jpg


부채비율이 터무니없는 수준이고 (2016)









영업이익_20160418_매경2.jpg


수년 동안 어마어마한 적자에 


허덕이고 있었어. (2016)







1. 우리나라의 해운업 상황 요약


1) 해운업은 배로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일임. 


2)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무역강국이라 해운업도 많이 함. 


3) 해운업이 매우 부진해서 해운사들이 운지 직전임. 







2. 해운업 위기 이유


용선료_20160424_매경.jpg

(용선료: 배를 빌리는 요금.)


해운업 운지의 가장 큰 이유는 


높은 용선료 문제로 (2016)








비중_20160424_한경2.jpg


두 해운사에 매출액 대비 용선료 비중


상당히 높은 편이야. (2016)








이유_20160424_매경2.jpg


왜 이렇게 되었냐면 IMF 경제위기 때 


정부가 정해준 부채비율을 맞추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배를 많이 팔아서  (2016)








비중_20160424_한경2.jpg


빌려서 운용하는 선박 수가 워낙 많았고 (2016)








발틱운지_20151031.jpg

(발틱운임지수 : 원자재를 운반하는 벌크선의 시황지수)


2008년 경제위기 전에 비싼 용선료로 


장기계약을 해서 그렇다고 해. (2015)








조선.JPG


뭐 배를 건조하는데 2년 이상 걸려서 


호황일 때는 임대하는게 보통이겠지만 








발틱운지_20151031.jpg 

2008년 이전에 장기계약으로 체결했으면


어마어마한 손해였을 것 같아. (2015) 








운임_20160201_조선.jpg

(운임: 운송에 대한 대가로 받는 보수.)


배 운임이 엄청나게 떨어지고 있는데 (2016)








용선료_20160418_KBS.jpg

용선료는 그렇게 많이 안 줄어들었으니


해운사가 견딜 수 없다고 생각해. (2016. 현대상선)








2. 해운업 위기 이유 요약


1) 해운사에 용선 비중이 상당히 높고 용선료 부담이 매우 큼. 


2) IMF 때 부채비율을 맞추느냐고 배를 많이 팔았다고 함. 


3) 호황일 때 장기계약으로 배를 빌렸다고 함. 재앙의 근원. 








3. 해운업 구조조정-1 


자구책_동아.jpg


해운업이 망할 조짐을 보이자 


두 회사 모두 뼈를 깍는 노력을 해서 (2015. 현대상선)








한진노력_20160421_동아.jpg


회사를 살려보려고 노력 중인데 (2016. 한진해운)








발틱운임지수_20160126.jpg


발틱운임지수가 2008년 경제위기 때보다


더 떨어지고 (2016.01)








China-Shanghai-Containerized-Freight-index-2016-03-11.jpg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도 운지해서 


상황이 매우 어려운 편이야. (2916.03)








세계무역물량_20150723.jpg


운임지수가 더 떨어지는 이유는 


세계경제 불안감으로 


무역 물량(Volume)이 소폭 감소하고 (2015)








세계무역액.jpg


세계 무역액(value)이 2009년 수준으로 


떨어져서 그런거 같아. (2016)







신용등급_20160424_머니투데이.jpg


뭐 어쨌든 해운사들의 신용등급이 쭉쭉 떨어져서 


돈을 빌리는게 매우 어렵다고 해. (2016.04)








3. 해운업 구조조정-1 


1) 해운사들이 회사를 살려보려고 열심히 노력 중임. 


2) 운임 추가하락, 세계무역 침체로 상황이 더 어려워졌음.


3) 답이 없어서 정부주도의 구조조정에 들어갔음. 








4. 해운업 구조조정-2 


해운업중요성_20160406_서울경제.jpg


해운업은 국가 경제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2016)








해운동맹.jpg


두 해운사가 망해서 해운동맹에 끼지 못할 경우


우리나라 물류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 


해운업을 살릴 필요성이 있어. (2016)








해운동맹_인천항만공사블로그.jpg

(출처: 인천항만공사 공식블로그)


해운동맹이란 운임 및 운송조건에 관하여


해운업자들이 만든 공급자 카르텔로 








해운물류.jpg

(버스 회사처럼 정기선 항로를 같이 운영한다고 함.)


글로벌 해운사들끼리 공동운항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고 해. 








환적화물_20150714_이투데이.jpg


우리나라 부산항은 세계적인 물류항이고 (2016)








부산항_20150309_한경.jpg

(환적화물 : 다른 선박으로 옴겨 싣는 화물.)


환적화물 비중이 50%가 넘는 항구인데 (2015)








해운동맹_20160421_한경.jpg


우리나라가 해운동맹에서 소외되면


물류산업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말이 있어. (2016) 








시나리오_20160425_동아.jpg


그래서 정부는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합병 쪽을 선호하는데 (2016)








부채비율_20160421_파이넨셜.jpg


두 회사 모두 심하게 부실한 편이라 (2016)









은행부실_20160426_한국일보.jpg


국책은행들의 부담이 


상당히 클 것이라고 해. (2016) 








노력_20160425_매경.jpg


실적은 한진해운 쪽이 좋고 


개선노력은 현대상선이 많이 해서 


어느쪽이 경영권을 가질지 궁금하고 (2016)








문제원인20131226.jpg

(선복량 : 선박의 적재능력.)


물동량보다 크게 늘어났던 선복량이 (2013)








고철_20160117_한국경제.jpg


선박수주 감소와 폐선 증가로 


언젠가는 정상화 될 것이라 


해운업도 나중에 다시 좋아질 것이야. (2016)








중견해운사_20151118_뉴스핌.jpg

(부채가 적고 자사선 위주로 경영을 하는 경우)


또 중견 해운사들은 그럭저럭 잘 굴러가고 있어서


해운업에 희망은 있다고 생각해. (2015)








4. 해운업 구조조정-2 요약


1) 해운사가 망하면 국가경제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함.


2) 정부는 해운동맹을 생각해서 합병 쪽을 희망하고 있음. 


3) 부실규모가 커서 국책은행의 부담이 꽤 클 것으로 생각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921670717








4줄 요약


1. 해운사들이 호황기 때 비싼 가격으로 배를 빌렸다고 함. 


2. 2008년 경제위기 이후 배 운임이 엄청나게 운지했음. 


3. 문제는 장기계약으로 빌려서 손해를 볼 수 밖에 없었음. 


4. 엄청난 손실 때문에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에 들어갔음. 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