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KRghZ

중국짤.JPG


안녕~ 오늘은 중국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 경제


2. 중국 파업-1


3. 중국 파업-2


4. 최근 이상현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 경제


중국경제성장.jpg 

중국은 개방정책 이후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한 나라로 (2014)








20150314_BBC958.jpg

전세계 제조업 산출물(output)의 20%가


중국에서 생산될 정도라 (2013)








중국생산.jpg


중국은 어마어마한 경제대국이고


세계의 공장이라고 해. 








20150314_BBC042.jpg

그리고 이런 중국의 경제성장에 힘입어 


중국 노동자의 임금(wage)이 빠르게 상승했고 (2015)








중국가계소득.jpg


중산층이 많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2010)






china-econ-mobile-01.jpg

경제구조도 3차산업(Services) 중심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2015. 중국 돈 기준) 







ChinaIncome.jpg

(상위 20%, 하위 20%의 가처분소득)


다만 중국 경제에는 심각한 빈부격차 문제와 (2012)







csm_2-wirtschaft-en-2__0b325e9a38.jpg

지나치게 높은 투자(investment) 비중 등 (2013)








121119_국민일보.jpg


이상한 점도 상당히 많은 편이야. ㅎㅎ (2011)








1. 중국 경제 요약


1) 중국 경제는 15년 사이에 11배쯤 증가했음. 


2) 임금 상승, 중산층 증가 등의 좋은 점도 생기고 있음. 


3) 다만 중국 경제에는 문제점도 매우 많은 편임. 







2. 중국 파업-1


빈부격차.jpg


중국의 심각한 빈부격차 문제로 







중국문제점.jpg


중국인들의 불만이 매우 많은 편이라 (2012)








20120103_동아.jpg


중국에서 파업, 폭동, 시위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해. (2010. 추정치)








160324164526-china-labor-protest-2-super-169.jpg


하지만 중국의 경찰력이 


무지막지하게 강하고 








언론자유지수.jpg


중국의 언론 통제가 무척이나 심한 편이라 


정확히 알기 매우 어려운 형편이야. (2013)








maxresdefault.jpg


그래서 중국 관련 자료들은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잘 모르겠어. ㅎㅎ







2. 중국 파업-1


1) 중국의 빈부격차는 아프리카 수준으로 심각함. 


2) 그래서 파업, 시위, 폭동 등이 점점 증가하고 있음. 


3) 중국의 높은 언론 통제 때문에 알기 어려운 부분임. 







3. 중국 파업-2


중국수출.JPG

세계경제 침체로 중국의 수출입이 


크게 감소해서 (2016)








P1-BV749_CSTRIF_9U_20151214173009.jpg


중국의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이 위축되자


중국 노동자들의 파업(Labor strikes)이 


엄청난 속도로 증가했다고 해. (2015. 11)








CER_StrikeMap_Web.jpg


파업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은 


중국 남부의 광둥성(Guangdong)이고 (2014.11)








중국시위섹터.jpg


제조업(Manufacturing) 분야에서 


파업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 (연도모름)








2014012800848_조선.jpg

외국기업들이 중국에서 철수하고 있고


중국의 산업생산 증가율이 위축되고 있으니 


제조업 분야의 파업 증가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2014) 







중국시위섹터변화.jpg

놀랍게도 건설업(Construction) 분야의


파업 비중이 갑자기 높아진 상태야. ㄷㄷ (2015)








graph-0315-5-02.gif

(2015년 중반부터 다시 상승함.)


건설업 분야의 파업 비중 증가는


중국의 집값 하락으로 (2015.03)








China-construction.jpg


중국의 건설업(Construction)이 


팍 죽어서 그런거 같아. ㅋㅋ (2015)








3. 중국 파업-2 요약


1) 중국 경제의 위축으로 파업이 큰폭으로 증가했음. 


2) 광둥성에서 파업이 많고 제조업 분야의 파업이 많음.


3) 중국 건설업의 침체로 건설업 쪽의 파업이 많아진 것 같음. 








4. 최근 이상현상 


중국공사.jpg


중국의 건설업 노동자는 







WO-AX927A_CMIGR_9U_20150921183311.jpg

(Born before 1980 : 80년 이전 출생)


전체 노동자 중에서 비중이 상당히 크고 (2015) 








CN_WGS0610.gif 

저임금(wage)에 심하게 시달리는 분들이라 (2008)








중국시위.JPG

중국의 건설경기가 운지하면 


중국의 파업은 걷잡을 수 없이 증가하게 될 것이야. (2016.01)







구조조정.JPG

그래서 중국의 구조조정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는데 (2016)








Cbl7ccZUsAA-QnB.jpg

(5200억 달러 : 약 600조원) 


아니라 다를까, 중국 정부가 


통화정책을 엄청나게 많이 해서 (2016)








20160404101156_이투데이.jpg 


중국 상하이의 집값이


올초에 20% 넘게 상승했어. ㅋㅋ (2016.04)






중국신규건설.jpg


이렇게 강력한 집값 상승으로


중국의 건설업이 회복 반전했는데 (2016.02)








20160321_이투데이.jpg

중국의 민간부채 비율이 


버블붕괴급으로 높고 (2016)








20160321_서울경제.jpg

중국 기업의 대금결제 기간이 계속 증가하는 등


안 좋은 모습도 있어서 지켜봐야할 것 같아. (2016)








4. 최근 이상현상 요약


1) 중국의 건설업이 침체되면 대규모 폭동이 생길 수도 있음. 


2) 중국 정부가 돈 풀기로 부동산 시장을 살리고 있음.


3) 상하이 집값이 20% 상승하고 건설업이 회복 반전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772841963







3줄 요약


1. 중국의 경기침체로 파업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 


2. 중국 건설업이 침체되면 대규모 폭동이 생길 수 있음. 


3. 중국 정부가 구조조정보다 돈풀기로 경기부양 중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