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NVzG

maxresdefault.jpg 

안녕~ 오늘은 미국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미국 소개


2. 미국 금리동결


3. 미국 경제상황


4. 연준의 지표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미국 소개


미국땅.gif

미국은 아메리카 대륙에 위치한


거대한 나라로








경제규모.jpg

경제규모 세계 1위의 초강대국이고 (2014)








미국소개.jpg 

우리나라의 95배 크기에


인구 3억이 넘는 나라라고 해. (2014)








리먼브라더스.jpg 

이렇게 거대한 미국이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경제성장률.jpg 

경제가 크게 운지하는 일이 


발생했었는데 (2015)








what-to-expect-from-fed-this-week.jpg 

미국의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FED)가 








fredgraph-2.jpg 

기준금리를 제로수준으로 낮추고 (2015)








양적완화.jpg 

4천조원 규모의 어마어마한 


양적완화를 시행해서 (2014)








헬리콥터벤.jpg 

미국의 경제회복을 만들었어. ㅎㅎ 







1. 미국 소개 요약


1) 미국은 인구 3억이 넘고 세계 1위의 경제대국임. 


2)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경제위기를 겪었음. 


3) 4천조원 규모의 양적완화와 금리인하로 경제회복을 달성함. 







2. 미국 금리동결


연준기준금리.jpg 

미국 경제가 많이 회복하자


연준은 금리인상을 추진하기 시작했는데








과잉유동성.jpg 

(2005년 대비 증가율.) 


금리인상 이유는 경제회복을 위해 푼 과잉유동성이 


호황과 만나면 새로운 버블이 탄생할 수 있고 (2012)








금리와성장률.jpg

금리와 경제성장률을 비슷하게 맞춰주는게 


경제에 좋기 때문이라고 해. (2015)








20160317_포커스뉴스.jpg 

이런 이유로 작년 12월달에 


연준이 한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했는데 (2016)








20160317_이투데이.gif 

이번 3월에는 세계경제 불안감 등 


여러가지 이유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어. ㅋㅋ







달러와외환위기.jpg 

미국이 금리인상을 할때 


전세계에 외환위기가 여러번 발생했고 (2014)








20150701_국민일보.jpg 

우리나라의 1200조원 


가계부채를 생각하면








금리격차.jpg 

미국의 금리동결은 정말로 좋은 일인데 








CFO_HomepageImage_%_1668X1158px.jpg 

미국 연준이 금리를 동결한 이유가 무엇이고


최근 미국 경제가 어떠한지 알아볼 생각이야. 








2. 미국 금리동결 요약


1) 미국은 과잉유동성 정리 차원에서 금리인상을 할 필요성이 있음. 


2) 작년 12월에 금리인상을 하고 올 3월에는 금리인상을 보류함. 


3) 기준금리 동결 이유로는 세계경제 불안감 등이라고 함. 








3. 미국 경제지표


01-gdp-breakdown.jpg 

미국 경제의 가장 큰 축인 


개인소비지출(Consumption)은 








개인소비지출.jpg 

원만하게 상승 중으로 


소비가 나쁘지 않아서 (2015. 증가율)








미국소매판매.jpg 

소매판매(Retail sales)가 경제위기 전 


수준을 넘어섰고 (2015. 액수)








자동차판매.jpg 

자동차 판매도 경제위기 전 


수준으로 회복했어. ㅎㅎ (2014)








실업률.jpg 

또 경제위기로 올라갔던 실업률(Unemployment)이 


5% 수준으로 꽤 많이 하락했고 (2015)








주택판매2.jpg 

신규주택 건설이 회복세이며 (2015)








가계부채_20160115.jpg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괜찮은 수준으로 바뀌어서 


미국 경제가 좋아졌다고 생각하는 편이야. (2016)








SOTUblog-03.jpg 

다만 최근의 임금(Payrolls) 상승률이 


과거에 비해 많이 저조한 편이고 (2016)








미국중국.gif 

(ISM : ISM 제조업지수)


중국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미국의 최근 경기지표가 조금 안 좋고 (2016)









미국철도물동량.jpg 

(미국도 원자재 수출을 좀 해서 그런듯?)


철도물류량이 꽤 많이 하락했다고 해.  (2016)









재고-판매비율.jpg 

그밖에 판매 대비 재고 비율이 


이상하게 증가세이고 (2015)








금융환경지수.jpg 

금융상황지수(Financial conditions index)


하락추세라 조금 애매모호한 상황이야. ㅎㅎ (2015)








3. 미국 경제상황 요약


1) 미국 경제의 주축인 개인소비지출은 완만히 회복세임. 


2) 중국 경기침체 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일부 지표가 안 좋음. 


3) 임금 상승률이 과거에 비해서 조금 미흡한 편임. 








4. 연준의 지표


소비지출.JPG

델러스 지방 연방준비은행의 


최근 자료를 찾아 봤는데 (개인소비지출) 








개인소득.JPG

3년 평균과 최근 통계를 


비교하는 모습이었어. (개인소득)








산업생산.JPG

미국의 산업생산은 최근 


마이너스 성장이 자주 있었고 (산업생산)








소매판매.JPG 

소매판매의 최근 증가율도 


과거에 비해 조금 별로라 그런지 (소매판매)








소비자물가월간.JPG 

소비자물가지수도  


조금 미흡한 모습을 보이는 중이야. (소비자물가)







미국수출입.JPG 

또 미국의 수출입이 최근 저조하고 (수출입)








공장가동률.JPG

설비가동률 회복이 정체된 상태여서


금리인상을 보류할만 했다고 생각해. ㅎㅎ








20150711_CNC006.jpg 

하지만 미국(US)의 출산율이 매우 양호해서 (2013)








20141122_FNC300.jpg 

미국은 유럽일본중국과 다르게 


인구구조적 하강 현상이 없을 것이고 (2014)

 







20160206_FNC305.jpg 

가처분소득과 저축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나라라 


경제에 큰 문제가 없는 것 같아. ㅎㅎ (2015)








물가.jpg

이런 이유로 목표치를 하회하고 있는


물가상승률도 언젠간 회복될 수 있는지라 (2016)








20151217_동아.jpg 

우리나라도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비해야 하는데 


인상 속도가 완만해서 큰 걱정 없을 것이야. ㅎㅎ








4. 연준의 지표 요약


1) 소비자물가 지표가 연준의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함.


2) 산업생산 증가율, 수출, 설비가동률 등이 조금 미흡함. 


3) 물가상승률이 2016년 말쯤에 목표치를 달성할거라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703531338








3줄 요약


1. 미국의 올 3월 금리인상은 세계경제 불안감으로 보류되었음. 


2. 미국의 경제회복이 완전한 단계가 조금 아닌듯함. 


3.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는 올해 매우 완만할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