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XZteQ


에너지짤.JPG


안녕~ 오늘은 에너지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전세계 에너지 


2. 에너지 생산


3. 신재생 에너지-1


4. 신재생 에너지-2


5. 에너지 수요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전세계 에너지 


maxresdefault.jpg


에너지의 사전적 정의는


[물리적인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그릴.JPG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요리를 하거나







운전.JPG


자동차로 여행을 하고 







공장.JPG


공장을 돌릴 때 쓰는 가스나 기름, 


전기 같은 것들을 에너지라고 해. ㅎㅎ







zgjb49h7-1386132173.jpg


옛날에는 전세계 사람들이


석탄(Coal)를 주로 썼지만 







primary-world-Consumption-bp-2015.jpg

지금은 에너지 수요가 많이 다변화되어서


석유, 석탄천연가스, 원자력 등을 사용하고 (2014)








에너지소비변화.JPG

(출처: 국제에너지기구)


석탄(Coal)보다 석유(Oil) 소비가 


더 많은 편이야. (2013)







world2006_low25.jpg


전세계의 에너지 수요는 인구가 많고 


경제가 발전된 나라들이 중심으로 







지역별에너지소비.JPG

지역별 비중으로 보면 


OECD 선진국들이 제일 많지만 (2013) 








전세계에너지소비국.jpg


나라별 순위로 보면 중국이


미국보다 더 많고 (2014. 에너지 총량)







전세계이산화탄소.jpg

(우리나라에 공기가 안 좋은 이유 중 하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비중으로 따지면


중국이 압도적이라고 해. ㄷㄷ (2014)







1. 전세계 에너지 요약


1) 전세계 에너지 소비원은 석유, 석탄, 천연가스 순임.


2) 경제가 발전하고 인구가 많은 나라일수록 에너지 소비가 많음. 


3) 전세계 에너지 소비 1위는 중국으로 미국보다 조금 더 많음. 







2. 에너지 생산


석탄.JPG


에너지 자원으로 여러가지가 있지만 


석탄부터 설명하자면 







석탄생산3.jpg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석탄을 


생산하는 나라는 중국이지만 (2013)








석탄수출.jpg


수출 순위는 인도네시아, 호주러시아 순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2013)








Global-coal-consumption.jpg


이유는 중국의 석탄소비가 


터무니없이 많은 탓으로 ㄷㄷ (2014)







중국에너지원.JPG


중국의 핵심 에너지원이 


석탄이기 때문이야. ㄷㄷ (2012)







석유.JPG


그다음으로 석유의 주요 생산국은 






US-oil-production-July-2015.jpg

[셰일오일 : 셰일층(유기물을 함유한 암석)에서 뽑아내는 원유]


셰일 혁명으로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2배 정도 증가하면서 (2015)







World-Oil-Production-by-Country.jpg


미국(US), 사우디(Saudi), 


러시아(Russia) 순으로 되었고 (2015)







crude-oil-balance-of-trade.jpg

(미국도 최근 석유 수출국이 되었음.)


중동, 러시아, 아프리카의 석유가 


유럽아시아에 수출되는 구조라고 해. ㅎㅎ







천연가스.JPG


그다음으로 천연가스 생산은 







텍사스부심오지네.jpg


의외로 미국의 생산량이 많아서


순위가 미국, 러시아, 이란 순으로 (2015)







갓미국.jpg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이 2008년 대비 


5배 정도 증가한 것이 원인인 것 같아. ㄷㄷ (2015)







exports_natural_gas_gecf.jpg


다만 미국이 천연가스 수출을 안 하는 편이라 


러시아, 카타르 등이 천연가스 수출


1, 2위를 하고 있어. ㅎㅎ (2012)







2. 에너지 생산 요약


1) 석탄의 최대 생산국과 소비국은 중국으로 터무니없는 규모임.


2) 셰일혁명으로 원유 생산국 1위는 미국이 되었음. 


3) 천연가스 생산은 미국, 러시아가 압도적인 수준임. 







3. 신재생 에너지-1


Total_World_Energy_Consumption_by_Source_2013.jpg

석탄, 석유, 천연가스를 제외한 에너지원은


원자력신재생 에너지가 있는데 (2013)








원자력.JPG


원자력은 발전효율이 좋고 


탄소 배출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원전사고_20120321_중앙.gif


원전 사고가 한번 터지면 


끔찍한 대참사이기 때문에 (2012)







20120316_중앙.jpg


기술력이 좋은 선진국들이 


원자력 발전을 주로 이용해서 (2010년 기준)







핵에너지.JPG

원자력 발전은 OECD 선진국들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야. ㅋㅋ (2013)








biomass-energy-ppt-6-638.jpg


그다음으로 신재생 에너지인


바이오에너지를 손꼽을 수 있는데 







20080624_매경.jpg


바이오에너지는 콩과 옥수수를 기름으로 


만드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이라고 해. (2008)








바이오연료.jpg


그래서 바이오에너지의 주 생산국은 


농업대국인 미국, 브라질 순이고 (2014. 바이오디젤 기준)








바이오연료비행기.JPG


해조류로 바이오에너지를 만들거나


바이오에너지로 항공유를 만들곤 해서


기술발전으로 앞으로 많이 쓰일 것 같아. ㅎㅎ 








수력발전.JPG


그다음으로 수력발전이 있는데 







재생에너지.jpg

(바이오에너지는 주로 자동차 연료를 사용함.)


수력발전은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 


전력생산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고 (2012)







1407HRW18-19.jpg

(노르웨이, 캐나다 등의 선진국들도 많이 사용함.)


경제력이 미약한 개발도상국들의


유용한 전력원이라고 해. ㅎㅎ (2011)







3. 신재생 에너지-1 요약


1) 원자력은 위험성 때문에 선진국들이 주로 이용함.


2) 바이오에너지는 농업대국 미국, 브라질이 주로 생산함. 


3) 수력발전은 가난한 나라들의 유용한 에너지원임. 







4. 신재생 에너지-2


친환경에너지.JPG


신재생 에너지하면 태양광 풍력 발전을 


손꼽을 수 있고








Global-Solar.jpg


태양광과 (2011)







풍력발전.jpg


풍력발전 두 산업이 


놀라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이야. (2013)








신재생에너지-동아.jpg


다만 이런 신재생 에너지는 


발전효율이 매우 나빠서 넓은 부지가 필요하거나 








백과사전zum.jpg

(출처: 백과사전 ZUM)


조력과 지열발전처럼 특정한 조건 하에서만 


가능하다는 문제점들이 있어. 








1451415152.jpg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는 친환경적이고 


무한하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가 있고 








Renewables-global-growth-forecast.jpg


기술발전으로 효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니깐


앞으로 더 많이 발전할 것으로 생각해. ㅎㅎ (2013)







4. 신재생 에너지-2 요약


1) 신재생 에너지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중임. 


2) 효율성이 나쁘지만 친환경적인 특징이 있음. 


3) 신재생 에너지의 단점은 기술발전이 해결해 줄 것임.








5. 에너지 수요


energy-consumption-in-the-US.jpg

에너지의 소비처 비중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는 편이지만 (미국)







미국에너지변화.jpg

산업의 에너지 효율 증가와 내수경제의 발달로


산업운송의 비중이 조금씩 감소해서 (2012. 미국)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jpg

유럽 같은 경우 건물의 에너지 소비 비중이 


가장 많은 편이야. (2012. EU기준)







1인당에너지소비.JPG

그밖에 1인당 에너지 소비는 


선진국들이 주로 높고 (2009)








iea-iip-policy-pathway-energy-management-programmes-3-728.jpg


산업별 에너지 소비는 철강산업


화학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에너지소비_아시아.jpg


(IEA : 국제에너지기구)


미래의 에너지 소비 비중은


아시아권이 많이 차지할 것이라고 해. ㅋㅋ  (2013)







석탄수요.JPG

마지막으로 에너지원별 수요처는 


석탄은 산업(Industry) 비중이 가장 높고 (2013)







석유수요.JPG

석유는 운송(Transport) 용으로 많이 쓰며 (2013) 







가스수요.JPG

천연가스와 (2013)








전기수요.JPG

(기타 : 농업, 공공서비스, 건물 냉난방 등등)


전기는 기타(Other) 용도로 


많이 쓰이고 있어. (2013) 







5. 에너지 수요 요약


1) 에너지 소비는 산업과 운송 비중이 줄고 건물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2) 미래의 에너지 소비 비중은 아시아권이 가장 많을 것이라고 함. 


3) 석탄은 산업, 석유는 운송, 가스는 건물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359632161








3줄 요약


1. 전세계의 주요 에너지 자원은 석유, 석탄, 천연가스 순임. 


2.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이 매우 미약하나 고성장 중임. 


3. 에너지 소비비중은 OECD 회원국들이 40%, 중국이 22%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