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BSJWg
안녕~ 오늘은 사우디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사우디 소개
2. 사우디 경제동향
3. 사우디 이란 갈등-1
4. 사우디 이란 갈등-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사우디 소개

사우디는 중동에 위치한 사막국가로
석유가 엄청나게 많이 매장되어 있어서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맹주국가라고 해. (2014)
그리고 사우디는 원유 생산량(Production)에 비해
소비량(Consumption)이 상당히 적어서
그만큼 많이 수출(Export)하는 나라로 (2013)
오일 머니로 돈이 많은
중동 갑부 국가야. ㅎㅎ
(짤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덕분에 사우디는 풍부한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건설업과 인프라투자를 많이 하고 있고
외국인 노동자들을 어마어마하게 많이 고용해서
사우디 전체근로자의 56%가 외국인이라고 해. ㄷㄷ (2013)
그래서 사우디는 전체 인구의 1/3이
외국인인 재미있는 나라이고 (2015)
인구(Population) 수가 비교적 작아도 국민소득이 높아서
중동의 4대 강국에 속하고 있어. (2015)
그외의 사우디 특징은 이슬람 원리주의 국가라
세계자유지수 순위가 매우 나쁜
자유를 억압하는 나라인데 (2015)
생활수준과 인프라 수준은 상당히 좋은 편이라
중동에선 살기 좋은 나라야. ㅎㅎ
1. 사우디 소개
1) 사우디는 중동의 대표 산유국으로 오일머니를 많이 벌고 있음.
2) 오일머니로 외국인 노동자를 엄청나게 많이 고용하고 있음.
3) 자유도가 극히 낮은 나라지만 중동에선 무척 잘 사는 편임.
2. 사우디 경제동향

사우디는 산업의 45%가 광산업이고
정부의 수입의 80%가 석유판매수익에
수출의 90%가 석유수출이라 (2016)
국제유가 하락은 사우디 경제에
무척 나쁜 일이라고 생각해. (2015)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사우디는 원유와 석유화학 제품을 수출해서 (2013)
제조업 제품, 철강제품, 농산물, 의류, 보석
기타 등등을 수입하는 나라인데 (2013)
석유 수출이 반토막 났다는 것은
사우디 경제에 있어 상당히 큰 일이야. ㄷㄷ (2016)
저유가로 사우디(Saudi)가 꽤 많은
경제적 손실을 본다고 하고 있고 (2015)
(영어라 미안하다 이기.)
실제로 경제의 여러 분야에서
악영향이 있다고 해. (2015)
그리고 사우디 경제에서 발생한 가장 큰 변화는
GDP 20% 이상의 막대한 재정적자로 (2015)
사우디의 국가채무가 0에 가까워서
지금 당장은 별 문제가 아니지만 (2015)
저유가가 장기화되면 사우디의 무상복지가
조금 줄어들지도 모르겠어. ㅎㅎ
다만 사우디의 외환보유고가 충분히 많이 있고 (2015)
(사우디 해수담수화 플랜트. 두산중공업이 건설함.)
해수담수화로 물을 대량으로 만들어서
사막 한가운데에 거대한 농장을 만들고

태양광 발전에 많이 투자해서
엄청난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만드는 등
이것저것 벌여논 사업이 많아서
쉽게 망할 나라는 아니라고 생각해. ㅎㅎ
2. 사우디 경제동향 요약
1) 사우디 경제의 약 50%가 광산업으로 저유가에 타격을 받고 있음.
2) 사우디의 재정적자가 GDP의 20% 이상으로 매우 심한 편임.
3) 저유가로 원유수출이 반토막나서 외환보유고가 감소 중임.
3. 사우디 이란 갈등-1
사우디가 시아파 지도자 47명을 갑자기 처형하자 (2016)
화가 난 이란 사위대가 사우디 대사관을 불태워 버려서
사우디와 이란의 외교관계가 단절된 상황이야. ㄷㄷ (2016)
사우디는 수니파의 맹주 국가이고
이란은 시아파의 맹주 국가로 (2016)
두 나라는 종교적인 이유로
갈등관계에 있으며 (2015)
역사적으로도 간접 전쟁을 자주 해서
사이가 나쁜 편이라고 해. (2016)
최근 사이가 더 나빠진 이유는
시리아 내전에서 두 나라가 적대관계이고 (2016)
예멘 내전에도 두 나라가 깊이
개입하고 있어서 (2015)
대놓고 안 싸울 뿐
두 나라는 사실상 전쟁 상태라고 할 수 있어. (2015)
두 나라의 국력 차이는 인구 수에서 이란이 3배 정도 많지만
경제력에선 사우디가 2배 정도 크고 (2016)
국방비에서 사우디가 이란의 10배 정도라
붙으면 사우디가 이길거 같은데 (2015)

허접해보이는 예멘 반군 상대로

중동 연합군이 특출난 성과를 못 내고 있고
자기들 전쟁에 외국인 용병대를 보낼 정도로
중동 갑부국들이 소심해서
사우디와 이란이 직접 붙을 일은 아마 없을거 같아. ㅎㅎ (2015)
3. 사우디 이란 갈등-1
1) 사우디와 이란은 두 종파의 맹주로 종교적 갈등관계임.
2) 두 나라는 간접적인 전쟁을 많이 해서 사이가 나쁜 편임.
3) 이번 사태로 사우디와 이란의 외교관계가 단절되었음.
4. 사우디 이란 갈등-2
사우디와 이란의 갈등은 양국에게
나름 도움이 된다는 기사가 있는데
사우디는 국민들의 관심을 국내에서
해외로 돌려 국내정치 위기를 극복하고 (2015)
이란 강경파는 갈등 분위기를 고조시켜
이란의 개혁개방을 저지할 수 있다고 해.
또 두 나라 간의 갈등으로 중동 정세가 불안해지면
유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2016)
최근 국제유가 동향 상
그럴 가능성은 낮을거 같아. ㅎㅎ (1월 7일)
뭐 어쨌든 중동 강자들의 대립으로
시리아와 예멘에 내전이 발생해서
(http://www.ilbe.com/7261213324 정부군에게 포위당해 굶어죽는 시리아 국민들.JPG)
무척이나 안타까운 일이고
중동의 경기침체와 정세불안으로
우리나라 건설사들이 고생하고 있으며 (2016)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오일머니가
빠져나가고 있어서 좀 아쉽다고 생각해. ㅎㅎ (2015)
4. 사우디 이란 갈등-2 요약
1) 사우디는 국민들의 불만을 해외로 돌리는 이익이 있다고 함.
2) 이란 강경파는 갈등 분위기를 조성해 이란의 개혁개방을 저지한다고 함.
3) 중동 정세의 불안은 국제유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는데, 가능성이 낮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254773618
3줄 요약
1. 사우디는 석유수출로 돈을 많이 버는 중동 갑부국임.
2. 최근 저유가로 사우디 경제가 조금 나빠지고 있음. 수출 반토막.
3. 사우디와 이란의 사이가 나빠져서 외교 단절까지 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