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tVY18

안녕~ 오늘은 생활가전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생활가전 산업 소개
2. 세계 생활가전 시장
3. 생활가전 시장변화
4. 생활가전 시장동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생활가전 산업 소개
생활가전(Household Appliances)이란
집에서 쓰는 각종 전기기기 제품들로
백색 가전(White Goods)으로 자주 불리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대형가전 제품과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청소기 등의
소형가전 제품들이 있어.
세계 가전 시장은
가격이 비싼 대형가전 위주이고 (2015)
(생활가전은 TV 제외임.)
생활가전의 주력 품목은
냉장고와 세탁기, 에어컨 등이라고 해. (2008)
생활가전 제품의 수출규모는
다른 전자산업에 비해 상당히 작지만 (2013)
생활가전 제품들은 일상생활에 주로 사용되어서
기업의 브랜드 홍보에 무척 도움이 되고
우리나라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잘 나가는 편이야. ㅎㅎ (2015)
1. 생활가전 산업 소개
1) 생활가전은 가정에서 주로 쓰이는 전기기기 제품들임.
2)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이 대형가전이고 청소기, 전기밥솥 등은 소형가전임.
3) 우리나라 기업들이 세계 가전시장에서 크게 활약하고 있음.
2. 세계 생활가전 시장

세계 생활가전 시장에는 다양한 기업들이
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업이
월풀과 일렉트로룩스로 (2014)
그둘이 전세계 생활가전 시장
1,2위를 다투고 있어. ㄷㄷ (2013)
월풀은 1911년부터 시작한 미국기업으로
가전업계 공룡기업이고
일렉트로룩스는 스웨덴의 가전업체로 (2014)
제너럴일렉트릭(GE)의 가전사업 부문을
인수합병해서 (2014)
(미국 생활가전 시장 비중)
크게 성장한 기업이라고 해. (2014)

이에 대항하는 삼성과 LG는 (2015)
해외 가전업체에 비해
가전제품 개발의 역사가 짧지만 (2007)
우수한 제품들을 앞세워
세계시장을 잘 공략하는 중이야. ㅎㅎ
그다음으로 우리나라의 중소 가전업체들은
전문 분야에서 매우 훌륭하고 (2015)
일부 가전업체는 국내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인데 (2013)
매출액이 비교적 많지 않은 편이라
삼성과 LG 위주로 써야할거 같아. ㅎㅎ (2013)
그외에 전세계 생활가전 시장 규모는
중국, 유럽, 미국 순이고 (2012)
가전제품 수출은 중국과 유럽에서 많이 하고
우리나라가 의외로 작은데 (2008)
이는 우리나라 가전 업체의 해외생산이
많아서 그런 것으로 (2015)
우리나라 가전업체들의 해외공장이
세계 곳곳에 널리 있는 편이야. ㅎㅎ (2011. LG)
2. 세계 생활가전 시장 요약
1) 미국의 월풀과 스웨덴의 일렉트로룩스가 세계 생활가전 투톱임.
2) 생활가전 세계시장은 중국, 유럽, 미국 순으로 구성되어 있음.
3) 우리나라 가전업체들이 세계시장에서 무척 잘 나가는 편임.
3. 생활가전 시장 변화
신흥국(Emerging)의 경제성장으로 (2010)
신흥국의 소비수요가 크게 증가해서 (2015)
세계 생활가전 시장도 크게 변화해서
세탁기 판매가 가장 많아졌어. (2014)
이런 신흥국들의 수요 증가로
미국과 유럽의 경제위기가 있었음에도
세계 생활가전 수요가 꾸준히 증가했고
덕분에 우리나라도 신흥국에 생활가전
수출을 많이 하는 편이야. ㅎㅎ (2011)
그리고 가전 산업하면 중국을 빼놓을 수 없는데
판매 대수 기준으로 중국 하이얼이 세계 1위급이며 (2011)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2015)
일본에게 쓴소리를 할 정도가 되었어. ㅋㅋ (2015)
이런 중국의 급성장으로 가전업계에도
한중일 삼국지가 펼쳐지게 되었는데 (2011)
판매대수 기준으로 중국이 앞서지만
금액 기준으로 하면 우리나라도 만만치 않고 (2015. 세탁기)
중국의 기술력이 비교적 후달려서
세계 가전 전시회에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편이야. ㅋㅋ (2012)
3. 생활가전 시장 변화 요약
1) 신흥국의 경제성장으로 가전 수요도 변화하고 있음. 세탁기 UP!
2) 중국의 가전업체가 물량 기준으로 세계 1, 2위를 찍고 있음.
3) 일본의 가전산업 경쟁력 후퇴에 중국 기업이 쓴소리를 할 정도임.
4. 생활가전 시장 동향
일본의 가전산업 경쟁력이 후달려서
일본의 환율조작은
우리나라 가전업계에게 큰 위협이 아닌데 (2014)

세게 경제 침체 등을 이유로
우리나라 가전제품 수출이 안 좋다고 해. ㄷㄷ (2015.04)
그래서 우리나라 삼성전자, LG전자의
실적이 안 좋고 그랬는데 (2015.2분기)
중국의 경기침체가 계속되면 중국 가전업체들이
내수보다 수출에 더 나서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어.
하지만 우리나라 가전업체들의 경쟁력이 우수해서
북미 시장에서 잘 나가고 있고 (2015. 1분기)
우리나라의 우수한 브랜드 덕분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해. ㅎㅎ (2015)
또 생활가전 제품은
교체주기가 상당히 길어서 (2011. 미국기준)
보급률이 포화상태에 이르면
판매 증가율이 부진하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2013)
최근 스마트 가전제품으로
가전업계의 기술혁신이 이루어지고 있고 (2011)
앞으로 스마트 가전의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편이야. (2013)
그외에 신흥국의 경제성장에 의한 환경오염으로
공기청정기, 정수기 등의 수요가 증가할거라
우리나라 가전업계는 건실하게
잘 성장할 것으로 생각해. ㅎㅎ(2015)
4. 생활가전 시장 동향 요약
1) 중국과 세계경제 침체로 우리나라 가전 수출이 부진했음.
2) 중국의 내수시장이 부진해지면 덤핑수출에 나설 수도 있을듯.
3) 가전제품의 스마트화로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듯.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168625764
3줄 요약
1. 전세계 생활가전 시장 1, 2위는 미국과 스웨덴 기업임.
2. 하지만 우리나라 삼성과 LG 전자도 무척 잘하고 있음.
3. 중국의 가전업체가 급성장해서 물량 기준 1, 2위를 찍고 있음.





