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PtQ2n


브라질짤2.JPG


안녕~ 오늘은 브라질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브라질 소개-1


2. 브라질 소개-2


3. 브라질 경제상황


4. 브라질 위기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브라질 소개-1


남미경제.jpg


브라질은 중남미의 대표 국가로 (2014)







브라질지형도.JPG



면적이 한반도의 38배로 


어마어마하게 크고 







브라질소개.jpg

인구가 2억이 넘는 대국이라고 해. 







브라질거리.JPG


브라질의 1인당 GDP는 9,312 달러로


조금 못 사는 편이지만 (2015.IMF)






sojaenamazonas.jpg

(아마존 밀림을 밀어버리고 만든 논밭임.)


어마어마하게 넓은 논밭을 가진 나라로







브라질농업.JPG


농사를 많이 많이 지어서







브라질세계농업.gif


브라질은 전세계 농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농업 대국이야. (2009) 







아마존강.JPG


브라질의 농업은 지구의 허파


아마존 밀림을 







amaz2_27672a.jpeg


훼손시키는 심각한 문제가 있지만 







Brazil-Food-Demand-WEB.jpg

브라질의 농지 개간과 생산성 향상으로 


브라질의 농업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


전세계 식량생산을 책임질 나라라고 해. ㅎㅎ







1. 브라질 소개-1 요약


1) 브라질은 중남미 대표 국가로 인구와 영토가 매우 큼. 


2) 브라질의 국민소득은 1만 달러 이하로 조금 못 사는 편임.


3) 농사를 어마어마하게 많이 짓는 농업 대국임. 







2. 브라질 소개-2


브라질광물자원.jpg

브라질엔 농업만 있는게 아니라 


광물자원도 많이 있어서 







Brazil-Map.jpg


광산업이 매우 활발한 나라이고






Who_exported_Iron_ores_and_concentrates_in_2014-.jpg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전세계에서 철광석을 2번째로 


많이 수출하는 나라가 브라질이야. (2014)







brazil basins.jpg


또 브라질은 석유가 제법 나오는 나라라







브라질유전.JPG


해상유전 개발을 많이 해서







석유생산.jpg


원유 생산량소비량에 엇비슷하고 (2014)







천연가스.jpg


천연가스 생산량소비량보다 적지만 


꽤 많이 나와서 (2014)







룰라전대통령.JPG

(룰라 브라질 전 대통령)


브라질은 어느정도 에너지 자립을 


할 수 있는 나라인거 같아. ㅎㅎ 







manufacturing-statistics.jpg

(제조업 구조: 기계, 화학, 음식료, 의류, 기타


그리고 브라질의 제조업 비중은 


GDP의 10%대로 많이 작지만 (2013)







브라질공장2.JPG


중남미 시장을 노리고 브라질에 찾아오는


외국기업들이 많이 있어서 







브라질공장.JPG


브라질의 제조업은 더 많이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해. 







slide_5.jpg


이런 이유로 브라질의 잠재력은 


상당히 좋은 편으로 







20151228000035_세계.jpg


미래에도 세계경제 순위 10위권 안에 들어갈 


유망한 신흥국이야. ㅋㅋ (2015)







2. 브라질 소개-2


1) 브라질은 광물자원도 풍부해서 철광석 수출 세계 2위임.


2) 석유와 천연가스도 제법 나와서 자급자족이 얼추 가능함. 


3) 인구, 영토, 자원 등의 잠재성이 높아서 유망한 나라임. 







3. 브라질 경제상황


브라질짤.jpg


브라질 소개에서는 브라질을 매우 높게 평가했는데 


브라질은 최근 심각한 경제위기 중이라고 해. 







WO-AY740_BRGDP_16U_20151201175707.jpg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성장 중인데


운지 폭이 점점 커지고 있고 







20151006_동아.jpg


환율과 국채금리가 점점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브라질 주식투자가 폭락 중이야. (2015.10)







P1-BU949A_BRREA_16U_20150924185118.jpg


브라질의 화폐가치 하락 폭은 


다른 신흥국보다 훨씬 심각하며 (2015.09)







Brazil+Inflation.jpg

화폐가치 폭락은 수입물가 상승을 불러와


브라질의 물가상승률이 점점 올라가고 있어. (2015)








소매판매.jpg

이런 물가상승으로 브라질의 소매판매가 


심하게 부진하며 (2015.11)







brazil-industrial-production.jpg

산업생산도 1년 가까이 마이너스 성장 중이야. (2015.11) 








경제후퇴_20160102.jpg

그리고 브라질의 이번 경제운지는 


역대 최악급으로 (2016.01)







경제후퇴국_20160109.jpg

올해에도 마이너스 3%대 성장이 


예상된다고 하고 있어. ㄷㄷ (2016.01) 







3. 브라질 경제상황 요약


1) 브라질은 현재 경제운지 중으로 상황이 많이 어려움. 


2) 물가가 크게 상승해서 소비가 심하게 위축되고 있음. 


3) 우리나라의 브라질 주식투자가 운지함. 마이너스 30%대







4. 브라질 위기 

What_did_Brazil_export_in_2014-.jpg


브라질은 제조업 수출도 조금 있지만


광물자원, 농산물 등을 많이 수출하는 나라라 (2014)






원자재수출비중.jpg

전체 수출에서 원자재 비중이 상당히 높아서 (2010)







원자재상품가격.jpg


원자재 가격하락에 매우 취약한 편이야. (2015)







Where_did_Brazil_export_to_in_2014-.jpg


그리고 브라질은 대중(China) 수출 비중이


매우 높은 나라라 (2014)







중국따라_2015-09-23.jpg

(PMI 지수 : 제조업 경기동향지수) 


브라질 경제중국을 따라 가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해. (2015)





브라질수출감소.JPG

이런 이유로 브라질의 수출은 


크게 감소했고 (2015)







20160104_중앙.jpg


여기에 엎친 데 덥친 격으로 


외국자본마저 크게 빠져나가는 중이야. (2015.09)







20151019_한경.jpg


브라질은 외국자본이 많은 들어온 나라라


자본유출이 상당히 아플 것으로 (2014년 기준)







CDS금리.jpg


외국자본 유출로 브라질의 금융시장이 흔들려


부도위험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해서 (2015) 







20151217_동아.jpg 


브라질의 부도위험지수가 


어마어마하게 높다고 해. ㄷㄷ (2015.12)








실업률_20150919.jpg

이런 문제로 고용이 감소하고


실업율이 급상승해서 (2015)







지지율_20151003.jpg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의 


지지율이 운지했고 (2015) 







photo_47751.jpg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 반대 시위가 


연일 발생하는 편이야. 







brazil_carnival_2012_19.jpg


작년에 브라질은 국민들이 정말 좋아하는 


카니발 축제를 일부 지역에서 포기할 정도로


분위기가 안 좋았고 







브라질신용등급.JPG


국제신용평가사들이 브라질을


총체적 난국이라고 비난하고 있는데 (2015)







취약신흥국.jpg

브라질이 난국를 잘 극복했으면 


참 좋겠다고 생각해. ㅎㅎ








4. 브라질 위기 요약


1) 브라질은 중국 경기침체와 원자재 가격하락에 큰 피해를 보고 있음. 


2) 브라질 경제위기를 보고 외국자본이 많이 빠져나가서 더 어려운 편임. 


3) 국제신용평가사가 브라질을 총체적 난국이라고 혹평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254773618






3줄 요약


1. 브라질은 인구, 영토, 자원이 매우 큰 나라로 잠재성이 높음. 


2. 여러가지 악재들이 겹쳐서 브라질 경제가 무척 어려운 편임. 


3. 원자재 가격하락과 중국 부진으로 올해도 많이 안 좋을듯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