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EJJ5t

중국짤2.JPG


안녕~ 오늘은 중국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 주식시장


2. 주가변동의 이유


3. 중국 문제점


4. 우리나라 영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 주식시장


7%운지_20160104.jpg

중국 주식시장은 1월 4일날 

주가가 갑자기 운지해서 거래가 정지되었고 (2016)






증시_20160105_서울.jpg
이날 중국 주식시장의 급락으로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하락했어. (2016)







증시부양책_이코노빅리뷰.JPG
1월 4일 급락 이후 중국 정부의 증시부양책으로

추가 운지를 잘 막고 있지만 (2016)






20160106_글로벌이코노믹.JPG
중국 증시는 더 많이 떨어질거라는 전망이

무척 많은 편이야. (2016) 






중국짤.jpg

그래서 중국 경제에 뭐가 문제인지

알아보려고 해. ㅎㅎ





중국주식시장2.jpg
중국 주식시장은 작년 5월에 5000선을 찍은 후

운지해서 지금은 3300선으로 많이 낮아졌는데 (2015)





중국주식시장.jpg
과거에 2000선에서 놀았던 점을 생각하면

지금의 3300선도 많이 높은 편이야. (2015)






기업수익.jpg
무엇보다 중국의 기업수익(Revenues) 

증가율이 하락세이고 (2015)






부실기업_뉴스핌.jpg
경기침체로 적자를 본 중국 기업 비율이

크게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2015) 






shanghai-5year.jpg

지금의 3300선도 버블이라고 생각해. ㅎㅎ (2015) 






1. 중국 주식시장 요약

1) 중국 증시는 폭락이 자주 발생해서 매우 불안정한 편임.

2) 최고점에 비하면 많이 낮아졌으나 기업실적에 비하면 높은 편임. 

3) 중국 정부가 증시부양 중이지만 폭락 우려가 많이 있음. 





2. 주가변동의 이유 

제조업지수_20160105_헤럴드경제.jpg
(PMI지수 : 제조업 경기동향지표)

중국의 기업실적이 상당히 안 좋은데 

주가가 크게 상승했던 이유는 (2016) 






중국통화정책.jpg

중국 정부가 금리를 계속 낮추는 

강력한 통화정책과 (2015)






그림자양적완화_20141215_중앙.jpg

그림자 양적완화라고 불리는

엄청난 돈 풀기 덕분이야. (2014) 





20.11.15-China-house-prices.jpg
중국 정부가 이렇게 크게 통화정책을 편 이유는 

2014년부터 주택가격이 계속 하락해서 






부동산붕괴.jpg

부동산 시장이 붕괴할 우려가 있어서 

그런 것으로 






중국경제상황.jpg
부동산 운지 -> 은행부실 -> 투자버블 붕괴로 이어져

중국 경제를 운지시킬 수 있는지라 

주택가격 하락을 막을 필요성이 매우 높았어. 






ChinaStockCHART3_0.jpg
문제는 부동산을 살릴려고 푼 돈

일부가 주식시장에 흘러간 것인데 (2015)






2015june_bcu_chart2.jpg 
중국 산업생산이 부진한 편이고 (2015)






수출입20151012_APAC12.jpg
수출입이 안 좋은 상황에서 지금의 증국 주가는

현실과 괴리된 것이라고 생각해. 






2. 주가변동의 이유 요약

1) 중국 정부가 집값 하락을 막고자 강력한 통화정책을 시행함. 

2) 막대한 유동성이 중국 주식시장에 흘러들어가 주가를 끌어올림.

3) 산업과 수출입 지표를 보면 중국 증시는 현실과 괴리된 편임. 






3. 중국 문제점
5대리스크_20160105.jpg
중국에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고 (2016)






중국정부_2015-12-22_뉴스토마토2.JPG
중국 정부도 문제점을 인지해서

고칠려고 노력하는 중이야. (2016)






중국주택재고.jpg
(주택 수로는 6천만~7천만 채 쯤이라고 함.)

중국의 첫번째 문제점은 

심각하게 많은 주택재고로 (2013)






중국소득대비집값.jpg
중국의 소득수준에 비해 집값이 

터무니없이 높아서 (2014.) 






미분양과재고.png
집이 안 팔려 미분양이 꾸역꾸역 증가해

주택가격 하락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어. ㄷㄷ (2014) 






시멘트생산.JPG
(중국은 전세계 시멘트 생산의 약 60%를 차지함.)

두번째 문제점은 중국의 과잉생산으로 (2014)






중국자동차_20150506_이투데이.jpg
판매량에 비해 생산설비를 

지나치게 많이 만들어서 (2015)






biswas_rev_6___figure_1_line_chart_w1024.jpeg
여러 산업분야에서 20% 이상의 

생산설비 과잉 문제가 있다고 해. ㄷㄷ (2013) 






자본유출2.jpg

그다음 세번째 문제는 심각한 자본유출로 (2015)






htm_20151025_중앙.jpg

강력한 외국자본 유출이 

중국 정부의 통화정책 효과를 상쇄시키고 있고 (2015)






그림자금융운지.jpg
중국의 그림자 금융과 (2015)






그림자금융.jpg

그림자금융을 통해 대출받은 중국 기업과 은행들을 

자본유출로 강하게 압박하는 중이야. (2015) 






20151231_파이넨셜.jpg

이렇게 중국 경제는 해결해야할 난관이 

꽤 많이 있어서 (2015)






150708154405-china-economy-780x439.jpg

운지력이 더 강할지, 중국 정부가 더 강할지가 

경제학의 관심사라고 생각해. ㅎㅎ





3. 중국 문제점 요약

1) 중국의 주택재고가 상당히 많아서 집값 하락을 부추김.

2) 생산설비 과잉으로 투자낭비가 심한 편이라고 함. 

3) 외국자본 유출이 중국의 투자감소를 유도하고 있음. 






4. 우리나라 영향

중국부채비율.jpg

중국의 민간 부채비율이 금융위기 수준에 

준하게 많이 있고 (2013)






20151211_아주경제.jpg
원자재 수입을 급격하게 줄이고 있으며 (2015. 북한) 







컨테이너운임지수20151103_CCFI.jpg

중국의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쭉쭉 하락하는 것을 보면

중국 경제에 문제가 확실히 있는 것 같아. (2015)






중국발피해.jpg
우리나라는 중국과 무역을 많이 하기에

중국의 경제운지는 

우리나라에게 무척 안 좋은 일이고 (2015) 






중국자원소비.jpg

중국이 전세계의 원자재를 많이 소비하는지라 (2015)






중국발영향.jpg
중국의 경기침체는 신흥국의 경기침체로 이어져 (2015)






우리나라신흥국수출.jpg

우리나라의 대 신흥국 수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해. (2015) 





대중국수출.jpg

다만 대중 수출의 상당수가 반제품으로 

미국과 유럽이 최종소비처이고 (2008)






중국한국투자2014.jpg

중국이 한국에 투자한 돈이 상당히 적은 점이

그나마 다행이야. ㅎㅎ (2014)






세계경제.jpg

뭐 어쨌든 지금의 세계경제는 

다이나믹하게 돌아가는 상황으로

우리나라도 많이 조심해야 하는데 






우리나라튼튼.jpeg

우리나라의 외환 상황이 많이 좋아졌고 (2015)






20151216_조선.jpg
기업부채가 정말 많이 줄어들어서 

신흥국보다 잘 버틸 것으로 생각해. (2015) 





4. 우리나라 영향 요약

1) 중국의 경기침체는 우리나라에게 두루 안 좋은 일임. 

2) 중국의 경기침체는 신흥국의 경기침체를 유발시킴. 

3) 우리나라의 외환상황이 좋아서 비교적 괜찮을듯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168625764





3줄 요약 

1. 중국의 경제상황에 비해 중국 주가가 비교적 높은 편임.

2. 중국의 주가상승은 중국 정부의 유동성 공급 덕분임. 다른게 없음. 

3. 부동산 버블, 과잉설비, 자본유출 등 주가하락 요인이 많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