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dRgzX


20141216.JPG


안녕~ 오늘은 러시아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러시아 소개


2. 러시아 경제상황-1


3. 러시아 경제상황-2


4.국제유가와 러시아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러시아 소개


국기세계지도.JPG


러시아는 중국 북쪽에 위치한 거대한 나라로 







러시아지형도-2016-01-04.jpg


땅이 한반도의 77배로 어마어마하게 크며 







러시아소개.jpg


인구가 1억 4천만이 넘는 대국이라고 해. (2015)







러시아1인당gdp.jpg


러시아는 1인당 GDP가 8.184 달러로 


상당히 많이 낮고 (2015. IMF)







경제후진성.jpg


국가경쟁력지수(Global Competitiveness Index)가


세계 50위권 밖으로 후진 나라지만 (2012)







russia-mineral-map.jpg


광활한 영토에 각종 광물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2007)







러시아모스크바.JPG


경제규모 순위가 세계 15위라 


무시할만한 나라는 아닌 것 같아. ㅎㅎ (2015.IMF) 







러시아짤.JPG


그리고 러시아는 기독교의 한 분파인


러시아 정교를 믿으며 







379954057105252.jpg


러시아만의 독특한 문화가 있고 (곰?) 







동유럽왕초.jpeg 


동유럽 주변국가들을 


아우르는 지역 강국이야. (2012)







russia-is-the-worlds-military-leader_2012.jpg


또 러시아는 군사비에 엄청나게 


많은 돈을 쓰는 군사 강대국으로 (2012) 







maxresdefault.jpg 


군사력의 양적 측면에서 


미국과 견줄만해서







Attivismo-militare-della-Russia-nel-2015.jpg


우크라이나 내전과 시리아 내전에 


깊게 개입할 정도의 강대국이라고 해. 







1. 러시아 소개


1) 러시아는 북방의 거대한 나라로 영토와 인구가 많음. 


2) 1인당 GDP와 국가경쟁력순위를 보면 많이 후진 편임.


3) 군사 강대국으로 국제정치에 많이 개입하고 있음



 




2. 러시아 경제상황-1


러시아걱정거리.jpg

러시아는 저유가(Low oil price)에 


큰 고통을 받는 나라로







석유의존도.jpg

경제의 절반 정도를 


석유 수출에 의존하다 보니 








경제와유가.JPG

(출처 : IMF 보고서)


유가하락으로 경제가 크게 운지하게 되었어. ㅎㅎ





 


경제루저.jpg

러시아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3.8% 정도로 매우 심각했고 (2015)







UD-russia-GDP-change-940.jpg

5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중이야. ㄷㄷ (2015)







러시아산업.jpg

그리고 러시아가 이렇게 운지한 이유는


산업의 50%가 에너지 산업이고 (2011)






러시아재정석유비중.jpg

정부 재정수입의 약 50%를 


석유 수출에서 얻고 있는데 (2015)







저유가화폐가치.jpg

(브랜트유 가격. 달러당 루블화 환율)


국제유가가 2014년도 말에 


갑자기 급락하자 (2014)







신용등급.JPG

국제신용평가 3사가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일제히 강등하고 (2015)







자본유출2.jpg


외국자본이 큰 폭으로 빠져나가면서 (2015)








자본유출.JPG

러시아의 기업금융 등의 경제가


심하게 압박 당해서 그런 것이라고 해.ㄷㄷ (2015) 







2. 러시아 경제상황-1 요약


1) 러시아 경제는 5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중임. 


2) 경제운지 이유는 저유가와 외국자본 유출 탓이 큼. 


3) 러시아 경제의 50%를 석유에 의존해서 저유가에 취약함. 







3. 러시아 경제상황-2


러시아환율변동.jpg


저유가로 러시아 화폐가치가 폭락해서


달러랑 루블화 환율이 2배 가까이 상승했고 (2015.12)







환율과물가.JPG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물가도 큰 폭으로 올라갔어. (2015)







러시아실질임금_201507.jpg


그리고 물가상승만큼 임금이 상승하지 못해


실질임금이 큰 폭으로 감소하게 되었고 (2015)







러시아소매판매.jpg


실질임금 하락으로 


소매판매가 급운지해서 (2015)







russia-retail-sales-annual.jpg


소매판매가 1년 가까이 


마이너스 성장 중이라고 해. ㄷㄷ (2015.11)







대출증가율.JPG

또 외국자본 유출로 금융이 압박받자


대출(Lending)이 급감해서 (2015)







russia-industrial-production.jpg


러시아의 산업생산은 


광산업 부진, 소비침체, 금융불안 등으로 


역시 1년 가까이 마이너스 성장 중이야. ㄷㄷ (2015.11) 








러시아수출입_2015-09-12.jpg


다만 무역수지 흑자는 여전히 유지 중인데 


이는 수출 감소보다 수입 감소가 더 커서 그런 것으로 (2015.07)







Russia-4.jpg


이거 덕분에 자본유출로 급감했던


외환보유고가 (2015)







russia-foreign-exchange-reserves.jpg

1년 가까이 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었어. (2015.11)







3. 러시아 경제상황-2


1) 러시아 물가상승률이 매우 높아서 소비가 침체되었음. 


2) 화폐가치 폭락으로 수입물가가 급상승한 것이 원인. 


3) 경제운지로 산업생산이 1년 가까이 마이너스 성장 중임.







4. 국제유가와 러시아 


What_did_Russia_export_in_2014-.jpg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러시아는 천연가스와 원유를 많이 수출하고 (2014. 수출구조)






What_did_Russia_import_in_2014-.jpg


제조업 제품, 화학제품, 의류, 농산물, 기타 등등을 


수입하는 나라라 (2014. 수입구조)






1449560835_01.jpg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큰 고통을 받는 중이야. (2015.12) 







20160112_이투데이.jpg

그런데 최근 들어 국제유가가 


더욱 하락하고 있어서 (2016.01)







러시아운지.jpg

러시아에게 큰 걱정거리가 


될 것이라 생각해. ㄷㄷ (2015)







20160113_이투데이.jpg

국제유가 하락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2016)







중국전력생산.jpg

최근 하락세는 주로


중국의 경기침체 때문으로 (2015.10. 중국 전력생산) 







에너지소비량.jpg


미국(US)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훨씬 많고 (2012)







중국자원소비.jpg

전세계 석유(Oil)의 12%를 소비하고


전세계 가스(Gas)의 6%를 소비하는 


중국의 경기침체가 유가하락을 유도하고 있어. (2015) 







최근러시아환율.jpg


이런 국제유가의 추가 하락으로 러시아 환율은 


달러당 80루블을 향해 가고 있어서 (2016.01)






러시아물가.jpg

러시아 물가상승률이 더 올라갈 수 있고 (2015.10)







러시아부도위험.jpg

부도위험 지수가 더 상승할 수 있다고 생각해. ㄷㄷ (2015.10)







Industry_in_Russia.jpg


다만 러시아가 중동 산유국들보단


제조업이 있는 편이라 







oil-revenue-as-a-share-of-government-revenue-opec-member-non-opec-member_chartbuilder1.jpg

(원유생산의 재정수입 비중)


다른 산유국들보다 먼저 망하진 않을 것 같아. ㅎㅎ (2015)







4. 국제유가와 러시아 요약


1) 국제유가 하락은 러시아 외환보유고 감소를 유발함. 


2) 루블화 환율이 달러당 80루블을 향해 가고 있음. 위험함.


3) 최근 국제유가 하락은 중국의 경기침체 탓으로 생각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254773618







3줄 요약


1. 러시아는 경제의 50%가 석유 산업이라 저유가에 취약함. 


2. 경제성장률이 5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중이고 환율이 폭등함. 


3. 최근 국제유가가 30달러 이하로 가고 있어서 러시아가 위험해질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