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ORR9y

안녕~ 오늘은 중국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원자재 가격하락
2. 중국 원자재 수요
3. 중국 경제와 원자재
4. 세계경제 영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원자재 가격하락

글로벌 원자재 가격지수는
블룸버그 자료든 (2015)

골드만 삭스 자료든
조사기관에 상관없이 (2015)
팍 운지한 상태로 (2016)
(2014년 9월과 2015년 9월 사이 증감율)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어마어마한 하락률을 보여주었어. ㄷㄷ (2015)

(Aluminium : 알류미늄, Nickel : 니켈, Zinc : 아연, Copper : 구리, Iron ore : 철광석)
각종 금속 중에서 철광석의 가격하락이
특히 두드러졌고 (2015)

(Wheat : 밀, Maize : 옥수수, Soybeans : 대두, Rice : 쌀)
곡물도 금속 만큼은 아니지만
제법 많이 떨어졌는데 (2015)

가장 많이 떨어진 것은 뭐니뭐니 해도
석유, 석탄 등의 에너지 자원이라고 해. ㅋㅋ (2016)
석유의 경우 과거에 비해 50% 이상
가격이 하락했고 (2015)
석탄 가격도 2011년에 비해서
엄청나게 하락했으며 (2016)
천연가스 가격도
상당히 많이 하락한 편이야. (2015)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이유로는
미국의 셰일혁명으로 (2011)

미국의 원유생산량이 2배 정도 증가해서
전세계 원유시장에 공급과잉이 찾아온 것도 있고 (2015)
달러화 강세로 달러로 계산되는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점도 있는데 (2015)
오늘은 중국 경제와 연관지어서
원자재 시장에 대해 쓰려고 해. ㅎㅎ
1. 원자재 가격하락 요약
1) 원자재 가격은 각종 지표를 통해 봐도 크게 하락했음.
2) 에너지 자원이 가장 크게 하락하고 식량 자원은 소폭 하락했음.
3) 에너지 자원 가격하락은 미국의 셰일혁명 탓이 가장 큼.
2. 중국 원자재 수요
중국은 우리나라 옆에 있는 큰 나라로 (에너지 자원)
인구 13억명 이상으로
인구가 엄청나게 많으며 (2014. CIA)
경제규모도 미국 다음으로
어마어마하게 큰 나라야. (2014)
중국이 정말로 놀라운 점은
경제와 인구수보다 훨씬 많은 자원 소비로

각종 자원에 대한 중국의 소비비중이 매우 커서
중국이 에너지 시장의 큰 손이라고 할 수 있어.

또 중국의 에너지 소비총량은
미국을 뛰어넘었고 (2012)

에너지 소비량의 70%가
석탄(Coal)이라
중국(China)의 석탄 소비량이
터무니없을 정도로 많으며 (2012)
이산화탄소(CO2) 배출도
중국이 세계 최대라고 해. ㄷㄷ (2012)
그래서 이런 중국 때문에
우리나라의 공기가 매우 안 좋은 편이야.
2. 중국 원자재 수요 요약
1) 중국은 인구 1위, 경제력 2위의 강대국임.
2) 경제규모, 인구수에 비해 자원소비가 상당히 많음.
3) 중국의 에너지 소비총량은 미국을 뛰어넘음.
3. 중국 경기와 원자재

중국(China) 경제가 급성장하면서 (2013)
(Iron Ore : 철광석, Copper : 구리, Coal : 석탄)
중국의 자원소비도 엄청나게 증가했는데 (2012)
최근 중국의 부동산 시장(Real Estate)이
위축되고 (2015. 증가율)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이
위축되면서 (2015. 증가율)
중국의 자원수입이 크게 감소해서 (2015. 석탄)

원자재 가격이 쭉쭉 하락하고 있어. (2015)

석유(Oil)나 곡물(Wheat) 자원은
중국 비중이 비교적 작아서 뭐 그렇다 쳐도
광물 자원의 경우 중국의 비중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서 (2008. 1인당)

금속가격의 경우 중국 경제에
크게 좌우된다고 생각해. (2016. 철강 기준)
3. 중국 경제와 원자재 요약
1) 부동산 침체와 산업생산 위축으로 중국의 자원수요가 감소함.
2) 곡물과 석유는 그렇다 쳐도 광물자원은 중국의 영향이 매우 큼.
3) 중국의 금속류 소비비중은 비정상적인 수준이라고 생각함.
4. 세계경제 영향
(올 영어라 미안하다 이기.)
중국은 어마어마한 규모의 경제대국으로
중국 경제에 문제가 생기면
세계 여러나라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야.
중국의 해외 수입이 감소하면
그만큼 세계각국의 대중수출이 감소하는데 (2015)

실제로 많은 나라들의
대중수출이 크게 감소했었어. ㄷㄷ (2014년도)
(http://www.ilbe.com/7648339134 짱깨들 청바지 "100억벌분" 면화 재고 처분 ㅋㅋㅋㅋ)
또 중국의 과잉재고는 세계경제 폭탄급으로
중국의 재고물량이
원자재 가격을 움직일 수 있으며 (2016. 면화)

중국의 공식 경제성장률에 비해
중국의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턱없이 낮아서 (2015)
중국 정부의 발표와 달리
실질 성장률이 턱 없이 낮을 수 있는지라 (2015)
우리나라도 중국의 경착륙 가능성에
대비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해. (2015)
마지막으로 최근 한달간
원자재 가격이 상승 중인데 (2016.03)
중국이 원자재 가공제품의 소비 대신
해외 수출을 늘리고 있어
원자재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이 언제든지 있고 (2015)
중국(China)의 금수요가 엄청나게 많아서

(단. 안전자산 선호로 상승할 수도 있음.)
중국 경제가 운지하면
금값이 떨어질 수도 있을 것 같아. ㅎㅎ (2016)
4. 세계경제 영향 요약
1) 중국이 경제운지하면 세계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것임.
2) 중국의 원자재 수입 감소로 신흥국의 대중수출이 급감함.
3) 중국의 원자재 재고물량은 원자재 가격을 움직일 수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628774566
3줄 요약
1) 중국은 세계 2위, 인구 13억의 대국으로 자원소비가 엄청남.
2) 인구와 경제규모에 비해 광물자원 소비가 상당히 많은 편임.
3) 중국의 경기침체가 원자재 가격하락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