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AVuiZ

1034284769.jpg


안녕~ 오늘은 러시아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러시아 소개


2. 유가하락


3. 러시아 경제운지


4. 최근 경제동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러시아 소개


러시아지도.JPG


러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북쪽에 


위치한 거대한 나라로 







러시아소개.jpg

영토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세계 1위)


인구는 1억 5천에 육박하는 큰 나라인데 (세계 9위) 







World_GDP2015.jpg

(환율변동에 따라 13~15위로 크게 차이남. )


경제규모는 우리나라보다 몇 단계 


아래에 있는 나라라고 해. ㅋㅋ (2015.10)








Winter-in-SPB-2.jpg


러시아는 겨울이 매우 춥고 








maxresdefault.jpg


도로망 같은 인프라 시설이


끔찍하게 안 좋아서 









러시아인구밀도.jpg

인구 대부분이 동유럽 쪽에 


몰려 있는 불균등한 나라지만 








Russie_strategies_silvia_it_.jpg

광활한 러시아 영토에서 


에너지 자원과 








image.jpg


각종 광물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서 








자원러시아비중.jpg


러시아는 전세계 원자재 생산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나라야. ㅎㅎ








2016020300360_조선.jpg


그리고 러시아는 국민소득 약 8천달러의 


조금 못사는 나라지만 (2016.02)








로시아군사력.jpg


전차 2만대의 엄청난 군사대국이고 (2014)








러시아.jpg


동북아 정세에 있어 중요한 나라라


무시할 수 없는 나라라고 생각해. 








1. 러시아 소개 요약


1) 국민소득 8천 달러로 좀 못 살고 GDP도 우리나라 아래임. 


2) 세계 1위의 광활한 영토에 각종 자원이 매우 풍부함.


3) 전차 2만대의 군사대국으로 무시할만한 나라는 아님. 








2. 유가하락


셰일혁명_한국일보.jpg


미국이 셰일층에서 원유와 가스를 


캐내는 신기술을 개발해서






bloomberg-russia-us-saudi-oil-output.jpg

미국(USA)의 원유생산량이 


2배 가까이 증가했고 (2015.11)








6-out-of-10-top-oil-producing-countries-are-under-serious-corruption-risk.jpg


미국이 세계 최대의 산유국이 되는


놀라운 일이 발생했었어. ㄷㄷ 








20160310_포커스뉴스.jpg


문제는 미국의 원유생산량이 역운지하자


전세계 원유시장에 공급과잉이 발생했고 (2016)








20160123_woc888_1.jpg


원유시장 공급과잉 문제로 


국제유가가 갑자기 폭락해서 (2016)








750x-1.jpg


러시아 경제에 큰 시련이 찾아오게 된거야. ㅋㅋ








러시아수출구조.jpg


러시아는 수출 대부분이 


석유와 가스 수출이고 








러시아산업.jpg


주요 산업이 석유, 가스 등의


에너지 산업에 (2011)







석유재정수입.jpg

정부 예산(budget)의 약 50%를


석유 산업에서 얻는지라 (2015)








 23417_class=


러시아는 국제유가 변동에 


매우 취약한 나라라고 할 수 있어.  








2. 유가하락 요약


1) 셰일혁명으로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역운지함. 


2) 공급과잉 문제가 발생해서 국제유가가 폭락함. 


3) 러시아 경제는 저유가에 매우 매우 취약함. 








3. 러시아 경제운지


RussianExports-Oil.jpg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러시아의 수출이 크게 운지하고 (2015) 







러시아경제성장률2.jpg


경제가 4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중인데 (2015)








러시아환율2.JPG


가장 큰 문제는 환율 변동과 


물가상승으로 







OJ-AF292_RUSSIA_9U_20160124113016.jpg


러시아의 화폐가치가 


터무니없는 수준으로 폭락해서 (2016)








Bust-boom-bust.jpg

수입물가 급상승으로 물가상승률(Consumer prices)이 


15%를 넘는 일이 발생했었어. ㄷㄷ (2015) 








실질임금.gif

엄청난 물가상승으로 러시아의 실질임금이 


10% 가까이 하락했고 (2015)








소매판매.JPG


소비도 15% 정도 감소해서 (2015. 소매판매)








BF-AK947_RUSAUT_9U_20160304180607.jpg


자동차 판매 증가율이 


마이너스 35%를 찍기도 했다고 해. ㄷㄷ (2015) 








3. 러시아 경제운지 요약


1) 러시아의 2015년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5%대임. 


2) 화폐가치가 50% 이상 폭락해서 수입물가가 크게 상승함.  


3) 살인적인 물가상승으로 소비가 엄청나게 감소했음. 








4. 최근 경제동향


0.44525300-1455600188.jpg


러시아 경제의 핵심인 국제유가가


최근 산유국들의 감산 협상으로 








20160319_동아.jpg


점점 올라가고 있는 편이야. (03.17)








유가와러시아경제.jpg

러시아 경제국제유가를 따라 움직이므로 


국제유가 상승은 러시아 경제에 매우 좋은 일이고 (2016)








russia-inflation-cpi-forecast.png

실제로 물가상승률이 


크게 하락하고 있으며 (2016.01)








CHT_R_rus_ip_9D03549B-1B01-4784-A37D-6C71D9354AD4.gif


1년 넘게 마이너스 성장한 산업생산이


2월달에 처음으로 플러스가 되었다고 해. ㅎㅎ (2016.02)









Brent-Crude-Reserves.jpg


또 러시아는 환율방어를 포기하고 


외환보유고를 지키는 방향으로 가서 (2015.12)








러시아위기구조.jpg

중국 경제운지 같은 빅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한


러시아 경제가 망하지는 않을 것 같아. ㅎㅎ 








2016012500081750600_포커스뉴스.jpg


북한을 망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러시아가 운지하는게 우리나라에게 좋은 일인데 (2015)









로시아.JPG


심각한 경제적 타격에서도 꿋꿋하게 버티는 


러시아도 참 대단하다고 생각해. ㅎㅎ 








4. 최근 경제동향 요약


1) 국제유가 상승은 러시아 경제에 좋은 일임. 


2) 러시아의 산업생산이 최근 플러스로 전환되었음.


3) 러시아의 외환보유고가 요즘 감소하지 않는 편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703531338








3줄 요약


1. 러시아는 경제의 많은 부분을 에너지 산업에 의존함. 


2. 국제유가 하락으로 러시아 경제가 크게 어려워졌음. 


3. 최근 국제유가 상승 덕분인지 러시아 경제가 조금 좋아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